(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12
18 1. 말과 글의 규범 (2) 한글 맞춤법 1 한글 맞춤법의 필요성과 역사 위의 상황 중 에들어갈말은‘붙이다’이고, 에 들어갈 말은‘부치 다’이다. 그런데‘붙이다’와‘부치다’는 모두 [부치다]로 소리 나는데, 이렇게 소리대 적으면 정확한 의미를 전달할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한 것 이 바로 한글 맞춤법 이다. 표준어 규정이 입말을 중심으로 언어를 표준화한 것이라 면, 한글 맞춤법은 우리말을 우리 문자인 한글로 적는 방법을 표준화한 것이다. 우 리말을 적는 통일된 방식이 없어 사람마다 적는 방식이 제각각이라면 우리의 문자 생활은 혼란에 빠질 것이다. 따라서 한글 맞춤법은 효율적이고 정확한 의사소통 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규범이다. 맛보기 ‘부치다/붙이다’중 하나를 골라 다음 상황을 표현하는 문장의 빈칸을 채워 보자. 우표를 ( ). 편지를 ( ). 표준어 규정 한글 맞춤법 입말 중심의 언어 표준화 한글을 적는 방식의 표준화 불을 ( ). 논밭을 ( ). 소단원 안내|이 단원은 한글 맞춤법의 필요성과 역사에 대한 지식을 통해 맞춤법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고, 맞춤법의 원리와 각각의 규정들을 이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바른 국어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목표가 있다. 국어 생활의 효율성과 정확성의 측면에서 한글 맞춤법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한글 맞춤법은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표기법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 음을 있도록 한다. 또한 한글 맞춤법의 원리와 구체적인 맞춤법 규정들이 어떠한 언어 현상과 관련되는지를 중점적으 로 탐구하도록 지도한다. 표기의 구별을 통한 의미 구분의 용 이성 대표적으로‘붙이다’와‘부치다’는 발음이 동일하여 음성 언어의 의사 소통에서는 의미를 구분하여 사용 하기가 어려운 말이다. 따라서 표기를 달리함으로써 의사소통의 불편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예시 답붙이다 부치다 붙이다 부치다 표준어 규정과 한글 맞춤법의 차이점 한글 맞춤법 제정의 필요성 한글 맞춤법의 필요성

Upload: others

Post on 05-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18 1. 말과 글의 규범

(2) 한글맞춤법

1⃞ 한글맞춤법의필요성과역사

위의상황중❶과❸에들어갈말은‘붙이다’이고, ❷와❹에들어갈말은‘부치

다’이다. 그런데‘붙이다’와‘부치다’는 모두 [부치다]로 소리 나는데, 이렇게 소리대

로 적으면 정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한 것

이 바로 한글 맞춤법이다. 표준어 규정이 입말을 중심으로 언어를 표준화한 것이라

면, 한글 맞춤법은 우리말을 우리 문자인 한글로 적는 방법을 표준화한 것이다. 우

리말을 적는 통일된 방식이 없어 사람마다 적는 방식이 제각각이라면 우리의 문자

생활은 큰 혼란에 빠질 것이다. 따라서 한글 맞춤법은 효율적이고 정확한 의사소통

을위해없어서는안될규범이다.

맛보기

‘부치다/붙이다’중하나를골라다음상황을표현하는문장의빈칸을채워보자.

우표를 ( ). 편지를 ( ).

표준어 규정 한글 맞춤법

입말 중심의

언어 표준화

한글을 적는

방식의 표준화

❶ ❷

❸ ❹

불을 ( ). 논밭을 ( ).

소단원안내|이단원은한글맞춤법의필요성과역사에대한지식을통해맞춤법에대한올바른태도를형성하고, 맞춤법의

원리와각각의규정들을이해함으로써궁극적으로바른국어생활을영위하도록하는데목표가있다. 국어 생활의효율성과

정확성의측면에서한글맞춤법의필요성을이해하고, 한글 맞춤법은훈민정음창제당시의표기법의원리에바탕을두고있

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글 맞춤법의 원리와 구체적인 맞춤법 규정들이 어떠한 언어 현상과 관련되는지를 중점적으

로탐구하도록지도한다.

표기의구별을통한의미구분의용

이성

대표적으로‘붙이다’와‘부치다’는

발음이 동일하여 음성 언어의 의사

소통에서는 의미를 구분하여 사용

하기가 어려운 말이다. 따라서 그

표기를 달리함으로써 의사소통의

불편을어느정도해소할수있다.

예시답| 붙이다 부치다

붙이다 부치다

표준어규정과한글맞춤법의차이점

한글맞춤법제정의필요성

한글맞춤법의필요성

(008~041)207교⑴1 2012.6.11 2:21 PM 페이지18 mac02 T

Page 2: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01 올바른 단어 사용 19

현재의‘한글 맞춤법’은 1988년에 공포된 것으로, 이것의 기본 정신과 내용은

1933년에만들어진‘한글맞춤법통일안’과크게달라지지않았다. ‘한글맞춤법통

일안’은 국어 역사상 최초의 맞춤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이전에는 어떤

규범에따라표기했을까?

“훈민정음”은 기본적으로 문자로서의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서의 성격을 띤 것이지

만, 한편으로는맞춤법으로서의기능도어느정도담당하고있었다. 예를들어, “훈민

정음”‘종성해(終聲解)’에 나오는 다음 구절은 받침 표기에 대한 규정으로 이해된다.

•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

(ㄱㆁㄷㄴㅂㅁㅅㄹ여덟자만으로충분히쓸수있다.)

이를 흔히팔종성법(八終聲法)이라하는데, 단어의원형을밝혀적지않고소리나

는 대로 적는 음소적 원리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 곶[梨花]’과

‘ 의갗[狐皮]’이라적지않고‘ 곳’과‘ 의갓’이라적는다는것이다.

따로 규정하지는 않았지만, 1933년 이전까지의 표기법에 나타난 또 다른 원리는

음절적원리라할수있다. 예를들어, 오늘날‘말씀이’, ‘잡으니’와같이적는것을,

훈민정음 창제 무렵에는‘말 미’, ‘자브니’와 같이 적었는데, 이는 음절 경계를 표

기에정확히반영하고있는표기법이다.

음소적원리와음절적원리는‘한글맞춤법통일안’이나올때까지대체로잘지켜

졌으나, 부분적으로 명사와 조사의 연결에서 음절적 원리가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

가있었다. 예를들어, ‘자브니’와같은표기는꽤잘지켜졌지만, ‘말 미’의경우에

는‘말 이’와같은표기도많이나타난다.

그런데 음소적 원리와 음절적 원리에 따른 표기법은, 쓰기에는 매우 편리하지만

읽기에 있어서는 그리 편한 것이 아니었다. ‘밤낮’이라는 단어를 이러한 표기법과

현대 맞춤법에 따라 적어 놓고 비교해서 읽어 보면, 의미가 쉽게 파악되지 않는 불

편을느낄수있다.

•밤낫, 밤나지, 밤나즐, 밤낫도

•밤낮, 밤낮이, 밤낮을, 밤낮도

현대의 한글 맞춤법은 음소적 원리를 기본으로 하되, 단어의 원형을 밝혀 적는 방

식을 더하였는데, 이를 형태 음소적 원리라 한다. 또한 음절 단위로 모아쓰되 끊어

적기를 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는데, 이는 부분적인 음절적 원리라 할 수 있다. 이러

한 원리들은 쓰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지만, 단어의 모양이 항상 고정되어 있다는 측

면에서독서에는매우효율적인표기법의원리이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맞춤법 원

•음소적 원리

•음절적 원리

팔종성법(八終聲法, 八終聲可足用)

중세 국어 종성 표기법으로 받침

표기는 여덟 개의 종성만 가지고도

넉넉히 쓸 수 있다는 규정. “훈민정

음”해례본 종성해의 부분에서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여덟

글자만으로도 종성 표기가 가능하

다고밝혔는데, 이는 15세기 당시에

우리말의 받침 소리가 실제 8가지

였다는점을반영한규정이다.

표기의원리

•음소적원리: 표기를소리나는대

로 한다는 것. 예를 들어, 현행 표

기법은‘아침이’와같이적지만, 음

소적 원리에 따라 적으면‘아치

미’와같이적게된다.

•형태 음소적 원리: 음소적 원리와

는 반대로 표기를 소리 나는 대로

하지 않고 단어의 원형을 밝혀 적

는것.

표기방법

•이어적기[연철(連綴)]: 한 음절의

종성을 다음 자의 초성으로 내려

서적음.

예⃝ 가미(감+이), 말 미(말 +이)

•끊어적기[분철(分綴)]: 여러 형태소

가 연결될 때 그 각각을 음절이나

성분단위로밝혀적음.

예⃝ 감이(감+이), 말 이(말 +이)

표기법의 변천

•음소적 원리 → 형태 음소적 원

•음절적 원리 → 부분적인 음절적

원리

한글맞춤법의유래

음절적원리의개념

음소적원리와음절적원리가지켜지지않은사례

음소적원리와음절적원리의장단점

발음에따라‘밤낮’을‘밤낫’으로적다보니, ‘밤’과‘낮’이라는단어의원형이드

러나지않아직관적으로의미를파악하는데어려움을유발하게됨.

한글맞춤법총칙제1항

한글맞춤법은표준어를소리대로적되, 어법에맞도록함을원칙으로한다.

한글맞춤법의표기법원리

팔종성법과

음소적원리의개념

한글맞춤법통일안(1933)을 계승함.

표기에대한사항을어느정도규정함.

‘팔종성가족용’이라고도부름.

표기는음절단위로이루어짐.

글의이해(독해)에는유리하지않음.

제1항 중‘어법에맞도록함’부분제1항 중‘소리대로적되’부분

형태음소적원리의개념

발음대로이어적지않고끊어서적음.

음소적원리의개념

‘곶’을원형대로‘곶’이라적지않고팔종성법에따라‘곳’으로표기하며, ‘갗’을‘갗’으로적지않고‘갓’이라적음.

(008~041)207교⑴1 2012.6.11 2:21 PM 페이지19 mac02 T

Page 3: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20 1. 말과 글의 규범

2⃞ 한글맞춤법의원리

한글맞춤법의원리는‘한글맞춤법’총칙제1항에다음과같이명시되어있다.

한글맞춤법은표준어를소리대로적되, 어법에맞도록함을원칙으로한다.

위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 표기 대상이 표준어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처럼 맞춤

법은 표준어를 어떻게 적을지 결정하는 구실을 한다. 그런데 표준어를 적는 방식에

는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소리대로 적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소리와는

다소 멀어지더라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적는 것이다. 한글 맞춤법은 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조화시키고 있다.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이라는 구절은 바

로 이 두 방식의 조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한글 맞춤법에서는 소리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하되, 그것이어법에어긋나지않도록한다고규정하고있다.

맛보기

다음단어들을발음해보고, 두 부분의차이점을말해보자.

구름, 하늘, 놀다, 달리다. 꽃, 꽃이, 꽃나무

적용하기

다음단어들을바탕으로아래의활동을해보자.

(1) 위 단어들을활용하여빈칸에알맞은말을써넣어보자.

•조국을위해목숨을 ( ).

•남녀가한우산을 ( ) 간다.

•소뿔에 ( ) 큰 부상을당했다.

•술을체에 ( ).

(2) 훈민정음창제당시에는위의단어를어떻게표기했을지말해보자.

바치다   받치다   받히다   밭치다

예시답|

바치다

받치며

받히어

밭치다

예시 답|‘훈민정음’창제 당시는 15세기로 중세 국어 시기에 해당한다. 당시에는 기본 형태를 밝혀 적지 않고 소

리 나는 대로 적는 음소적 원리에 의해 표기하였으므로, 현대의‘바치다’, ‘받치다’와 같이 표기법에 형태가 반영

되지 않아서, 그 표기만으로는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기 어려웠다. 예를 들어, 현대어의‘바치다’는“월인석보”

(1459)에서‘바티다’로 표기했으며, 현대어의‘받치다’도 그보다 좀 뒤에 간행된“선가귀감언해”(1579)에서‘바티

다’로표기했다.

예시 답|앞의‘구름, 하늘, 놀다, 달리다’와 같은 단어들은 발음 그대로 표기한 것들이고, 뒤의‘꽃, 꽃이, 꽃나무’와 같은

단어들은실제의발음[ , 꼬치, 꼰나무]과는거리가있지만의미가잘드러나도록원래형태를밝히어적은것들이다.

표준어를맞춤법규정의대상으로삼음.

표준어로인정된말은그발음대로적음. 예외가있을수있음을염두에둔태도

표준어이고그발음대로적었다고하더라도, 원래형태에맞아야함.

음소적원리

형태음소적원리

한글맞춤법의원리와그의미

각단어의의미

•바치다: 무엇을 위하여 모든 것을

아낌없이내놓거나쓰다.

•받치다: 비나 햇빛과 같은 것이

통하지 못하도록 우산이나 양산을

펴들다.

•받히다: ‘머리나 뿔 따위로 세차

게 부딪치다’라는 뜻의‘받다’의

피동사.

•밭치다: ‘건더기와 액체가 섞인

것을 체나 거르기 장치에 따라서

액체만을 따로 받아 내다’라는 뜻

의‘밭다’를강조하여이르는말.

(008~041)207교⑴1 2013.1.16 6:51 PM 페이지20 mac02 T

Page 4: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01 올바른 단어 사용 21

한글은한단어가나타내는낱소리, 즉 음소(音素)를 하나의글자로표현하는소리

글자이기 때문에 소리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예를 들어‘구름, 하늘, 놀다,

달리다’는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 형식이다. 이처럼 한글은 소리글자라는 특징을

가졌기 때문에‘한글 맞춤법’총칙 제1항에서 소리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

다. 그런데한글을소리대로적었을때문제가생기는경우가있다. ‘꽃[ ], 꽃이[꼬

치], 꽃나무[꼰나무]’처럼 한 단어가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렇게 소리대로 적는 방식은, 적기에는 편할지 모르나 독자들이 글을 읽고 뜻을 파악

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어법에 맞도록 한다.’라는 조건을 붙인 것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어법(語法)이란 언어 조직의 법칙, 또는 언어 운용의 법칙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어법에 맞도록 한다.’라는 것은 뜻을 파악하기 쉽도록 각 형태

소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는 말이다. 이처럼 현행 한글 맞춤법은 한글을 소리대로 적

는방법과원형을밝혀적는방법을효율적으로조화시킨표기규범이다.

적용하기

다음단어들을아래의두가지기준에따라분류해보자.

넘어지다, 쓰러지다, 가깝다, 긋다, 너비, 길이, 오뚝이, 뻐꾸기

소리와표기가일치하는단어

쓰러지다, 너비, 뻐꾸기넘어지다[너머지다], 가깝다[가깝따],

긋다[귿∶따], 길이[기리], 오뚝이[오뚜기]

소리와표기가일치하지않는단어

음소

더 이상 작게 나눌 수 없는 음운

론상의 최소 단위. 자음과 모음을

이른다.

음소문자와한글

음소 문자는 표음 문자의 하나로,

간단히 말해 각 글자가 해당 언어

의 음운에 해당되는 문자이다. 세계

의 대다수 음소 문자는 음절 문자

에서 발전하여 온 것인데, 한글은

기존에 있던 문자를 개량한 것이

아니라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방식

으로 글자를 창조했다는 점에서 차

이가있다.

3⃞ 한글맞춤법규정

현재의 한글 맞춤법은 크게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총칙’에서는 한글 맞

춤법의 원칙과 띄어쓰기의 원칙, 그리고 외래어 표기의 원칙을 제시하였고, 제2장

‘자모’에서는 한글 자모의 순서와 이름을 정해 놓았다. 이어지는 3~6장에는 소리에

관한 것, 형태에 관한 것, 띄어쓰기, 그 밖의 것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맞춤법 규정

을설명하고있다.

어법대로

적은예

소리대로

적은예

성공률

문예란

그럼으로(써)

어떻든

실패율

스포츠난(欄)

그러므로

아무튼

음소문자

음운변동의적용

어법대로적는근거

음운변동의조건

‘어법에맞도록한다.’의구체적의미

소리대로적는근거

한글맞춤법의원리에담긴두가지표기방법

한글맞춤법규정의구성

예시답|

제3장

제6장제5장제4장

(008~041)207교⑴1 2012.6.11 2:21 PM 페이지21 mac02 T

Page 5: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22 1. 말과 글의 규범

적용하기

다음단어중맞춤법에맞는단어를골라보자.

•우리 (같이 / 가치) 이 위기를극복해보자.

•지금집에어머니 (게시니 / 계시니)?

•이수치를 (백분율 / 백분률)로 계산해보세요.

•(누루이 / 누누이) 당부하지만, 제발조심해라.

•소리에관한것

단어의 발음이 원래의 형태와 달라지더라도 그 달라짐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말소

리 바뀜(음운 변동)으로 설명되는 경우에는 원래의 형태를 밝혀 적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즉, 단어의 발음이 원래의 형태와 달라지는 현상

이 특정한 음운 환경에 있는 모든 형태소들에서 일반적으로 다 일어날 경우에는 원

래 형태를 밝혀 적는다.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그러나

동일한음운환경에놓이더라도어떤형태소에서는단어의발음이원래의형태와달

라지는데, 어떤 형태소에서는 달라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때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ㄷ, ㅌ’받침 뒤에‘-이(-)’나‘-히-’가 올 적에는‘ㄷ, ㅌ’이‘ㅈ, ㅊ’으로 소리

나더라도‘ㄷ, ㅌ’으로 적어야 하므로, ‘해도지’는‘해돋이’로 적는다. ‘계, 례, 몌,

폐, 혜’의‘ㅖ’는‘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ㅖ’로 적어야 하므로, ‘핑게’는

‘핑계’로 적는다. 한자음‘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여, 요, 유, 이’로 적어야 하므로, ‘년세’는‘연세’로 적는다.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어야 하므로, ‘씁슬

한’은‘씁쓸한’으로적는다.

맛보기

다음밑줄친단어들을한글맞춤법에맞게고쳐보자.

•내일동해로해도지보러가자.

•핑게대지말고, 바른대로말해라.

•선생님, 올해년세(年歲)가 어떻게되세요?

•씁슬한커피를한모금마시면위장이잠을깬다.

구개음화

‘ㄷ, ㅌ’이‘ㅣ’를 만나면‘ㅣ’의

영향을 받아 그것과 가까운 위치

에서 소리 나는 구개음‘ㅈ, ㅊ’으

로 바뀌어 소리 나는 현상.

음운변동

어떤 형태소가 다른 형태소와 결합

할 때, 그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

지는현상을말한다.

음운 변동의 종류에는 어떤 음운이

형태소의 끝에서 다른 음운으로 바

뀌는‘교체’, 한쪽의 음운이 다른

쪽 음운의 성질을 닮는‘동화’, 두

음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없어지는

‘탈락’, 형태소가 합성될 때 그 사

이에 음운이 추가되는‘첨가’, 두

개의 자음이 이어지거나 두 개의

모음이 이어질 때 제3의 하나의 음

운으로바뀌는‘축약’등이있다.

두음 법칙

단어 첫머리에 오는 자음이 본래

의 음가를 잃고 다른 음으로 발음

되는 현상.

예⃝ 여자(女子)(○) / 녀자(×),

양심(良心)(○) / 량심(×)

‘렬, 률’의 표기

단어 첫머리에 오거나, 모음이나

‘ㄴ’받침 뒤에 이어지는‘렬, 률’

은‘열, 율’로 적는다.

원래형태를밝혀적는경우와소리나는대로적는경우

①구개음화와 관련됨.(‘ㄷ, ㅌ’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이(-)’나‘-히-’가 올 적에는, 그‘ㄷ, ㅌ’이‘ㅈ, ㅊ’으로 소리 나더라도

‘ㄷ, ㅌ’으로적는다.)

②‘계시다’는원형이‘계시다’임.(‘계, 례, 몌, 폐, 혜’의‘ㅖ’는‘ㅔ’로소리나는경우가있더라도‘ㅖ’로적는다.)

③ 두음법칙과관련됨.(단어의첫머리에오거나, 모음이나‘ㄴ’받침뒤에이어지는‘렬, 률’은‘열, 율’로적는다.)

④ 겹쳐나는소리와관련됨.(한 단어안에서같은음절이나비슷한음절이겹쳐나는부분은같은글자로적는다.)

한글맞춤법세부규정에대한소개

가급적이면하나의형태로한단어를나타내는것이독해나독서에유리하기때문에

사잇소리 현상의 경우, ‘머리말’의 경우 [머리말]과 같이 발음되므로‘머리말’로 적지만, ‘잇몸(이+몸)’의 경우에는 앞과 같은 조건이지만

[인몸]으로발음되어‘잇몸’으로적는다.

구개음화와관련됨.(제6항)

이중모음‘ㅖ’의단모음화와관련됨.(제8항)

일종의첩어와같으므로관용형식을취함.(제13항)

두음법칙과관련됨.(제10항)

그 변동이일반화되어누구나쉽게알수가있는경우

예시답|

예시답|

해돋이

핑계

연세

씁쓸한

(008~041)207교⑴1 2013.1.16 6:51 PM 페이지22 mac02 T

Page 6: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01 올바른 단어 사용 23

•형태에관한것

적용하기

다음중맞춤법에맞는단어를골라보자.

•그는 (괴로와 / 괴로워)하며눈물을흘렸다.

•아가야, 나오너라 (달맞이 / 달마지) 가자.

•(칼랄 / 칼날)이 무뎌져고기가잘썰리지않는다.

•추석에는 (해쌀 / 햅쌀)로 밥을지어차례를지냈다.

체언과 조사, 용언의 어간과 어미의 결합, 복합어의 형성과 같은 형태론적 과정에

도한글맞춤법의원리가적용된다.

체언과 조사,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합성어나

파생어와 같은 복합어의 경우, 어원이 분명한 경우에는 원형을 밝혀 적는다. 그러나

어원이 분명하지 않은 복합어는 소리대로 적는다. 복합어의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은,

복합어의 어원을 글자에 반영하여 의미 파악을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어간의 끝

‘ㅂ’이‘ㅜ’로 바뀔 경우 바뀐 대로 적어야 하므로, ‘가까와지고’는‘가까워지고’로

적는다. 어간에‘-이’나‘-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어야 하므로, ‘거름’은‘걸음’으로 적는다. 둘 이상의 단어가 어울리거나 접두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각각 그 원형을 밝혀 적어야 하므로‘꺽꽂이’은‘꺾꽂이’로 적

는다. 두 말이 어울릴 적에‘ㅎ’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어야 하므로, ‘살고

기’는‘살코기’로적는다.

맛보기

다음밑줄친단어들을한글맞춤법에맞게고쳐보자.

•우리는조금씩가까와지고있다.

•다리를다쳐거름을걸을수없었다.

•꺽꽂이한묘목에서싹이돋았다.

•카레에넣으려면살고기가좋다.

단어의 종류

하나의 형태소만으로

이루어진 단어단일어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

루어진 단어복합어

직접 구성 성분이 어근

만으로 이루어진 단어합성어

어근에 접사가 결합되

어 이루어진 단어파생어

한글 맞춤법 제31항의 예

•‘ㅂ’소리가 덧나는 것

댑싸리(대ㅂ싸리)

멥쌀(메ㅂ쌀)

볍씨(벼ㅂ씨)

•‘ㅎ’소리가 덧나는 것

머리카락(머리ㅎ가락)

수컷(수ㅎ것)

암탉(암ㅎ닭)

①‘ㅂ’불규칙활용과관련됨. [불규칙용언들은어미가바뀔경우, 그 어간이나어미가원칙에벗어나면벗어나는대로적는다.(제18항)]

②‘-이’가 붙어서 명사로 된 것. [어간에‘-이’나‘-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이’나‘-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밝히어적는다.(제19항)]

③‘칼’과‘날’이합성된말. [둘 이상의단어가어울리거나접두사가붙어서이루어진말은각각그원형을밝히어적는다.(제27항)]

④ 단어 첫머리에‘ㅂ’음을가지고있었던단어의흔적과관련됨. [두 말이 어울릴적에‘ㅂ’소리나‘ㅎ’소리가덧나는것은소리대로적

는다.(제31항)]

예시답|

한형태소이상의문제

독서나독해의효율성을위하여

밤낮, 물난리, 헛웃음등

제18항

제19항

제27항

제31항

형태소와단어형성의과정등

넙치, 올무, 납작하다등

복합어에서소리나는대로적는경우와원형을밝혀적는경우

예시답|

가까워지고

걸음

꺾꽂이

살코기

ㅂ불규칙활용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여 활

용할 때 어간 또는 어미의 모습이

달라지는 것을 불규칙 활용이라고

한다. 이 중에서‘ㅂ 불규칙’이란,

‘ㅂ’이 모음 어미 앞에서‘오/우’로

변하는 현상으로 그 예로는‘돕+

아 → 도와’, ‘아름답+아 → 아름

다워’등이있다.

(008~041)207교⑴1 2012.6.11 2:21 PM 페이지23 mac02 T

Page 7: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24 1. 말과 글의 규범

적용하기

다음문장을맞춤법에맞게띄어써보자.

•그가떠난지오래다.

•이돈이면소한마리를살수있다.

•비가올듯해어머니를도와드렸다.

맛보기

다음밑줄친부분을맞춤법에맞게띄어써보자.

①나도할수있다.

②집한채장만하기가참힘들다.

③내힘으로막아낸다.

•띄어쓰기

띄어쓰기에 대한 기본 원칙은“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이다.

최소 자립 형식인 단어를 띄어쓰기의 기준으로 삼은 것은 이렇게 해야 글을 이해하

기쉽기때문이다.

①에서 대명사‘나’와 조사‘도’는 붙여 쓴다.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써야 하기

때문이다. ‘도’뒤의‘할’은 동사이므로 앞 단어와 띄어 쓴다. ‘수’와‘있다’는 띄어

쓴다. 의존 명사는 띄어 써야 하는데, ‘수’가 의존 명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①은

‘나도할수있다.’로써야한다.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써야 하므로, ②의‘집한채’는‘집 한 채’로 써야

한다.

③에서‘막아’는본용언이고, ‘낸다’는보조용언이다. 보조용언은띄어씀을원칙

으로하되, 경우에따라붙여씀도허용하므로‘막아낸다’로쓰는것이원칙이고, ‘막

아낸다’도허용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

•본용언: 문장의 주체를 주되게

서술하는 용언.

•보조 용언: 본용언의 뜻을 보충

하는 역할을 하는 용언.

예⃝ 먹고 싶다본용언 보조 용언

의존명사

명사 중에 반드시 그 앞에 꾸며 주

는 말, 즉 관형어가 있어야만 쓰일

수 있는 명사이다. 이들 중에서 수

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되는 것

을 단위성 의존 명사라 한다. 예를

들면, ‘소 한 마리’에서‘마리’가 단

위성의존명사이다.

예시답|

나도할수있다.

집 한채

막아낸다.(원칙)

막아낸다.(허용)

그가 떠난지오래다.

이 돈이면소한마리를살수있다.

비가올듯해어머니를도와드렸다. (원칙)비가올듯해어머니를도와드렸다. (허용)

예외적으로조사는단어에해당하지만앞의체언에붙여씀.

단어를의미의단위로삼아글을이해하는경우가많기때문임.

의존명사

자립명사

수관형사

단위성의존명사제43항

제47항

단위성의존명사

제42항

제41항

띄어쓰기의기본원칙

띄어쓰기의각사례에대한설명

예시답|

단위성의존명사의띄어쓰기예

•한개 •차한대

•금서돈 •옷한벌

•열살 •조기한손

•신두켤레 •연필한자루

•북어한쾌 •버선한죽

의존명사

단위성의존명사

(008~041)207교⑴1 2013.1.16 6:51 PM 페이지24 mac02 T

Page 8: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01 올바른 단어 사용 25

배운후에

1 다음옛글과현대어풀이를바탕으로, 아래의활동을해보자.

(1) 옛글과현대어의표기상차이점을말해보자.

(2) 각 표기방식의장점과단점은무엇인지말해보자.

2 ‘한글맞춤법’에대하여다음과같이정리해보자.

•한글맞춤법의표기대상은 ( )이다.

•한글맞춤법은 ( )대로적되, 어법에맞도록함을원칙으로한다.

•어법에맞게적는다는것은각형태소의 ( )을 밝히어적는것이다.

담아보기

불휘기픈남 매아니뮐 곶됴코여름하 니

(뿌리가깊은나무는바람에움직이지아니하므로, 꽃이좋고열매가많으니)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제2장

선혜(善慧) 드르시고츠기너겨곳잇 가가시다가

(선혜가들으시고안타까이여겨꽃이있는곳을좇아가시다가)

- “월인석보(月印釋譜)”권 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조선 세종 27년(1445)에 정

인지, 안지, 권제 등이 지어

세종 29년(1447)에 간행한

악장의 하나. 훈민정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으로, 조선을

세우기까지 목조·익조·도

조·환조·태조·태종의 사

적(事跡)을 중국 고사(古事)에

비유하여 그 공덕을 기리어

지은 노래이다. 각 사적의 기

술에 앞서 우리말 노래를 먼

저 싣고 그에 대한 한역시를

뒤에 붙였다.

월인석보(月印釋譜)

조선 세조 5년(1459)에“월

인천강지곡”과“석보상절”을

합하여 간행한 책. “월인천강

지곡”의 각 절은 본문이 되고

그에 해당하는 내용의“석보

상절”을 주석(註釋)하는 식으

로 편찬하였다.

예시 답|옛글에서 드러나는 표기와 현대어의 표기는 그 원리에서부터 차이를 보인다. 과거의 표기는 음소적 원리에

따라 단어의 원형을 밝혀 적지 않고 소리대로 적고 있으며 이어적기(연철)를 하고 있다. 반면에 오늘날의 표기는 형

태음소적원리에따라각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한편음절단위로끊어적기(분철)를 하고있다. 또한 위의제시문

에서는 현대 독자의 이해를 위하여 띄어쓰기를 인위적으로 해 두었지만 원래의 표기법에서는 띄어쓰기가 존재하지

않으며, 오늘날에사용되는문장부호등도당시에는사용되지않았다.

예시 답|과거의 표기 방식은 발음을 그대로 반영하므로 쓰기에는 편리하지만, 글을 이해하거나 정확한 의미를 전달

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반면에 오늘날의 표기는 소리 나는 대로 적지 않으므로 실제의 발음을 표현하거나

글을쓰는데는상대적으로불편할수있으나글의이해와독서에는용이하다.

▶ 옛글과현대어의표기방식을파악하는활동

표준어

소리

원형

예시답|

▶한글맞춤법의대상과원리를정리하는활동

석가여래가부처가되기전의이름

(008~041)207교⑴1 2012.6.11 2:21 PM 페이지25 mac02 T

Page 9: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26 1. 말과 글의 규범

3 다음한글맞춤법조항을바탕으로, 아래의활동을해보자.

펼쳐보기

수돗물? 수도물?

소설‘독짓는늙은이’에는노인과아들그리고한할머니가나오죠? 제가가

진 책에는 그 할머니가 앵두나뭇집 할머니라고 나옵니다. 그런데 제 친구가 가

진 책에는 앵두나무집 할머니라고 되어 있습니다. 어느 게 맞는 것인가요? 또

장맛비와 장마비, 수돗물과 수도물 중 아직까지 어느 게 맞는 말인지 모르겠습

니다.

귀찮으시겠지만답을좀…….

배운후에

(1) 다음은국립국어원의게시판‘온라인가나다’에실린질문이다. 위의조항을

참고하여댓글을달아보자.

(2) 위 조항에해당하는예를찾아보자.

제30항사이시옷은다음과같은경우에받치어적는다.

1. 순우리말로된합성어로서앞말이모음으로끝난경우

(1) 뒷말의첫소리가된소리로나는것

(2) 뒷말의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덧나는것

(3) 뒷말의첫소리모음앞에서‘ㄴㄴ’소리가덧나는것

2. 순우리말과한자어로된합성어로서앞말이모음으로끝난경우

(1) 뒷말의첫소리가된소리로나는것

(2) 뒷말의첫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덧나는것

(3) 뒷말의첫소리모음앞에서‘ㄴㄴ’소리가덧나는것

3. 두 음절로된다음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예시 답|‘앵두나무 집’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쓰며, 따라서 사이시옷이 들어갈 수 없습니다.

그리고‘장맛비’는 [장마삐/장맏삐]로 소리나므로사이시옷이들어갑니다. 수도물은‘수도 + 물’의

구성을취한말입니다. 이 말은순우리말과 한자어의 합성어이고 [수돈물]로 발음되므로 뒷말의 첫

소리‘ㄴ, ㅁ’앞에서‘ㄴ’소리가덧나는것에해당됩니다.

따라서사이시옷을받치어적어야하므로표준어는‘수돗물’이맞습니다.

▶ 한글맞춤법조항을실제단어에적용해보는활동

사잇소리현상과표기법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쳐

져서 합성어가 될 때, 앞말의 끝소

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

가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

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을 말

한다. 또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이‘ㅁ, ㄴ’으로 시작되면 앞말

의 끝소리에‘ㄴ’소리가 하나 덧나

고, 앞말의 음운과 상관없이 뒷말이

모음‘ㅣ’나 반모음‘ㅣ’로 시작될

때‘ㄴ’이 하나 혹은 둘이 덧나는

현상도사잇소리현상의하나이다.

사잇소리 현상을 표시하기 위해 합

성어의 앞말이 모음으로 끝났을 때

는 받침으로 사이시옷을 적어야 한

다. 그런데 이 현상은 수의적인 음

운 변동이어서 표기에 대한 반영이

규칙적이지않다.

예시 답|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모음으로끝난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

가 등

(2)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

소리가 덧나는 것: 멧나물, 아랫니,

잇몸, 냇물, 빗물 등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두렛일, 뒷일, 뒷

입맛, 댓잎, 깻잎, 나뭇잎, 베갯잇등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모음으로끝난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 머릿방, 뱃병, 자릿세, 전셋집,

텃세 등

(2) 뒷말의 첫소리‘ㄴ, ㅁ’앞에서‘ㄴ’

소리가 덧나는 것: 곗날, 제삿날, 훗

날, 툇마루등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등

(008~041)207교⑴1 2013.1.16 6:51 PM 페이지26 mac02 T

Page 10: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01 올바른 단어 사용 27

4 다음은 형태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운 단어이다. 각 상황에 맞는 단어를 골라

보자.

(1) 우리는대전을 (거쳐서 / 걷혀서) 논산으로갈예정이다.

세금이잘 (거쳐야 / 걷혀야) 국가업무가계획대로진행될수있다.

(2) 그는부지런하다. (그러므로 / 그럼으로) 잘 산다.

그는열심히공부한다. (그러므로 / 그럼으로) 은혜에보답한다.

(3) 어떤일이있어도약속은 (반드시 / 반듯이) 지켜야한다.

고개를숙이지말고 (반드시 / 반듯이) 들어라.

(4) 그녀는고무줄을당겨길게 (늘렸다 / 늘였다).

재산을 (늘리려면 / 늘이려면) 더 열심히일해야한다.

(5) 너먼저가라. 나는 (이따가 / 있다가) 갈게.

여기서며칠더 (이따가 / 있다가) 갈 테니걱정하지마.

5 띄어쓰기규정을고려하여, 다음문장을바르게띄어써보자.

•노력한만큼좋은결과를얻는다는생각뿐이다.

•청군대백군의경쟁이점점치열해지고있다.

•이곳저곳을걸어다녀도보았지만여전히외로울뿐이었다.

•홍길동씨는이달말에만원짜리선물을받았다.

제45항 두 말을 이어 주거

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말

들은 띄어 쓴다.

제46항 단음절로 된 단어

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발음형태는비슷하면서뜻이다른단어의표기형태를구분하는활동

예시답|

▶띄어쓰기규정을실제문장에적용해보는활동

예시답|

노력한만큼좋은결과를얻는다는생각뿐이다.

청군대백군의경쟁이점점치열해지고있다.

이곳저곳을걸어다녀도보았지만여전히외로울뿐이었다.

홍길동씨는이달말에만원짜리선물을받았다.

각단어의의미

•거치다: 오가는 도중에 어디를 지

나거나들르다.

•걷히다: ‘여러 사람에게서 돈이나

물건 따위를 받아들이다.’라는 의

미의‘걷다’의피동사.

•그러므로: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

의 이유나 원인, 근거가 될 때 쓰

는접속부사.

•그럼으로(써): 그렇게 하는것으로.

•반드시: 틀림없이꼭.

•반듯이: 작은 물체, 또는 생각이나

행동 따위가 비뚤어지거나 기울거

나굽지아니하고바르게.

•늘리다: ‘살림이 넉넉해지다.’라는

의미의‘늘다’의사동사.

•늘이다: 본디보다더길게하다.

•이따가: 조금 지난뒤에.

•있다가: ‘있다’의‘있-’에 어떤 동

작이나 상태가 끝나고 다른 동작

이나 상태로 옮겨지는 뜻을 나타

내는어미‘-다가’가붙은형태.

‘뿐’의띄어쓰기

•조사‘뿐’의 경우: ‘그것만이고 더는 없음’또는‘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보조사로,

제41항‘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는 원칙에 따라

앞말에붙여쓴다.

•의존 명사‘뿐’의 경우: ‘다만 어떠하거나 어찌할 따름

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제42항‘의존 명사는 띄

어쓴다.’는원칙에따라앞말과띄어쓴다.

관형사와명사가결합하여하나의단어로쓰이는말

관형사‘이, 그, 저’와 수식을 받는 명사가 결합되어 하

나의 단어로 굳어져 사전에 등재된 경우, 붙여 쓰는 것

이적절하다.

예⃝ 이곳/그곳/저곳, 이분/그분/저분, 이것/그것/저것, 이

달/그달등

제48항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

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

어쓴다.

•서화담

•채영신씨

•최치원선생

•박동식박사

•충무공이순신장군

(008~041)207교⑴1 2013.12.30 3:0 PM 페이지27 mac02 T

Page 11: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28 1. 말과 글의 규범

6 다음은우리주변에서흔히볼수있는, 맞춤법에어긋난사례들이다. 이를맞춤

법에맞게고쳐보자.

엮어보기

다<차림표>

김치찌게 5000원

육계장 5000원

수재비 5000원

떡볶기 2000원

모밀국수 5000원

배운후에

예시답|

미시요→미시오, 어름 →얼음

문여는→문여는, 이문 →이문

•김치찌게 → 김치찌개, 육계장 → 육개

장, 수재비 → 수제비, 떡볶기 → 떡볶이,

모밀→메밀

•‘5000 원’과 같이, 의존 명사‘원’은 띄

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

는붙여쓸수있다.

차카게→착하게

▶잘못표기된단어들을맞춤법에맞게고쳐보는활동

한글맞춤법제15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

는다.

[붙임 2] 종결형에서 사용되는 어미

‘-오’는‘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오’로 적

는다.

예⃝‘이것은책이오.’, ‘이리오시오.’

제19항

어간에‘-이’나‘-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이’나‘-히’가 붙

어서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

형을밝히어적는다.

예⃝ 길이, 깊이, 높이, 얼음, 걸음, 믿

음 등

(008~041)207교⑴1 2012.6.11 2:21 PM 페이지28 mac02 T

Page 12: (2) 한글맞춤법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 · 현대의한글맞춤법은음소적원리를기본으로하되, 단어의원형을밝혀적는방

01 올바른 단어 사용 29

7 다음은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의 내용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어지는 활동을 해

보자.

(1) (가)와 (나)의 표기상특징을말해보자.

(2) (나)의 표기방식이쓰인이유를설명해보자.

(3) (나)의 표기방식에대하여찬성과반대로나누어토론해보자.

친구야, 나 이번에 국

문과에 합격했어. 기분

이 매우 좋아. 네가 축

하해 주면 더 기분이

좋을거야.

칭구, 추카추카. 니가

궁문과에 들어가따니

나두 넘 마니 조아. 이

제부터 잼있는거하며

사라.

▶맞춤법에어긋나는표기방식이쓰이는이유를탐구해보는활동

예시 답|(가)는 국어의 규범에 맞게 표기하였으나, (나)는 어법에 맞지 않게 소리 나는 대로 적고 띄어쓰기 원칙도

지키지않아규범을벗어난표기를보이고있다.

예시 답|(나)의 표기는 휴대 전화의 문자 메시지에서 사용된 것이다. 휴대 전화 메시지는 일종의 전자 매체상의 글쓰기로, 언

어 사용의 국면에서 일반적으로 탈규범적이고 일탈적인 표현이 선호된다. 그리고 담화의 상황맥락으로 볼 때, 친구와 친구 사

이라는 관계가 작용하여 상대적으로 규범성이나 정확성보다는 친밀감이나 발랄함, 재미를 추구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한 소리나는대로적으면표기를더욱쉽게할수있기때문에이러한표기방식을사용하게된것이라고볼수있다.

예시 답|•찬성: 친구 간의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나 인터넷 채팅 등에서 (나)와 같은 표기 방식을 사용하면 서로의

친밀감을높이고문자입력을좀더빠르게할수있으므로이러한표기를할수있다.

- 규범적 언어의 사용이 지닌 취지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다양한 상황에 따라 국어의 표현을 전략적으로 조절하며

사용하는것이더욱좋다.

•반대: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의 사용도 엄연히 국어 사용의 한 국면이므로 정확하고 바르게 국어를 사용함으로써

국어를아름답게가꾸어야한다.

- 사용하는말은그사람의인격이나인품을드러내므로언제어디서나바르고고운말을쓰도록노력해야한다.

(008~041)207교⑴1 2012.6.11 2:21 PM 페이지29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