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9
. 삼국의 성립과 발전 93 교과서66`~`73쪽 1. 삼국과 가야의 문화 [도입] 주제의 개관 및 학습 목표 제시 * 진단 평가 실시: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하고자 하였던 까닭은 무엇일까? [전개] •삼국에서 각기 개성 있는 문화가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을 정리하게 한다. •삼국의 탑, 불상 등 불교와 관련한 문화재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한다. •삼국에서 유행했던 고분 양식을 정리하게 하고, 돌무지덧널무덤과 굴식 돌방무덤의 구조 상의 차이를 탐구하게 한다. •삼국과 가야의 예술, 유학 교육, 역사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리] * 형성 평가 실시: 구조상 벽화가 많이 남아 있는 삼국 시대 무덤 형식은? * 학습 내용 확인 및 차시 학습 안내 2. 삼국과 가야의 대외 교류 [도입] 주제의 개관 및 학습 목표 제시 * 진단 평가 실시: 신라와 일본의 불상 모습이 비슷한 이유는 무엇일까? [전개] •삼국이 주변 국가와의 교류를 통해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고, 문화를 발전시켰음을 설명 한다. •가야가 낙랑과 백제, 왜 등의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하였음을 이해하게 한다. •삼국과 가야의 문화가 일본 열도에 전파되어 일본 고대 문화 성립에 이바지하였음을 파 악하게 한다. [정리] * 형성 평가 실시: 백제 기술자들이 일본에 세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탑은? * 학습 내용 확인 및 차시 학습 안내 18 19 차시 교수·학습 내용 수업 방법 수업 자료 문답식 강의식 탐구식 강의식 문답식 문답식 강의식 탐구식 문답식 CD 67쪽 사진 68쪽 자료 69쪽 자료, 70쪽 자료 학습지 CD 71, 72쪽 사진 72쪽 사진, 73쪽 자료 학습지 •삼국과 가야의 불교 예술과 고분 문화의 내용을 중심으로 삼국 문화의 특징을 추론할 수 있다. •삼국과 가야의 상호 교류 및 대외 교역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삼국과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삼국의 성립과 발전 삼국과 가야의 문화 및 대외 교류 교수·학습과정안 0 5

Upload: others

Post on 26-Ju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Ⅱ. 삼국의 성립과 발전 ◀9933

|교과서|66̀~7̀3쪽

1. 삼국과가야의문화

[도입] 주제의개관및학습목표제시

*진단평가실시: 법흥왕이불교를공인하고자하였던까닭은무엇일까?

[전개]

•삼국에서각기개성있는문화가발전할수있었던배경을정리하게한다.

•삼국의탑, 불상등불교와관련한문화재의종류와특징을설명한다.

•삼국에서유행했던고분양식을정리하게하고, 돌무지덧널무덤과굴식돌방무덤의구조

상의차이를탐구하게한다.

•삼국과가야의예술, 유학교육, 역사서에대하여설명한다.

[정리]

*형성평가실시: 구조상벽화가많이남아있는삼국시대무덤형식은?

*학습내용확인및차시학습안내

2. 삼국과가야의대외교류

[도입] 주제의개관및학습목표제시

*진단평가실시: 신라와일본의불상모습이비슷한이유는무엇일까?

[전개]

•삼국이 주변 국가와의 교류를 통해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고, 문화를 발전시켰음을 설명

한다.

•가야가낙랑과백제, 왜등의사이에서중계무역을하였음을이해하게한다.

•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악하게한다.

[정리]

*형성평가실시: 백제기술자들이일본에세운세계에서가장오래된목탑은?

*학습내용확인및차시학습안내

18

19

차시 교수·학습 내용 수업 방법 수업 자료

문답식

강의식

탐구식

강의식

문답식

문답식

강의식

탐구식

문답식

CD

67쪽 사진

68쪽 자료

69쪽 자료,

70쪽 자료

학습지

CD

71, 72쪽 사진

72쪽사진,

73쪽자료

학습지

•삼국과가야의불교예술과고분문화의내용을중심으로삼국문화의특징을추론할수있다.

•삼국과가야의상호교류및대외교역의내용을파악할수있다.

•삼국과가야문화의일본전파내용을설명할수있다.

학습목표

Ⅱ. 삼국의성립과발전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

교수·학습과정안

05

(072~103)205역사지도서1-2 2012.9.4 8:14 PM 페이지93 mac02 T

Page 2: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9944 ▶각론

1. 삼국과 가야의 문화

⑴ 각국 문화의 특징

①고구려: 웅장하고활기찬문화

②백제: 우아하고세련된문화

③신라: 투박하면서도실용적인문화

④가야: 단정하고보수적인문화

⑵ 불교와 사상

①불교 수용: 중앙집권체제로성장하는과정에서수용,

왕즉불(王卽佛) 사상, 문화발전에기여

②도교 수용: 산천숭배나신선사상과결합(백제의금동대

향로, 고구려의사신도벽화)

⑶ 불교 예술의 발달

①사찰 및 석탑: 신라의황룡사9층목탑·분황사석탑, 백

제의미륵사지석탑·정림사지5층석탑

②불상: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고구려), 서산마애여래

삼존상(백제), 경주배동석조여래삼존입상(신라)

⑷ 고분

①고구려: 돌무지무덤, 굴식돌방무덤

②백제: 돌무지무덤, 벽돌무덤, 굴식돌방무덤

③신라: 돌무지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④가야: 널무덤, 덧널무덤, 돌덧널무덤,

⑸ 그림과 음악

①그림: 고구려고분벽화, 신라천마도

②음악: 신라방아타령, 고구려거문고, 가야가야금

⑹ 한자와 유교의 보급

①고구려: 태학, 광개토대왕릉비의예서체한자

②백제: 오경박사, 사택지적비

③신라: 임신서기석, 세속5계

⑺ 역사와 천문

①역사서: 고구려의“유기”와“신집”, 백제의“서기”, 신라

의“국사”, 가야의“개황록”

②천문연구: 농사에활용, 왕권강화

학습내용정리

2. 삼국과 가야의 대외 교류

⑴ 고구려의 대외 교류

①남북조와교류: 선진문물수용(불교, 유학, 율령등)

②중앙아시아와 교류: 서역문화수용(각저총벽화, 아프라

시아브궁전벽화유적)

⑵ 백제의 대외 교류

①남조와교류: 불교, 도자기, 학문, 기술도입→국가제도

정비

②무령왕릉출토유물: 백제와남조의교류뒷받침(청동자

루솥, 오수전, 청동거울등)

⑶ 신라의 교류 확대

①초기: 고구려를통해선진문물수용

•중국문물: 청동용기, 도자기, 금세공술

•중앙아시아문물: 유리제품, 칠보장식보검

•고구려문물: 청동호우, 은합

② 6세기 이후: 중국과직접교류→토산물수출, 불경등

수입

⑷ 가야의 중계 교역

①초기: 낙랑과왜사이의중계교역(낙랑의선진문물수

입, 왜에선진문물과철수출)

②후기: 백제와왜사이의중계교역→왜에선진기술, 장

신구등수출

⑸ 삼국과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①문화 전파의 주체: 국가, 지방세력, 한반도에서일본으

로건너간사람들

②문화전파의사례

•가야: 납작도끼, 덩이쇠, 마구, 철제갑옷, 토기

•백제: 오경박사, 승려를통한유교, 불교, 건축기술

•고구려: 종이와먹제조방법, 불교

•신라: 불상(고류사목조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교과서과제풀이

생각 열기 ▶▶▶ 교과서 66쪽

불교 수용을 둘러싼 가부(可否) 논쟁에 대하여, 흔히 왕실은 보편

적 원리인 불교를 통하여 새로운 국가 이념을 마련하고자 하였

다 하고, 귀족들은 급격한 정치 개혁을 원하지 않는 보수적인 입

장이었기 때문에 불교 수용에 반발하였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

런 추상적인 표현보다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소국이나 초기 고대 국가 단계에서 왕은 천신의 자손을 자처하

기 때문에, 나라에 천재지변이나 흉년과 같은 일이 생기면 이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 그렇기 때문에“삼국지”‘위

서 동이전’부여 조에서와 같이, “비 오고 가무는 것이 순조롭지

않아 오곡이 익지 않으면 번번이 그 허물을 왕에게 돌려 혹자는

왕을 바꾸어야 한다고 하고 혹자는 왕을 죽여야 한다고 말했다.”

라는 내용과 같은 상황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그러나 불교는 크샤트리아 계층에 속하는 석가모니의 사상이기

(072~103)205역사지도서1-2 2012.9.4 8:14 PM 페이지94 mac02 T

Page 3: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Ⅱ. 삼국의 성립과 발전 ◀9955

때문에, 그 세계관 자체에 제사장 및 최고 귀족인 브라만 계층에

구애받지 않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불교 사상에서는 모든 것이

하늘의 뜻이 아니라 인간 세상의 인과응보에 의한 것이라고 보

고, 전륜성왕(轉輪聖王)과 같은 왕으로 태어나려면 전생에 수많

은 선행을 베풀어야 가능하다고 하 다. 그러므로 불교적 세계관

에서는 왕이 천재지변에 책임질 이유가 없었다.

법흥왕은 전륜성왕 사상에 의거하여 신라 최초의 사찰을‘흥륜

사(興輪寺)’라고 하 고, 진흥왕은 자신의 두 아들의 이름을‘금

륜(金輪)’과‘동륜(銅輪)’이라고 하 다. 이로 보아 불교를 수용할

당시 신라 왕실의 주요 관심은 불교의 전륜성왕 사상을 빨리 수

용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왕실은 천신적 세계관에서 탈피하고 불교적 세계관을 이어받아

왕위의 부담에서 벗어나 자유로이 왕권을 강화하고 싶었다. 반면

에 귀족들은 천신적 세계관에서 벗어나면 왕을 견제할 수 있는

명분이 없기 때문에 이를 반대했던 것이다.

탐구 활동 ▶▶▶ 교과서 68쪽

1. 돌무지덧널무덤은 목곽을 만든 후 시체를 담은 관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서 묻고 그 위에 나무 뚜껑을 덮는 방식이기 때문

에, 목곽 안의 공간이 방이나 집과 같다고 인식하지 않았고 목

곽 내부를 다시 열어 보는 일도 없었다. 그러므로 목곽 내부에

벽화를 그리지 않았다고 보인다. 돌무지덧널무덤은 사후의 혼

령이 밖으로 새어 나오지 못하도록 목곽 위를 엄청난 분량의

돌무더기로 덮고 그 위에 다시 흙을 덮는 방식이었다.

2. ⑴ 제1기(3세기 후반~5세기 초): 여러 방에 걸쳐서 묘 주인

이나 그의 생전 생활 모습과 풍속, 행렬 등을 그렸다. 황

해도의 안악 3호분, 평양 유주 자사 진의 무덤 등이 대표

적이다.

2. ⑵ 제2기(5세기 중엽~6세기 초): 방이 두 개나 한 개로 줄어

들고, 그 방에 생활 풍속, 사신도, 여러 가지 장식 무늬 등

을 그렸다. 사신도와 장식무늬는 생활 풍속도의 주변에 부

수적인 주제로 위치하 다. 중국 지린 성 지안의 무용총,

평양의 쌍 총 등이 대표적이다.

2. ⑶ 제3기(6~7세기): 방이 모두 한 개로 되어 있고, 내부에는

사면의 벽에 동서남북으로 각 방위의 수호신인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의 사신도만을 그렸다. 평양의 강서 대묘와 강서

중묘가 대표적이다.

생각 열기 ▶▶▶ 교과서 71쪽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은 경주 단석산 마애 불상군의 반가

사유상과 같은 양식에 속하고, 하반신 부분의 옷 주름 처리 방식

은 경북 봉화에서 발견된 석조 여래 좌상과 유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비슷한 불상이 일본에 있고 고대 일본은 백제와

친하 기 때문에,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을 제작한 나라를

백제로 보는 견해와 신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일본 교토의 고류 사[廣隆寺]에는 일본 국보인 목조 미륵보살 반

가 사유상이 있는데, 그 모습이 한국의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

상과 거의 비슷하다. “일본서기”에는 623년에 신라 사신이 가져

간 불상을 가츠노하타데라[葛野秦寺]에 모셨다는 기록이 나오는

데, 그 절이 지금의 고류 사이다.

일본은 6세기 말까지 소가씨(蘇我氏) 주도로 친백제 외교 노선을

취하 으나, 수와 당이 출현하는 7세기 전반에는 신라 및 당과도

관계를 맺는 다면 외교(多面外交)를 추진하 고, 정권 내부에 친

신라적 경향도 강하 다. 당시 백제의 침입을 받아 곳곳에서 전

쟁을 벌이고 있던 신라는 후방에 있는 왜를 안정시키고자 왜국

의 문화 전수 요청을 비교적 잘 들어주었다.

고류 사는 교토 서쪽 교외의 가츠노[葛野]에 살던 하타노가와카

츠[秦河勝]가 603년에 세운 호코 사[蜂岡寺, 太秦寺]와 같은 절

이라고 전해진다. 하타히토[秦氏]는 중국 시황제의 후손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지만, 실제로는 신라에서 건너간 이주민의 자손이

라고 보는 것이 보통이다. 게다가 그 불상 재료가 일본에는 별로

없고 한반도에서 많이 나는 적송(赤松)임이 밝혀지면서 우리나라

에서 제작되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학습 내용 확인하기 ▶▶▶ 교과서 73쪽

1. ⑴ ㉠, ㉤, ㉥, ⑵ ㉡, ㉢, ㉣

2. ⑴ 태학, ⑵ 돌무지덧널

3. 일본

고구려 문화의 특징

고구려는 만주와 한반도 북부에 넓은 토를 차지하고

동북아시아교역의중심으로웅비하 다. 고구려는이러한

자신감을바탕으로중국과중앙아시아유목민의문화를종

합하여웅장하고활기찬성격의문화를이룩하 다. “삼국

지”‘위서동이전’에서는, 고구려사람들은무릎을꿇고절

을 할 때 한쪽 다리를 뻗고, 걸음걸이가 모두 달리는 것처

럼빠르다고하 으며, 사람들은기력이있어서전투를잘

한다고하 는데, 이는 고구려사람들의호쾌한기풍을지

적한것이다. 고구려문화의특징은배가부르고입이넓은

네 귀 달린 토기나 고분 벽화의 화려한 색채 및 역동적인

몸움직임등에서확인할수있다.

백제 문화의 특징

백제는2~3세기에낙랑과인접한마한에소속되어낙랑

문화의 향을크게받았는데, 그강도는멀리떨어진진한

이나변한에비길정도가아니어서초기의백제문화는거

18차시

18차시

학습목표내용더하기

Page 4: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9966 ▶각론

의낙랑문화그자체였다고할수있다. 그러나건국신화

를 통해 볼 때 백제는 원래 고구려와 같은 부여족이었고,

낙랑의 정치적 견제에 대항하여 투쟁하면서 고대 국가로

성장하였다.

그리하여 백제는 낙랑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으면서

도고구려계통의돌무지무덤문화를발전시켜나갔다. 또

한 4세기 이후에는 동진(東晉), 5세기 이후에는 송(宋), 제

(齊), 양(梁) 등 중국 남조의 귀족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

하면서우아하고세련된문화성격을나타내게되었다. 백

제의전형적인세발토기[三足器]와이중입술항아리〔二重

口緣壺〕등을통해그문화적성격을알수있다.

가야 문화의 특징

2~3세기경상도지역의묘제와토기문화는거의같다.

그래서학계에서는흔히이를‘진·변한공통문화기반’이

라고 언급한다. 이는 2~3세기 경상도 지역의 문화가 기본

적으로 남한의 민무늬토기 문화와 서북한의 세형 동검 문

화의결합으로성립되었기때문이다.

그러나 낙랑과의 교류라는 측면에서 보면 진한과 변한

은지정학적위치에따라상대적인차이가난다. 변한의맹

주국인 김해의 구야국(狗邪國), 즉 가야국(加耶國)은 서해

안과 남해안으로 이어지는 물결이 잔잔한 연안 항로의 끝

에위치하였기때문에해로를통해낙랑과직접교류할수

있었던 반면에, 진한의 맹주국인 경주의 사로국(斯盧國),

즉 신라국(新羅國)은 물결이 거친 동해안에 위치하여 해로

의직접적인목적지가될수있는여건을갖추지못하였다.

이때문에진한은변한의낙동강유역을통해서 2차적으로

낙랑의문물을접했을가능성이크며, 이를 통해진·변한

공통문화기반이유지되었을것이다. 그문화는상당히합

리적인 성격을 띠는 중국 후한 대(後漢代) 문화의 영향을

받아단정한형태를나타낸다.

진·변한 공통 문화 기반은 낙랑군과 대방군이 고구려

에 의하여 소멸되는 4세기 초 이후에 분리되기 시작한다.

그래서 4세기전반의영남지역은그때까지축적한문화를

토대로 상호 간에 항쟁하면서 각 지역별로 문화가 분리되

는모습을띤다. 4세기후반에한강유역의백제가크게대

두하여 옛 대방군이 있었던 황해도 지역을 차지하고 해상

교역로를개척해오자, 가야 연맹은다시하나로통합되어

그들과교역하였다. 그 문화는당시의시류를반영하여기

마 및 전쟁 관련 문화가 대폭 혼합되었으나, 기본 성격은

18차시

예전의낙랑, 대방문화의연장선위에있었다.

그결과가야문화는 2~3세기이래낙랑의영향을받아

형성된진·변한공통문화기반이큰수정없이그대로유

지되어, 단정하고보수적인문화성격을띠게되었다. 가야

는 5세기 이후 중심지가 경상 내륙의 고령 지방으로 옮겨

지는큰정치적변혁을겪지만, 이러한문화성격은가야가

멸망할때까지그대로유지되어, 가야 토기양식의굽다리

접시[高杯]와 목 항아리[長頸壺] 및 그릇 받침[器臺] 등의

토기 모습이 처음부터 끝까지 크게 변화하지 않고 원래의

단아한모습을유지하였다.

신라 문화의 특징

신라문화는가야와같이진·변한공통문화기반을출

발점으로하였지만, 4세기후반에는고구려문화의영향을

받아사회전반에큰변혁이이루어졌다. 382년에신라사

신 위두(衛頭)가 고구려의 인도를 받아 전진(前秦)에 갔을

때전진왕부견( 堅)이“경이말하는해동의일이옛날과

다르니어찌된것이오?”라고질문했던것은이러한사실을

반영한다. 그리하여 5세기 이후로 신라의 문화는 옛 진·

변한공통문화기반을토대로하면서크게변화하여투박

하고실용적인문화성격이가미되었다. 이에따라옛형식

에서크게변화한신라토기양식의굽다리접시와굽다리

목 항아리[臺附長頸壺]가 나타났고, 시대 분위기가 변화함

에따라지속적으로기형(器形)이변화하였다.

왜 문화의 특징

왜는 6세기 전반까지 지리적으로 인접한 가야 문화의

영향을가장많이받았으나, 어떤문물을수용하더라도곧

그 실용성은 무시하고 외형만을 모방하며 대형화하는 면

모를 보였다. 이는 고대 일본 열도가 농경이 발달하여 인

구는 많았지만, 사회 통합 정도나 문화 수준이 한반도 남

부보다 낮아서 기본적으로 의례(儀禮)를 중시하고 대부분

의 문화적 도구들을 피지배층에 대한 과시용으로 사용하

였기때문이다.

그리하여 왜의 문화는 가야 문화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이를수용하는과정에서변형되어형식적이고위압적인성

격을 띠게 되었다. 변한의 작고 실용적인 청동 종방울[銅

鐸]과청동투겁창[銅 ]이 2~3세기일본의야요이문화에

서는 50cm 이상으로 커지고 폭이 크게 넓어지는 것은 이

를반영한다. 일본의스에키[須惠器]도처음에는가야도질

18차시

18차시

(072~103)205역사지도서1-2 2012.9.4 8:14 PM 페이지96 mac02 T

Page 5: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Ⅱ. 삼국의 성립과 발전 ◀9977

토기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지만, 곧 형식적이고 위압적인

형태로변화된다. 스에키중에서접시부분은납작한형태

이면서도 다리 부분이 과도하게 길어진 굽다리 접시에서

그전형을볼수있다.

왜의 문화는 6세기 중엽 이후 백제의 유교와 불교 미술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한 차례 더 변화하나, 역시 백제 문

화의외형만을받아들일뿐, 일본 문화의형식적이고위압

적인성격은그대로유지된다.

삼국과 가야의 불교 예술 문화

고대 국가들은 불교문화를 접하게 되면서 사후 세계를

위하여고분을크게축조하기보다는불교사찰을건설하고

그에걸맞은정신세계의발전을도모하였다. 이 과정은당

시의최고지식인인승려들을통해이루어져수준높은건

축기술, 탑, 공예, 회화, 음악등이나타났다.

사원 건축으로는 신라의 황룡사와 분황사, 백제의 미륵

사와 정림사 등이 유명하다. 황룡사에는 거대한 9층 목탑

이 세워지고 금당에는 황금을 칠한 장육존상이 있어서 신

라의 자랑거리였으나 지금은 모두 전하지 않는다. 분황사

에는 벽돌 모양으로 다듬은 돌로 쌓은 석탑이 3층까지만

남아 있으나, 그것만으로도 신라 조형 예술의 아름다움을

알수있다.

미륵사의부지에는높은목탑과그양쪽에두기의석탑

이있었으나, 현재는목탑을모방하여만든서쪽석탑일부

만남아있다. 부여정림사지 5층석탑은백제말기의대표

적인석탑으로안정되고경쾌한모습을띠고있다. 고구려

는주로목탑을건설하여지금까지남아있는것이없다.

불상으로는 고구려의 연가 7년명 금동 여래 입상, 백제

의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신라의 경주 배동 석조

여래 삼존 입상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한국인의 온화한

미소를띠고있어푸근한인상을준다. 가야에도인접한백

제나신라를통해불교가전래되었을것으로보이나, 왕권

이 미성숙한 상태에서 멸망하여 인상적인 불교 예술을 남

기지못하였다.

미륵사지 출토 사리호와 사리 봉영기

미륵사지 서탑 1층 해체 조사가 진행되던 2009년에 석

탑 중앙에서 사리공이 발견되었다. 서기 639년에 백제 무

왕의 왕후가 봉안한 그대로였다. 그 안에서 사리, 유리구

슬, 사리호, 금제사리봉영기, 은제관식, 청동합등다양

18차시

18차시

한공양품이출토되었다. 특히 사리외호는표면에연꽃덩

굴무늬와 연꽃잎무늬를 가득 음각하여 화려한 백제 공예

기술의정수를보여주었다.

미륵사는 백제 무왕 때 신라 진평왕의 딸 선화 공주가

발원하여창건된것으로알려져있으나, 미륵사지서탑사

리 봉영기에는 서탑이 백제 무왕의 왕후인 좌평 사택덕적

의딸이발원한것으로되어있다. 그렇다면 3탑 3금당식

의미륵사에서가장큰중원은선화공주가발원하고, 양쪽

의 동원과 서원은 각기 다른 왕후들이 발원하였을 가능성

이높다.

고구려의 고분 문화

고구려초기부터성행하였던돌무지무덤은후기에굴식

돌방무덤에 밀려 퇴조하였다. 고구려의 수도가 있었던 환

런[桓仁], 지안[集安], 평양(平壤) 일대에는 돌방 내부에 벽

화를그린벽화고분이집중적으로분포한다. 처음에는고

분내부에생활풍속을주로그렸으나, 점차연꽃무늬를비

롯한 장식 무늬와 청룡·백호·주작·현무의 사신도 위주

로변해갔다.

백제의 고분 문화

한성 시대의 백제 고분은 둘레에 도랑을 두른 널무덤과

즙석식돌무지무덤의두가지양식이유행하였다. 그후웅

진시대에는중국남조계통의벽돌무덤을도입하였고, 사

비 시대에는 굴식 돌방무덤을 조성하였으며 그 내부에는

사신도를그린것도있었다.

신라의 고분 문화

신라의고분은원래널무덤과덧널무덤계통이었으나, 4

세기후반에거대한돌무지덧널무덤을축조하면서문화적

으로크게성장하였다. 그 후 6세기중엽이후에는고구려

나백제와같이굴식돌방무덤으로전환되었다.

가야의 고분 문화

전기 가야 시대의 고분은 주로 널무덤과 덧널무덤이었

으나, 후기가야시대에는재료를돌로바꾸고규모를키워

돌덧널무덤에거대한봉토를씌우는방식으로변화하였다.

6세기중엽에이르러서는백제의영향을받아굴식돌방무

덤을조성하였으며, 그 중에는천정에연꽃무늬를그린것

도있었다.

18차시

18차시

18차시

18차시

(072~103)205역사지도서1-2 2012.9.4 8:14 PM 페이지97 mac02 T

Page 6: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9988 ▶각론

고구려의 음악과 무용

“삼국사기”에는고구려의재상왕산악이중국진의칠현

금을보고거문고를만들어 100여곡을지어연주하였더니

검은학이날아와춤을추었다는기록이있다. 고구려에서

는 거문고외에도 서역계 악기로 추정되는 오현 비파(五絃

琵琶)와피리, 요고(腰鼓, 장구) 등이사용되었다.

2009년에는 경기도 연천 호로고루의 고구려 성에서 군

대행진이나전투신호에쓰이는큰북인상고(相鼓)의토제

실물이출토되기도하였다. 이로 보아고구려는중국계및

서역계악기들을자신의것으로소화하여사용하였다고할

수있다.

백제의 음악과 무용

광주광역시신창동에서는우리나라에서가장오래된기

원전 1세기경의 현악기가 출토되었는데, 그 길이는 77cm

이고 줄의 숫자는 10줄 내지 12줄이었다. 6세기경의 대전

월평동 유적에서는 여덟 줄을 사용하는 현악기의 머리 부

분[羊耳頭]이발견되었다. 백제금동대향로의뚜껑부위에

는현악기인완함과거문고, 관악기인젓대와배소, 타악기

인 북의 다섯 악기를 연주하는 악사들이 부조되어 있어서

백제의음악생활을보여준다.

백제궁중에서는중국남조음악의대표적악기인공후,

쟁, 우( ), 지( ), 적(笛) 등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남조와

음악적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 준다. 7세기 초에는 백제 사

람인 미마지(味摩之)가 중국 남조에서 배운 탈춤의 일종인

기악(伎樂)을일본에전하였는데, 이것이일본가면극의기

원이되었다.

신라의 음악과 무용

신라자비왕때백결선생은아내를위하여고유의현악

기로 방아 찧는 소리를 모방한 곡을 연주하였다고 한다.

5~6세기경의 토기들에는 가야금, 완함, 피리 등을 연주하

는토우들이장식되기도하였다.

가야의 음악과 무용

가야의 가실왕은 중국의 쟁을 개조하여 12줄을 쓰는 가

야금을만들었고, 대가야악사인우륵은이를가지고 12곡

을만들어연주하였다. 그중에 10곡은가야지방향악임에

비하여, 2곡은무용반주곡인기악이다. ‘보기(寶伎)’는금

색의 공을 가지고 노는 곡예에 쓰인 음악이고, ‘사자기(師

18차시

18차시

18차시

18차시 子伎)’는 사자 가면을 쓰고 추는 춤에 쓰이는 음악으로서,

둘다중국남조에서들어와정착한것이다. 우륵은대가야

가멸망하기이전인550년경에가야금과12곡을신라사람

들에게전하였고, 진흥왕은이를신라의공식음악으로지

정하였다.

기원전 1세기 한반도의 문자 생활

평양의한고분에서발견된기원전 1세기중엽의“논어”

목간과 낙랑군 호구 조사 목간으로 보아 한반도의 일부에

서는 이미 유학을 배우고 한자를 행정에 활용하고 있었음

을알수있다. 경남창원의기원전 1세기후반널무덤에서

붓이두자루출토되어가야지역사람들이문자를사용했

음을추정할수있다.

고구려의 유학과 역사서

고구려는소수림왕때인 372년에태학을건립하여유학

을 본격적으로 수용하였다. 광개토 대왕릉비(414)에는

1,775자의한자가예서체로새겨져있어고구려문자생활

을잘보여준다. 고구려는역사서도편찬하였는데국초에

는“유기”100권이 있었고, 영양왕 때인 서기 600년에는

태학박사이문진이“신집”5권을편찬하였다.

백제의 유학과 역사서

백제는 4세기 후반 근초고왕 때 박사 고흥이 역사서인

“서기”를편찬하였다는사실로보아일찍이한자를사용하

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백제 한성 시대의 도성이었던 서

울풍납토성에서는흙으로만든벼루가출토되고, 인천계

양산성에서는“논어”공야장일부의목간이발견되어, 5세

기 이전에 백제 사람들이 문자를 사용하고 유교를 학습하

였음을 보여 준다. 6세기 무령왕과 성왕 때에는 오경박사

들이유학교육을담당하였다. 백제말기의대좌평이쓴사

택지적비에는 늙어가는 것을 탄식하여 불교 사찰과 탑을

세운다는내용을세련된문체로적고있다.

신라의 문자 생활과 역사서

1988년에 발견된 울진 봉평비(524), 1989년에 발견된

영일 냉수리비(503), 2009년에 발견된 포항 중성리비

(502) 등으로 보아 신라에서는 6세기 초부터 한자가 일반

행정에사용되고있었음을알수있다. 진흥왕때거칠부는

신라의 역사서인“국사”를 편찬하였고, 당시의 경남 함안

18차시

18차시

18차시

18차시

(072~103)205역사지도서1-2 2012.9.4 8:14 PM 페이지98 mac02 T

Page 7: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Ⅱ. 삼국의 성립과 발전 ◀9999

성산산성에서는누가어디서어떤짐을얼마만큼보낸다는

내용이적힌짐꼬리표목간이다량출토되었다.

7세기 초 진평왕 때 승려인 원광 법사가 화랑들에게 유

교 윤리가 포함된 세속 5계를 가르치고 중국의 수에 보내

는걸사표를지었다는것으로보아, 당시의유학교육이나

외교문서작성은승려가담당하기도하였음을알수있다.

임신서기석에서는 신라의 청년 두 사람이 3년 안에“시

경”, “상서”, “예기”, “춘추”를습득하기를맹세하는내용

이보인다.

가야의 역사서

신라에서활약하던금관가야의후예들은자신들의조상

인 가야 왕들의 계보를 기록한“개황록”을 편찬하였다.

“삼국유사”가락국기조의말미에는거등왕부터구형왕까

지계보가소개되어있고“개황록”이인용되어있는데, 거

기에는 거등왕이“나라의 세조(世祖)가 금란(金卵)에서 나

왔다고 하여 김을 성(金姓)으로 칭하였다.”라는 기록과 구

형왕이“양 중대통 4년(532) 임자에 신라에게 항복하였

다.”라는기록이있었다고한다.

그런데“개황(開皇)”은수문제(文帝)의연호이고김유신

이 개황 15년(595) 을묘에 출생한 것으로 보아, 이“개황

록”은김유신과관련하여문무왕대전후에편찬되었고, 그

내용에는 수로 신화를 비롯한 가락국 왕력이 포함되었을

것이라고추정할수있다. 한편“개황록”의편찬시기를수

개황 연간(581~600)인 신라 진평왕 때라고 하는 견해도

있다.

고대 초기의 대외 교류

한국, 중국, 일본을 둘러싼 국가 차원의 교역은 위만 조

선때부터시작되었으나, 위만 조선멸망이후 3세기무렵

까지 동북아시아의 교역은 중국이 한반도 북부에 설치한

군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에서도 북방의 부여와

고구려는현도군을통해, 남방의삼한과예는낙랑군및대

방군을통해중국과교역하였다.

고구려는 현도군에 대한 공세를 펴면서도 조공 관계를

형성하여 한반도 북부와 중국 사이의 교역을 중계하였다.

한편 함경도 및 강원도 북부의 옥저와 동예는 고구려에게

정복되어 공납을 바치는 방식으로 교역 체계 속에 편입되

었다.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삼한 소국의 수장들은 군현을 통

19차시

18차시

해중국과조공무역을하거나, 김해의가야국과같이유리

한해운여건을이용하여외래상인들과시장교역을하였

다. 이를 통해 중국의 청동 거울, 용기, 철제 고리자루 큰

칼, 낙랑의비단과칠기, 유리나수정으로만든장신구, 진

한과변한의철, 왜의청동제의기등이교역되었다.

중국 군현들은 선진 문물의 배분을 통해 한반도 내부의

통합을견제하였으나, 차츰이들세력에대항할수있는힘

을지닌고구려와백제가교역주체로등장하였다. 특히 3

세기 후반에 신라가 내륙 교통로를 개척하여 새로운 교역

주체로 등장하자, 원래의 교역 거점을 차지하였던 가야도

신라와 영역을 다투며 권력 통합을 추구하였다. 그리하여

중국 군현이 소멸되는 4세기에 동아시아의 교역은 다원적

인 체제로 재편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의 4개 지역

중심이나타났다.

고구려의 대외 교류

4세기이후중국군현의방해가사라지자고구려는요동

및 한반도 서북 지역의 중국계 이주민을 흡수하고 중국의

남북조와직접교역하여선진문물을받아들이면서급속하

게성장하였다.

고구려는중국북부의전연, 전진및남조의동진, 송등

에서금속장식허리띠, 마구, 자루솥, 청자등의선진문물

과불상, 불경, 태학, 율령과같은고급정신문화를도입하

였다. 고구려는 중앙아시아와도 교류하여 횡적(橫笛)과 요

고(腰鼓) 등 서역 계통의 관악기와 타악기를 받아들였다.

지안의 각저총 벽화나 우즈베키스탄의 아프라시아브 궁전

벽화에서도고구려가중앙아시아와교류한흔적을찾을수

있다.

또한 고구려는 중앙아시아와 동북 만주 일대의 주변 민

족에게철제생활도구등을공급하고그대가로담비를비

롯한 모피나 천연 보석류를 받아 중국에 중계 교역하거나

자신들이 생산한 은이나 말을 중국에 수출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고구려는 5~6세기에동아시아북부의중추적중

계교역자겸생산자로서중국의남북조및주변민족들을

조율해나갔다.

백제의 대외 교류

백제는 중국 군현의 방해가 사라지자 한반도 서북 지역

의낙랑및대방계이주민을흡수하고중국의남조와직접

교역하여선진문물을받아들이면서급속하게성장하였다.

19차시

19차시

(072~103)205역사지도서1-2 2012.9.4 8:14 PM 페이지99 mac02 T

Page 8: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110000 ▶각론

백제는 4~5세기에주로중국남조와교역하여서진, 동

진, 송에서귀족들의수요품인고급도자기등을수입하였

고, 5~6세기에는송, 양에서각종서적, 박사, 기술자등을

받아들이는등국가제도정비를위한고급정신문화수입

에주력하였다. 백제는교역의대가로중국에주로노동력

을 제공하였다. 백제는 남중국에서 수입한 문물을 바탕으

로 신라, 가야 및 왜에 대한 국제 교역망을 구축하고자 하

였다. 특히백제는 6세기중엽이후왜의요청에따라오경

박사, 불상, 경론, 화공, 건축가를비롯한각종기술자등을

일본에 보냄으로써 나라 지방의 아스카 문화 성립에 이바

지하였다.

신라의 대외 교류

4세기 무렵의 신라는 아직 제도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

의사회통합을이루지못한상태였기때문에중국과직접

교역하기보다는 고구려를 통한 제한적인 교역에 머무르고

있었다. 4~5세기경 신라는 고구려를 통하여 중국의 자루

솥과고급도자기, 각종청동용기, 금 세공술, 중앙아시아

의자작나무껍질관모, 페르시아유리용기, 칠보장식보

검, 옥상감금팔찌등을수입하고, 고구려의청동호우, 은

합등도들여왔다.

6세기이후에신라는중국과의직접교섭에나서양, 북

제, 진, 수 등에사신을보내조공하여토산물을보내고불

경과같은고급정신문화의수입을도모하였다.

가야의 대외 교류

4세기 무렵의 가야는 아직 제도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

의사회통합을이루지못한상태였기때문에중국과직접

교역하기보다는 백제와 제한적인 교역을 하였고, 왜는 가

야와 2차적인교역을하였다. 가야는 3세기무렵까지한반

도남부에서가장활발한중계교역자였으나, 낙랑군이약

화된 이후에는 서북한 지역과의 교역이 감소하고 일본 열

도와의교류가빈번해졌다. 가야는왜에철과선진문물을

공급하였으며, 왜는 그 대가로 노동력이나 군사력을 가야

에제공하였다.

19차시

19차시

5세기부터 6세기전반까지후기가야는백제와왜 사이

에서중계교역을하였고, 이과정에서가야의선진기술과

장신구 등이 일본 열도로 건너갔다. 그리하여 5~6세기 일

본열도각지역의대형고분들에서는대가야계통의금동

관, 금귀걸이, 말재갈, 말띠드리개, 말머리가리개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경북 고령에서는 오키나와산 야광패로

만든국자와왜계청동거울등이출토되었다.

삼국과 가야 문화의 일본 전파

삼국과 가야의 문화는 일본 열도에 전파되어 일본 고대

문화의성립과발전에큰영향을끼쳤다. 한반도문화의일

본전파는국가나지방세력사이의교역과원조를통해이

루지기도 하였지만, 피란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이주한사람들에의하여이루어지기도하였다.

가야는 해로 교통이 편리한 지형적 요인에 힘입어 왜와

밀접하게 교류하였다. 왜는 5세기 후반까지 철을 자체 생

산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가야에서 납작 도끼나 덩이쇠와

같은철소재를수입하여철기를생산하였다. 또한왜는도

질토기인스에키, 마구, 철제갑옷과그제작기술등도가

야에서전수받아일본고대문명을성립시킬수있었다.

일본고대문화의물질적측면이가야와의교류및가야

의 기술자 원조로 형성되었다면, 고급 정신문화는 백제의

지원으로이루어졌다고할수있다. 주로 6세기이후백제

는 오경박사, 승려 등을 일본에 파견함으로써, 국가 제도

정비에필요한한자, 유학, 불교, 역법등을전하였으며, 건

축, 공예, 미술분야의기술자도파견하였다.

고구려도 7세기에종이와먹의제조방법, 백제와다른

계통의 불교 등을 전파하여 일본 고대 문화에 영향을 끼

쳤다.

신라와일본의문화교류가적었지만, 일본의국보인고

류사의목제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신라의금동미륵보

살반가사유상과외형이거의같아서신라가보내준것으

로추정된다.

이처럼삼국과가야의문화는일본고대문화형성에물

질적, 정신적측면에서장기간에걸쳐큰영향을미쳤다.

19차시

(072~103)205역사지도서1-2 2012.9.4 8:14 PM 페이지100 mac02 T

Page 9: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viewpds.jihak.co.kr/tsoldb/%EA%B5%90%EA%B3%BC%EC%84%9C%E…•삼국과가야의문화가일본열도에전파되어일본고대문화성립에이바지하였음을파

Ⅱ. 삼국의 성립과 발전 ◀110011

내내용용확확인인하하기기

교과서|74̀~7̀5쪽

지도를시대순으로나열해보자.1

고구려

신라

가야

백제

동해

황해

고구려

백제

신라

동해

황해

마마무무리리

❶중국의후연과거란을격파하고영토를넓혔으며, 자신을‘태왕’이라부르게하였다.

❷황해도지역까지영토를넓히고, 중국남조와교류하였다.

❸적극적인영토확장을추진하여각지에순수비를세웠다.

❹가야산의철광개발로성장하여후기가야연맹의중심이되었다.

❺신라의대표적인고분양식으로, 황남대총, 천마총등이대표적이다.

삼국의

성립과발전

가야의

성립과발전

삼국과가야의문화및대외교류

다음지도를보고물음에답하시오.

과제풀어가기

•변한의소국들이형성

•중심세력: 금관가야

•발전: 중계무역으로발전

•해체: 고구려군대의공격

〈전기가야연맹〉

• 를중심으로형성

•중국과교류, 신라와대립

•해체: 백제와신라의압박으로위축

→신라에게멸망

〈후기가야연맹〉

고구려

신라

가야

백제

동해

황해

다음단계에따라글을써보자.2

구분 성립 발전

•압록강과 훈장 강 유역에

서건국

•국내성으로수도천도

•태조왕: 고대국가건설

•소수림왕: 불교수용, 율령반포

• : 요동·만주지역으로영토확장

•장수왕: 남하정책→한강유역차지

고구려 계통 이주민과 한강

유역의토착세력결합

•고이왕: 왕권강화, 남당설치

• : 중앙집권체제확립, 영토확장

•무령왕: 웅진에서중흥의기반마련

•성왕: 사비천도, 관산성싸움에서전사

고구려

백제

진한12국중사로국에서

출발

•내물왕: 김씨왕위세습확립, ‘마립간’칭호

•지증왕: ‘신라’로국호변경, ‘왕’호칭사용

•법흥왕: 율령반포, 불교공인

• : 화랑도개편, 한강유역까지확장❸

신라

구분 성립

•왕권강화에이용

•불교예술: 탑, 불상, 사원건축

•고구려: 굴식돌방무덤, 벽화

•백제: 벽돌무덤

•신라: ❺

불교

고분

•한자보급, 유학교육, 역사책편찬

•천문연구: 신라의첨성대학문

•고구려: 중국, 중앙아시아와교류

•백제: 중국남조와교류(무령왕릉)

•신라: 6세기이후중국과직접교류

•가야: 왜와백제사이에서중계무역

① ② ③

나는 의전성기를이끌었던 이다.

①위에제시된지도중하나를선택한다.

②선택한지도에서가장넓은지역을차지한국가의왕이누구인지파악한다.

③자신이왕이되었다고생각하고업적을자랑하는글을쓴다.

대외교류

•삼국과가야문화가일본에전파

•일본고대문화형성에영향

마마무무리리풀풀이이

❶ 광개토 대왕

✚ 신라에 군대를 파견하여 왜군을 몰아냈다.

❷ 근초고왕

✚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❸ 진흥왕

✚ 흥륜사와 황룡사를 완공하여 사상적 통합을 도모하였다.

❹ 대가야

✚ 중국 남조의 제와 교류하였고, 신라에 구원군을 보냈다.

❺ 돌무지덧널무덤

✚ 지하에 구덩이를 파거나 지상에 목곽을 짜 놓고 돌무더기를

덮은 후 그 위를 흙으로 입혀 다진 무덤이다.

1. ③ - ① - ②

2. ① 5세기 고구려 전성기의 지도로 광개토 대왕, 장수왕 무렵

에 해당함을 파악하고, 고구려 대외 정복 과정과 두 왕의

업적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지도한다.

2. ② 신라의 전성기를 이룩한 6세기 진흥왕 때의 지도이다. 진

흥왕의 국내 체제 정비 과정과 영토 확장을 서술하도록

지도한다.

2. ③ 백제가 역사상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한 4세기 무렵의 지

도이다. 근초고왕의 중압 집권 체제 확립과 영토 확장을

서술하도록 지도한다.

|지도 요령|

과과제제풀풀어어가가기기

|예시 답안| ② 진흥왕 때의 지도로 글 작성

나는 신라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진흥왕이다. 나는 왕위

에 있으면서 거칠부에게“국사”를 편찬하도록 하였고, 국

가 차원의 사찰인 흥륜사를 완공하였으며, 삼국 통일의 원

동력이되는화랑도를정비하였다.

나는고구려의변경을침략하여, 충주와단양등남한강

변에있는 10개 군을차지하였고, 관산성전투에서승리하

여 한반도 중부를 점령하였다. 555년에는 가야 연맹에 속

해 있던 경상남도 창녕을 차지하고, 이듬해에는 함경남도

까지 영역을 넓혔다. 이어 고령의 대가야를 멸망시켜 가야

의영토를완전히우리신라에편입시켰다. 이렇게해서우

리신라는역사상최대의영토를확보하였다.

(072~103)205역사지도서1-2 2012.9.4 8:14 PM 페이지101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