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stry ndust ry briefrief -...

3
I Industry ndustry Brief rief Analyst 지목현 (6309-4650) [email protected] 2012. 9. 28 가전전자부품/디스플레이 Overweight 대만 탐방 보고: 중국 시장 및 애플 동향 중심 ▶ 결론: 삼성전기, 삼성SDI, LG디스플레이 긍정적 -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견조한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경쟁심화와 제조능력 향상이 동시 진행. 미디어텍의 듀얼 및 쿼드코어 칩 솔루션 공급 본격화로 중국 스마트폰 업 체의 제조능력은 크게 향상될 전망.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에 다소 부담요인이 될 가 능성 존재. 다만 통신 사업자 시장 확대는 여전히 기회요인. 중국 국경절 TV 수요는 예상보다 양호. 패널가격은 4분기까지 유지 예상. 애플의 아이폰5 및 아이패드 미니 등 신모델 수요 전망 긍정적. 아이폰6는 2013년 2분기내 출시 전망. ▶ 투자포인트 1. 스마트폰: 중국 고성장 지속. 신규 제조사 급증과 제조능력 향상이 동시 진행 - 130$ 이하의 저가 스마트폰 위주로 성장 가속화. 당분간 2G와 3G 중심으로 성장. 4G LTE 이전은 시간이 걸릴 것. 3G 비중 50% 이하로 침투율은 낮은 상황. 2013년은 교체 수요 본격화로 미드 하이엔드 시장 성장 빨라질 것. - 중국시장은 경쟁심화와 제조능력 향상이 동시 진행. 화이트박스 제조사의 진입장벽 은 지속적으로 낮아져 신규 제조사 급증 추세. 배경은 미디어텍의 턴키방식 공급. 미 디어텍은 최근 듀얼코어 공급 시작. 2013년 초 쿼드코어 공급 예정에 따라 중국 제 조사의 미드 하이엔드급 스마트폰 제조 경쟁력은 높아질 전망. 삼성전자와 같은 국 내 업체에 부담요인. 다만 통신사업자 시장확대 추세는 삼성전자에 여전히 기회요인. 2. LCD: 중국 국경절 수요 예상보다 양호. 2013년 화두는 UD 및 셀 판매 확대 - 국경절 TV 수요는 예상보다 양호. 전년대비 10-15% 성장 전망. 상반기 부진 지속 이후 최근 개선 추세. 패널가격은 3분기 및 4분기 유지 전망. 내년 2월 춘절 영향으 로 12월 재고축적 수요 기대. - 2013년은 UD급 고해상도 TV 시장 성장 전망. 특히 CMI가 UD에 공격적. 기술 수준 은 낮으나 드라이버 IC로 보완. UD등 고해상도 전환에 따른 공급 캐파 축소 효과 예 상. 공급캐파 축소는 각각 FFS 전환시 25%, LTPS 전환시 50% 수준 - 셀 판매 비중 확대에 따라 업체별 셀 경쟁력에 따른 점유율 변동 가능. 셀 경쟁력의 핵심은 투과율. 높은 투과율은 BLU에서 코스트 절감 기회를 크게 제공. LGD는 최근 대만 TV SI 업체로 부터 신규 오더 증가 추세. 향후 LGD의 점유율 확대와 마진 개선 예상. LGD 셀 판매 비중은 2012년 13%, 2013년에 50% 이상 목표

Upload: others

Post on 06-Aug-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Industry ndust ry Briefrief - home.imeritz.comhome.imeritz.com/include/resource/research/house/IT_120928.pdf결론: 삼성전기, 삼성sdi, lg디스플레이 긍정적 ... - 윈도우8

IIndustry ndustry Briefrief

Analyst 지목현 (6309-4650)

[email protected]

2012. 9. 28

가전전자부품/디스플레이

Overweight

대만 탐방 보고: 중국 시장 및 애플 동향 중심

▶ 결론: 삼성전기, 삼성SDI, LG디스플레이 긍정적

-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견조한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경쟁심화와 제조능력 향상이

동시 진행. 미디어텍의 듀얼 및 쿼드코어 칩 솔루션 공급 본격화로 중국 스마트폰 업

체의 제조능력은 크게 향상될 전망.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에 다소 부담요인이 될 가

능성 존재. 다만 통신 사업자 시장 확대는 여전히 기회요인. 중국 국경절 TV 수요는

예상보다 양호. 패널가격은 4분기까지 유지 예상. 애플의 아이폰5 및 아이패드 미니

등 신모델 수요 전망 긍정적. 아이폰6는 2013년 2분기내 출시 전망.

▶ 투자포인트

1. 스마트폰: 중국 고성장 지속. 신규 제조사 급증과 제조능력 향상이 동시 진행

- 130$ 이하의 저가 스마트폰 위주로 성장 가속화. 당분간 2G와 3G 중심으로 성장.

4G LTE 이전은 시간이 걸릴 것. 3G 비중 50% 이하로 침투율은 낮은 상황. 2013년은

교체 수요 본격화로 미드 하이엔드 시장 성장 빨라질 것.

- 중국시장은 경쟁심화와 제조능력 향상이 동시 진행. 화이트박스 제조사의 진입장벽

은 지속적으로 낮아져 신규 제조사 급증 추세. 배경은 미디어텍의 턴키방식 공급. 미

디어텍은 최근 듀얼코어 공급 시작. 2013년 초 쿼드코어 공급 예정에 따라 중국 제

조사의 미드 하이엔드급 스마트폰 제조 경쟁력은 높아질 전망. 삼성전자와 같은 국

내 업체에 부담요인. 다만 통신사업자 시장확대 추세는 삼성전자에 여전히 기회요인.

2. LCD: 중국 국경절 수요 예상보다 양호. 2013년 화두는 UD 및 셀 판매 확대

- 국경절 TV 수요는 예상보다 양호. 전년대비 10-15% 성장 전망. 상반기 부진 지속

이후 최근 개선 추세. 패널가격은 3분기 및 4분기 유지 전망. 내년 2월 춘절 영향으

로 12월 재고축적 수요 기대.

- 2013년은 UD급 고해상도 TV 시장 성장 전망. 특히 CMI가 UD에 공격적. 기술 수준

은 낮으나 드라이버 IC로 보완. UD등 고해상도 전환에 따른 공급 캐파 축소 효과 예

상. 공급캐파 축소는 각각 FFS 전환시 25%, LTPS 전환시 50% 수준

- 셀 판매 비중 확대에 따라 업체별 셀 경쟁력에 따른 점유율 변동 가능. 셀 경쟁력의

핵심은 투과율. 높은 투과율은 BLU에서 코스트 절감 기회를 크게 제공. LGD는 최근

대만 TV SI 업체로 부터 신규 오더 증가 추세. 향후 LGD의 점유율 확대와 마진 개선

예상. LGD 셀 판매 비중은 2012년 13%, 2013년에 50% 이상 목표

Page 2: Industry ndust ry Briefrief - home.imeritz.comhome.imeritz.com/include/resource/research/house/IT_120928.pdf결론: 삼성전기, 삼성sdi, lg디스플레이 긍정적 ... - 윈도우8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2

3. 터치패널: 윈도우8 출시와 함께 태블릿용 신규 수요 증가 예상. 경쟁심화 가운

데 수익성 확보가 관건

- 윈도우8 출시는 노트북 보다 태블릿 신규 수요 창출에 기여할 것. 태블릿용

터치는 다양한 방식이 혼재. 삼성은 GFF, 아마존은 GG, 구글 넥서스7은 G2,

MS 서피스 RT는 G1F 등

- G2는 모바일에서는 양산이 어려우나 태블릿은 완화된 강도 기준에 따라

sheet 방식으로 적용 확대 가능. LG전자의 G폰용 G2 터치패널은 수율 개선

어려운 상황. 최근 대만 TPK가 추가 공급업체로 선정된 것으로 파악.

- 인셀 방식은 단기적으로 애플외 타 제조사로 시장 확대가 어려울 것. 이유는

다양한 모델별 커스터마이징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삼성전자와 같은 제조사

에는 진입 가능성이 제한적

- 경쟁 심화와 태블릿 저가격화에 따라 터치패널 업체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

수율 개선을 위한 공정관리 능력이 수익성 확보에 핵심 경쟁력

.

4. 애플: 신모델 수요 긍정적. 아이폰6 2013년 2분기내 출시 예상

- 아이폰5 및 아이패드 미니 수요 전망 긍정적. 아이폰5 3분기 15M, 4분기

40M. 아이패드 미니 4분기 10M 이상.

- 아이패드 미니는 10월 중순 출시 전망. 터치는 GF2 방식으로 무게 감소. 현재

니샤프린팅의 ITO 코팅 공정 수율 저하로 터치패널 공급 일부 차질.

- 아이폰6 2013년 2분기 이내 출시 목표로 준비 중. 화면 사이즈 추가 확대 이

외에 구체적 스펙은 알려진 바 없음.

Page 3: Industry ndust ry Briefrief - home.imeritz.comhome.imeritz.com/include/resource/research/house/IT_120928.pdf결론: 삼성전기, 삼성sdi, lg디스플레이 긍정적 ... - 윈도우8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3

Compliance Notice

동 자료는 작성일 현재 사전고지와 관련한 사항이 없습니다.당사는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과 계열회사의 관계가 없으며 2012년 9

월 28일 현재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의 유가증권(DR, CB, IPO, 시장조성 등) 발행 관련하여 지난 6개월 간 주간사로 참여하지 않

았습니다. 당사는 2012년 9월 28일 현재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의 지분을 1%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의 조사분석 담당

자는 2012년 9월 28일 현재 동 자료에 언급된 종목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본 자료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작성자: 지목현)

동 자료는 투자자들의 투자판단에 참고가 되는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배포되는 자료입니다. 동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사 리서치

센터의 추정치로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성이나 완벽성은 보장하지 않습니다. 동 자료를 이용하시는 분은 동 자료와 관련

한 투자의 최종 결정은 자신의 판단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등급 관련사항

1. 종목추천관련 투자등급(추천기준일 종가대비 4등급)

→아래 종목투자의견은 향후 6개월간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추천종목의 예상 목표수익률을 의미함.

ㆍStrong Buy :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0%이상.

ㆍBuy :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15%이상 ~ +50%미만.

ㆍHold :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이상 ~ +15%미만.

ㆍReduce :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미만.

2. 산업추천관련 투자등급(추천기준일 시장지수대비 3등급)

→아래 산업투자의견은 시가총액기준 산업별 시장비중 대비 보유비중의 변화를 추천하는 것.

ㆍ비중확대(Overweight).

ㆍ중립(Neutral).

ㆍ비중축소(Underwe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