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œ맥연 소식지 vol.5(2).pdf · 산액이...

8
1 인사말(조장환 이사장) 사회 (김정곤 원장) 운영위원 위촉장 수여(강문석) 운영위원 위촉장 수여자들 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 2월 24일 단국대학교 약학관 종합강의실에서 총회를 가졌습니다. 회원님들의 성원에 감사를 드립니다. □ 일시 : 2012. 2. 24(금) 13:30 ~ 14:20 □ 장소 : 단국대학교 약학관 종합강의실 □ 본 총회에서(사)한맥연 운영위원을 위촉하고 위촉장을 수여하였습니다. Vol.5(2월)

Upload: others

Post on 25-Sep-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œ맥연 소식지 vol.5(2).pdf · 산액이 발효 5년차에 7,026억원, 10년차에 1조280억원, 15년차에 1조2,758억원이

1

인사말(조장환 이사장) 사회 (김정곤 원장)

운영위원 위촉장 수여(강문석) 운영위원 위촉장 수여자들

☉ 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 ☉2월 24일 단국대학교 약학관 종합강의실에서 총회를 가졌습니다.회원님들의 성원에 감사를 드립니다.

□ 일시 : 2012. 2. 24(금) 13:30 ~ 14:20

□ 장소 : 단국대학교 약학관 종합강의실

□ 본 총회에서(사)한맥연 운영위원을 위촉하고 위촉장을 수여하였습니다.

Vol.5(2월)

Page 2: 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œ맥연 소식지 vol.5(2).pdf · 산액이 발효 5년차에 7,026억원, 10년차에 1조280억원, 15년차에 1조2,758억원이

2

성 명 소 속

강 문 석 국립식 량과학 원 기 획조정 과

구 본 철 국립식 량과학 원 바 이오에 너지작 물센타

권 순 종 국립농 업과학 원 생 물안전 성과

김 경 문 경상대 학교 농업생 명과학 대학 농학과

김 대 호 경상남 도농업 기술원 작물 연구과

김 성 택 제주도 농업기 술원 농산물 원종장

김 종 덕 천안연 암대학 축산 계열

김 태 수 국립식 량과학 원 맥 류사료 작물과

박 태 일 국립식 량과학 원 맥 류사료 작물과

백 성 범 국립식 량과학 원 전 작과

서 득 용 (전)영남 농시 전작과

서 재 환 농업기 술실용 화재단 종자 사업단

신 재 순 농촌진 흥청 농촌현 장지원 단 고 객센타

우 선 희 충북대 학교 농업생 명환경 대학 식물자 원학과

이 광 원 국립식 량과학 원 맥 류사료 작물과

이 춘 기 국립식 량과학 원 전 작과

이 춘 우 국립식 량과학 원 기 술지원 과

임 근 발 (전 )국 립축산 과학원 초지 사료과

임 시 규 농업기 술실용 화재단 종자 사업단

장 영 직 전라북 도농업 기술원 작물 경영과

정 재 현 충청북 도농업 기술원 전작 팀

정 헌 상 충북대 학교 농업생 명환경 대학 식품공 학과

조 수 현 강원도 농업기 술원 작물경 영연구 과

최 재 성 국립식 량과학 원 맥 류사료 작물과

최 진 경 전라남 도농업 기술원 쌀연 구소

최 홍 집 경상북 도농업 기술원 작물 연구과

현 종 내 국립식 량과학 원 맥 류사료 작물과

황 종 진 국립식 량과학 원 전 작과

홍 기 흥 충청남 도농업 기술원 식량 자원연 구과

홍 순 택 충남대 학교 농업생 명과학 대학 식품공 학과

황 철 호 단국대 학교 식량생 명공학 과

♣ 운영위원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운영위원 》

Page 3: 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œ맥연 소식지 vol.5(2).pdf · 산액이 발효 5년차에 7,026억원, 10년차에 1조280억원, 15년차에 1조2,758억원이

3

▣ 총회에서 2012년 주요 추진사항을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습니다.

♣(사)한맥연 주요 추진 사항

▶ 정기총회와 주제별 심포지엄을 동시에 개최한다

▶ 회지는 “맥류산업연구”로 하고 회원 투고와 심포지엄 발표 내용을 동시에 수록한다

▶ 재원확보를 위해 회지 및 소식지에 광고를 적극적으로 게재한다

▶ 춘계현장 방문행사를 5월에 개최한다

▶ 기관 회원 확보를 위한 운영위원회를 한시적으로 운영한다

▶ 분과위원회별 포럼 개최를 활성화 한다

▶ 회원간 정보교류를 위해 홈페이지 이용을 활성화 한다

▶ 연구용역사업을 매년 2개 이상을 추진한다

▶ 본연구원을 친환경 농산물 및 우수농산물(GAP)인증기관으로 등록한다

▶ 기타 기관운영을 위한 수익사업을 발굴하여 수행한다

Page 4: 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œ맥연 소식지 vol.5(2).pdf · 산액이 발효 5년차에 7,026억원, 10년차에 1조280억원, 15년차에 1조2,758억원이

4

제4주제 : 최근육성 맥류품종 소개

(국립식량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장 김기종)

제2주제 : 국산밀 산업현황과 정책과제

((사)국산밀산업협회 상임이사 이한빈)

심포지엄 좌장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대학교수 노재선)

심포지엄 연사님들

제1주제 : 조사료 작부모형 설정

(계명문화대학교 명예교수 신정남)

제3주제 : 보리산업의 현황과 수매중단에 따른

대응방안((사)한맥연 원장 김정곤)

☉ 2012년 맥류산업 심포지엄 (2부) ☉ - 좌장 :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대학 교수 노재선

◐ 제1 주제 : 조사료 작부모형 설정 (계명문화대학 명예교수 신정남)

◐ 제2 주제 : 국산 밀 산업현황과 정책과제 ((사)국산밀산업협회 상임이사 이한빈)

◐ 제3 주제 : 보리산업의 현황과 수매중단에 따른 대응방안 ((사)한맥연 원장 김정곤)

◐ 제4 주제 : 최근육성 맥류품종 (국립식량원 맥류사료작물과장 김기종 )

Page 5: 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œ맥연 소식지 vol.5(2).pdf · 산액이 발효 5년차에 7,026억원, 10년차에 1조280억원, 15년차에 1조2,758억원이

5

공 지 사 항

○ 소식지 작품공모

- 종류 : 산문, 수필, 꽁트, 시등

- 제출기한 : 수시접수

○ 제출방법 : 메일 [email protected]

□ 2012년 1차 고문단 회의를 갖고자 합니다.

▸일정 : 2012. 3. 30 (금) 12:00 ~ 15:00

▸장소 : (사)한맥연 회의실

▸회의내용 : 기관회원 확보를 위한 운영위원회 운영계획

농업인, 학계 및 연구기관, 맥류 관련업계 종사자 등 누구나 가입을 하실 수 있습니다.

가입을 희망하시는 분은 입회원서1부와 개인 연회비(50,000원)를 납부하여 주시면

됩니다.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면 입회원서를 보내드립니다.

한맥연 홈페이지에서도 가입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 연락처 : 031-892-6644, 070-8734-6644

● 이메일 : kw bidi@ nate .com

● 홈페이지 : http://www.borimil.org

● 회비계좌 : 농협:355-0012-9825-53

(사)한국맥류산업발전연구원

Page 6: 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œ맥연 소식지 vol.5(2).pdf · 산액이 발효 5년차에 7,026억원, 10년차에 1조280억원, 15년차에 1조2,758억원이

6

구 분 성 명

심포지엄

참가비

강달순 권순종 권영업 권태오 김경훈 김기종

김석현 김석호 김양길 김재철 김정곤 김종덕

김태수 노재환 박문웅 박태영 박태일 박형호

백성범 송태화 신재순 신정남 신하용 윤석용

이미자 이정준 임근발 정재현 조상균 진영호

최재성 최진경 최홍집 한옥규 허재영 현종내

황종진

(총37명)

구 분 성 명 소 속

개인회원

강성택 단국대학교 식량생명공학과

노재환 국립식량과학원 맥류사료작물과

안완식 (사)한국토종연구회

윤성탁 단국대학교 식량생명공학과

이규길 제주홍암가(주)

이종경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종자사업단

허재영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기관회원 (사 )국 산 밀 산 업 협 회

성명 소 속 금액(천원)

김기종 국립식량원 150

김정곤 (사)한맥연 200

박문웅 (사)한맥연 50

이한빈 (사)국산밀산업협회 200

최창휴 (사)한맥연 500

하용웅 (사)북방농업연구소 100

이현삼 영광군농업기술센터 찰보리빵

박은주 영광군농업기술센터 찰보리빵

▶ 신규가입 회원

▶ 2012년 연회비, 심포지엄 참가비 및 찬조금 납부현황(2월)

● 주소 : 441-857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로 266(서둔동 240-1) 성은빌딩 301호 ● 전화 : 031-892-6644, 070-8734-6644 ● FAX : 031-892-6644 ● 메일 : [email protected]

구 분 성 명

연회비

강달순 강문석 권순종 권태오 김경훈 김기종

김석현 김석호 김정곤 김종덕 김태수 박은주

박종철 박태일 서재환 신정남 신하용 윤석용

윤성탁 이현삼 조장환 진영호 최재성 최홍집

허재영 현종내 (총26명)

Page 7: 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œ맥연 소식지 vol.5(2).pdf · 산액이 발효 5년차에 7,026억원, 10년차에 1조280억원, 15년차에 1조2,758억원이

7

FTA 체결에 따른 한우 생존전략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박태일

(사)한국맥류산업발전연구원 운영위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 발효를 앞두고 국가적인 손익에 대한 해석이 연

일 이슈가 되고 있다. 자원이 부족한 우리 처지로서는 고급 기술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로 무역을

통한 경제부흥만이 유일한 대안이라고 한다. 국가간 FTA가 발효되면 전체적으로는 이익이 될지 모

르지만, 가장 피해가 예상되는 분야는 농업이다. 한국농업경제연구원은 한․미 FTA 이행시 농어업 생

산액이 발효 5년차에 7,026억원, 10년차에 1조280억원, 15년차에 1조2,758억원이 감소하여 15년간

의 누적 감소액이 12조6,683억(연평균 8,445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중 축산부문이 7

조3천억 정도로 추산되어 전체 예상 피해액의 58%를 차지하며, 그 중에서도 주로 쇠고기와 돼지고

기 분야가 5년차, 1,040억원에서 15년차, 4,438억원으로 늘어나 누적액은 3조원(연평균 2,002억원)

으로 축산부문의 41%(전체의 24.6%)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 호주나 미국, 캐나다의 쇠고기 값이 우리 한우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FTA로 인해 관세 없이

쇠고기 수입이 자율화된다면 축산업을 포기하는 축산인이 늘어나게 될 것이고, 그에 따른 한우 사

육 기반 또한 무너질 것이 자명하다. 큰 걱정이지만 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겨내야 한다.

축산업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경영비는 사료 값이다. 번식우는 송아지 한 마리를 출하할 때까

지 들어가는 비용 중에서 사료비가 80%(배합사료 50%, 조사료 30%)을 차지하고, 비육우의 경우도

거의 마찬가지이다. 결국 수입 쇠고기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품질 고급화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을

가져야 하며, 그 해법을 사료비 절감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즉, 생산원가를 낮추되 고급육을 생산

하여 출하가격을 극대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 동안 한우산업은 풍요를 누렸는지도 모른다. 공급하여 주는 배합사료만 먹여도 소득이 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소는 구조적으로 초식동물이다. 반추동물(反芻動物)

의 가장 큰 특징은 위가 4개의 방으로 나뉘어져 있어 풀을 섭취하면 제일 먼저 첫째 위인 혹위에

저장하여 부드럽게 만들고 한참 뒤에 부드럽게 된 음식물을 토해내어 되새김질하여, 다음 위인 벌

집위로 넘어가 미생물들의 도움으로 소화가 진행된다. 되씹어진 음식은 위의 다른 방(겹주름위·주

름위)으로 가서 물과 영양소를 흡수하게 되는데, 생태적으로 보면 초식동물의 종족 보존을 위한 진

화의 결과이다. 왜냐하면 재빠르게 대량의 풀을 뜯은 다음 안전한 장소에 가서 다시 섬유소를 서서

히 분해시키는 1차적인 소비자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고기 생산량을 늘리

기 위하여 사양보다는 사육개념으로 변조되었고, 생산효율이 좋은 배합사료 위주로 급여하다보니

전문가칼럼

Page 8: 2012년 (사)한맥연 정기총회 개최 (1부)•œ맥연 소식지 vol.5(2).pdf · 산액이 발효 5년차에 7,026억원, 10년차에 1조280억원, 15년차에 1조2,758억원이

8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고급육으로 품질을 차별화하여 경쟁력을 높이는 경

우도 있지만 그것은 부차적인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사료용을 제외한 곡물자급률은 약 51%로, 약 반절을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사료용을 포함하면 전체 곡물 자급률이 26% 수준으로 낮아지게 되어 사료문제의 해결 없이 식량 자

급을 논하는 것은 어렵다. 우리의 곡물 생산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전체 경지면적 180만 ha에서

ha당 5톤씩의 곡물을 생산해도 900만 톤으로 전체 곡물 수요량 2,058만 톤의 44%에 불과하다. 따라

서 처해진 농업환경에서 최대한 가축 먹이를 생산하여 사료용 곡물 수입을 줄이는 길만이 곡물자급

률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며, 그것이 조사료 생산이다. 즉, 여름철에는 국민이 먹는

식량을 생산하고, 겨울철에는 사료를 생산한다면 곡물자급률을 5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논 면

적 101만 ha 중 배수시설 등 영농조건이 양호한 논은 약 67만ha이다. 이중 30만 ha에서 ha당 3.5톤

을 생산한다 하더라도 105만 톤의 곡물 생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37만 ha

에서 조사료 생산을 하면 수입 곡물의 230만 톤을 대체 할 수 있어 국내에서 사료용으로 335만 톤

생산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현재의 곡물자급률을 20% 이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농업환경 상 목초와 초지를 활용한 조사료 공급은 한계성이 있으며, 결국 사료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초다수성 곡류생산을 통한 배합사료의 대체와 곡류가 포함된 식량작물을

총체로 이용하여 곡실 사료의 사용을 반감시킴으로써 사료비를 절감할 수밖에 없다. 목초가 아닌

식량작물을 총체로 이용하면 곡실을 포함, 식물체 전체를 활용하기 때문에 섬유소와 탄수화물이 혼

합된 균형식으로 배합사료비 절감 및 사양효과의 우수성은 국내외적으로 이미 입증되었다. 한우가

살아남는 길은 생산비 절감과 축산물 품질고급화를 통한 차별화에 있다고 볼 때 양질의 조사료 자

급은 필수 요건이다.

이제는 국내에서 축적해온 사료용 옥수수, 사료용 벼, 청보리, 귀리, 트리티케일, 호밀, 총체밀

등의 품종개발과 재배기술을 토대로 식량과 사료를 동일시하는 대승적 차원에서 위상 정립이 필요

하며, FTA를 이기는 해법이 그 안에 숨어 있다. 한․미 FTA로 인하여 미국산 수입이 증가할 수는 있

으나 국내 수입 쇠고기는 시장이 분화되어 있어 미국, 호주 등 수출국가간 경쟁이 더 클 것으로 예

상되며, 한우도 그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현재 과잉된 한우 사육두수를 적정 두수로 유지하여 소 값을 안정시키고, 조사료 위주의 급여와

우수 브랜드 육성을 통한 고품질 쇠고기 생산으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앞으로 계속하여 다자

간 자유무역협정은 이루어질 것이다. 피할 수 없다면 우리만의 근본적인 인프라를 구축하여 FTA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 지금이 아니면 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