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19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TANDARD LME-12:001908 Uko 개정 A

Upload: others

Post on 15-Apr-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TANDARD

LME-12:001908 Uko 개정 A

Page 2: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2 (19)

목차

1 소개 ....................................................................................................... 4

2 정의 ....................................................................................................... 4

3 요건 ....................................................................................................... 5

3.1 일반 요건 ............................................................................................... 5

3.2 필수 사용 PPE 에 대한 개요 ................................................................... 6

3.3 추락 방지 장비 ....................................................................................... 8

3.3.1 벨트 ....................................................................................................... 8

3.3.2 밧줄 ....................................................................................................... 9

3.3.3 연결 장치 ............................................................................................. 10

3.4 발 보호 ................................................................................................. 11

3.5 안전모.................................................................................................. 12

3.6 손 보호 ................................................................................................. 14

3.7 호흡기 보호.......................................................................................... 15

3.8 청력 보호 ............................................................................................. 16

3.9 얼굴 및 눈 보호 .................................................................................... 17

3.10 작업 복장 ............................................................................................. 18

3.11 야광 조끼/재킷 ..................................................................................... 18

4 기록 ..................................................................................................... 18

5 변경 정보 ............................................................................................. 18

© Ericsson AB 2012

Page 3: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3 (19)

All rights reserved. 본 문서의 정보는 Ericsson의 소유물이며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Ericsson은 사실상 부정확한 내용이나 철자 오류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Page 4: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4 (19)

1 소개

본 기준은 최소한의 일반 PPE 요건을 정의합니다.

2 정의

“ANSI”는 미국 표준 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를

의미합니다.

“AS”는 미국 규격(American Standards)을 의미합니다.

“BSI”는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e)를 의미합니다.

“EN”은 유럽 표준(European Norms)을 의미합니다.

“ISEA”는 국제 안전 장비 협회(International Safety Equipment

Association)를 의미합니다.

“ISO”는 국제 표준 기구(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를 의미합니다.

“PPE”는 개인 보호 장비를 의미합니다.

Page 5: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5 (19)

3 요건

3.1 일반 요건

책임자는 다음을 확인해야 합니다.

어떠한 작업자도 적절한 공인 PPE 없이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야

합니다.

PPE는 모든 직원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사용 전에 모든 PPE에 결함이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결함 있는

PPE는 교체해야 합니다.

모든 PPE를 필요한 용도로 사용해야 합니다.

PPE를 사용하기 전에 최종 사용자에게 적절한 지시 및 교육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제조업체의 권장사항에 따라 PPE의 상태가 좋은지 확인하고,

PPE를 유지보수, 보관 및 테스트해야 합니다.

참고: 모든 PPE는 ANSI, AS, BSI, EN, ISEA, SABS, ISO 등과 같은 공인된

국제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직원은 다음을 이행해야 합니다.

항상 제공된 PPE를 사용해야 합니다.

지시에 따라 PPE를 관리해야 합니다.

PPE의 모든 결함을 보고해야 합니다.

Page 6: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6 (19)

3.2 필수 사용 PPE에 대한 개요

다음 표에서는 PPE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의 예를 보여 줍니다.

PPE 유형 PPE를 착용해야 하는 경우

추락 방지 장비구조물, 사다리를 오르거나 2미터보다 높은

이동식 작업대에서 작업하는 경우.

발 보호

구조물을 오르거나, 건설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리프팅 및 이동 또는 작업하는

경우.

물체나 발바닥을 뚫는 뾰족한 물체가

떨어지면서 발에 상해를 입을 위험이 있는

모든 작업.

안전모건설 현장에서 일하고, 구조물을 오르며,

클라이머 밑에서 일하는 경우.

손 보호 구조물을 오르고, 위험한 물질을 취급하며,

생물학적 위험이 있는 구역에서 일하는

경우.

호흡기 보호 생물학적 위험이 있는 구역에서 일하는

경우, 에어 필터를 교체하는 경우.

청력 보호 소음 수준이 85dB 이상인 경우.

얼굴 및 눈 보호 위험한 액체 물질을 사용하여 드릴하는

경우.

Page 7: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7 (19)

PPE 유형 PPE를 착용해야 하는 경우

작업 복장 악천후 속에서 야외에서 작업하는 경우.

야광 조끼/재킷 위험성이 큰 작업 환경에서는 야광

조끼/재킷을 착용해야 합니다.

Page 8: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 방지 장비

책임자는 현지 위험 평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상황에 적합한 추락 방지

시스템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전신 벨트(참고: 허리 벨트 금지)를 사용하는지 확인합니다.

자체 폐쇄 및 자체 잠금이 가능한 연결 장치를 사용하는지

확인합니다.

직원이 2미터 이상의 높이에서 뚝 떨어지거나 기저부에 닿지 않을

수 있도록 개인 추락 방지용 밧줄이 갖춰져 있어야 합니다.

고정점은 고정 연결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개인 추락 방지 장비의

최대 수로 곱한 개별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최대 1년마다 설비를 검사해야 합니다(사용량에 따라 기간이 더

짧을 수 있음).

3.3.1 벨트

그림 1

Page 9: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9 (19)

그림 2

벨트는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벨트의 연결 지점은 착용자의 등 가운데 어깨높이 근처에 위치해야

합니다.

조절 장치는 작업자당 5,000lbs(~2200kg)의 인장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하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벨트는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3.3.2 밧줄

그림 3

Page 10: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10 (19)

밧줄은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밧줄의 파괴 강도는 최소 2,300kg이어야 합니다.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접점과 호환될 수 있도록

연결 장치의 크기를 조절해야 합니다.

충격 흡수용 밧줄은 허리 벨트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직원에게

미치는 최대 충격을 800kg으로 제한해야 합니다.

충격 흡수용 밧줄은 최대 감속 거리를 1미터로 제한해야 합니다.

하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밧줄은 사용하면 안 됩니다.

3.3.3 연결 장치

그림 4

연결 장치는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3.1 단원에 정의된 국제 기준

연결 장치가 해당 용도로 인증되지 않은 한 두 개 이상의 추락 방지

장비에 연결해서는 안 됩니다.

Page 11: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11 (19)

3.4 발 보호

그림 5

신발은 다음 상황에서 보호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수동 핸들링 또는 리프팅 작업

못과 같이 바닥이나 일반 신발의 위쪽을 뚫을 수 있는 뾰족한

물체로 작업하는 경우

발이나 다리에 튈 수 있는 용융 금속에 노출되는 경우

뜨겁거나 젖어 있거나 미끄러운 표면에서 작업하는 경우

감전 위험이 있는 곳에서 작업하는 경우

Page 12: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12 (19)

3.5 안전모

그림 6

책임자는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모든 직원이 머리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위에서 물체가 떨어져 머리에 부딪힐 수 있는 경우

노출된 파이프나 기둥처럼 고정된 물체에 머리를 부딪힐 수 있는

경우

감전 위험 요소에 우발적으로 머리가 닿을 수 있는 경우

참고: 금속이나 기타 주석 합금 성분의 안전모는 사용이 금지됩니다.

Page 13: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13 (19)

안전모는 해당 용도에 적합해야 하며 다음을 비롯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업계

분류에 따라 고려되어야 합니다.

A급 안전모는 제한된 전압 보호(최대 2,200볼트) 기능과 함께 충격 및 관입

저항 기능이 있습니다.

B급 안전모는 고전압 충격 및 화상 방지(최대 20,000볼트) 기능과 함께 최고

수준의 감전 위험 방지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날아오거나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충격 및 관입 위험에 대한 보호를 제공합니다.

C급 안전모는 경량의 편안함과 충격 방지 기능이 있지만 감전 위험 방지 기능은

없습니다.

안전모는 다음을 비롯한 공인된 국제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ANSI 표준 Z89.1-1986(산업 근로자를 위한 보호용 모자)

ISO 3873

BS 5240

AS 1800

AS 1801

Page 14: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14 (19)

3.6 손 보호

그림 7

손 보호 장비는 3단원에 정의된 국제 기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선택한 손 보호 장비는 다음을 비롯한 확인된 위험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처리되는 화학 물질의 종류

접촉 유형(완전히 담그거나 튀는 등)

접촉 기간

보호가 필요한 부분(손만, 팔뚝, 팔)

접지 요건(젖음, 마름, 미끄러움)

열 보호

크기 및 편안함

마멸 및 절단 저항 요건

Page 15: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15 (19)

3.7 호흡기 보호

그림 8

호흡용 보호구는 3단원에 정의된 국제 기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선택한 호흡용 보호구는 다음을 비롯한 확인된 위험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산소가 부족한 환경

유해 먼지

안개

연기

박무

가스

증기

물보라

Page 16: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16 (19)

3.8 청력 보호

그림 9

청력 보호 장비는 3단원에 정의된 국제 기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선택한 청력 보호 장비는 다음을 비롯한 확인된 위험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85dB 이상의 소음 수준

소음 기간

직원이 소음 수준이 서로 다른 작업장 간을 이동하는지 여부

소음이 하나 이상의 근원지에서 발생하는지 여부

Page 17: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17 (19)

3.9 얼굴 및 눈 보호

그림 10

그림 11

얼굴 및 눈 보호 장비는 3단원에 정의된 국제 기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Page 18: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18 (19)

선택한 얼굴 및 눈 보호 장비는 다음을 비롯한 확인된 위험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깎기, 연삭, 절단, 망치질, 전동 공구 사용과 같은 작업에서 눈에

들어가는 먼지, 오물, 금속 또는 나무 조각

부식성 물질, 뜨거운 액체, 솔벤트 또는 기타 유해 용액에서 튀는

화학 물질

나뭇가지, 체인, 도구 또는 로프 등 눈이나 얼굴로 날아오는 물체

용접 시 발생하는 복사 에너지, 레이저 또는 기타 복사광 사용 시

발생하는 유해 광선(열, 휘광, 불꽃, 스플래시, 날아오는 물체 등)

3.10 작업 복장

작업 복장은 현지 날씨 또는 작업 조건 및 현지 위험 평가에 적합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3.11 야광 조끼/재킷

현지 위험 평가로 파악되는 경우 야광 조끼 또는 재킷을 사용해야 합니다.

4 기록

모든 PPE의 제공, 검사 및 유지보수 내역을 기록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5 변경 정보

개정 설명

Page 19: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2016-07-01 ·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A 2012-12-14 Ericsson AB 2012 8 (19) 3.3 추락방지장비 책임자는현지위험평가에따라다음과같이상황에적합한추락방지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ME-12:001908 Uko 개정 A 2012-12-14 Ericsson AB 2012 19 (19)

A 최초 릴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