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국내외 연 생산 가공 유통 실태조사 및 무안군 연산업 육성방안 ... ·...

193
C2010-10 | 2010. 03. 국내외 연 생산가공유통 실태조사 및 무안군 연산업 육성방안 연구 위촉연구원

Upload: others

Post on 21-Ap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C2010-10 | 2010. 03.

    국내외 연 생산․가공․유통 실태조사

    및 무안군 연산업 육성방안 연구

    성 명 환

    김 연 중

    박 기 환

    박 순 철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위 촉 연 구 원

  • 연구 담당

    성명환

    김연중

    박기환

    박순철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연 구 위 원

    위 촉 연 구 원

    연구 총괄, 품종

    국내, 중국 연산업 생산, 유통실태 조사 분석

    일본 연산업 실태 조사 분석

    연 생산, 가공 실태 조사 분석

  • i

    머 리 말

    국내 연 재배면적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쌀 대체작목으로 연을 재

    배하고 있으며, 연 재배 수익이 쌀에 비해 높기 때문에 향후 식량안보에 대비

    하여 논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품목이 연이다.

    연 재배면적의 확대로 농업소득이 증가하고 있으나, 전국적인 연근의 품종,

    주산지 분포, 주산지별 생산, 유통, 가공, 소비 실태와 수출입에 대한 정보가 부

    족하다. 최근 연근 수요는 증대하는데 소비자의 소비패턴 등이 어떻게 변화하

    고 있는지 조사 연구된 것이 없고, 자료도 축적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 결과는

    연산업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기초적인 연 관련 자료를 정리하였고,

    조사시스템(홈페이지)을 만들어 향후 연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

    료로 활용될 수 있다.

    무안군의 연 품종은 백련으로써 가공용으로 육성하면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

    는 여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무안군의 연은 연근 생산 이외에 연꽃, 연잎, 연

    자를 수확하여 가공식품 개발로 다른 지역보다 농업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무안군의 연근 생산은 다른 주산지에 비해 수확 작업시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어 단위면적당 연근 소득은 높지 않아 노동력 절감기술이 필요하다.

    이 연구 수행과정에서 현지조사 및 자료지원에 적극 협조해 주신 무안군청,

    무안군농업기술센터 담당자, 목포대 연관련 교수, 연구회 회원 그리고 관심을

    가져준 많은 분과 연구가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조언과 격려를 보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무안군 연산업이 활성화되어 새로

    운 성장 동력원으로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10. 3.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오 세 익

  • iii

    요 약

    ○ 이 연구는 연의 생산·유통 등 연산업 실태를 조사하여 무안군을 연산업 거

    점지역으로 육성하기 위한 조사 시스템을 구축하고, 연 가공산업의 현황,

    농가의 경영분석, 외국의 연산업 현황 등의 조사를 통하여 한국 연산업의

    육성기반을 구축하고, 특히 무안군의 백련산업 육성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쌀값 하락에 따른 벼 대체작목으로의 전환과 관광목적을 위한 경관조성을

    위해 연 재배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연 관련 축제가 전

    국 18개 지역에서 개최되는 문화적 행사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 전국의 연 재배면적은 증가하고 있지만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같은 기간 오

    히려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비 및 토양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연작피해가 있으며, 병해충 피해와 연 수확노력 절감형 작업기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 때문으로 나타났다.

    ○ 다년생 수생식물인 연은 전국 각지에서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지만 주산지

    집중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백련재배지역인 전라남도 무안, 보성,

    함평과 홍련재배지역인 경상남북도 대구, 함안, 고령, 상주 등에 집중되는

    현상은 사질토에서 재배가 용이하여 하천변 주변에 집중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수확 시 전문기술력 부재가 주산지 집중화의 주요원인으로 파악되

    고 있다.

    ○ 지역별 경영성과 분석결과 주산지별 연근 조수익은 대구지방이 가장 많고,

    경남, 전남 순으로 나타났다. 대구지방은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으며, 품질

  • iv

    이 좋아 공판장에서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있어서도 경남과 전남에 비해 대구지방의 소득이 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

    었다. 이는 경영비 중 고용노력비가 대구지방의 2배가량 많은 특징이 그 원

    인이다. 하지만 전남지방은 가공업체와 연계한 부산물 소득까지 포함할 경

    우 오히려 다른 지역보다 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연의 유통가격은 생산량에 따라 연도별 가격의 변동이 심하며 년 중 성출하

    기와 비성출하기 간의 가격차도 매우 심한 편이다. 주 소비처는 서울, 경기

    지방과 대도시이며 세척연근과 미세척연근의 상태로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

    는데 미세척 연근의 경우 국내산임을 강조하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유통구조를 살펴보면 가공되지 않은 국내산 연은 중도매인→소비자의 간단

    한 구조이며, 수입산 연근의 경우 신선, 냉동, 슬라이스 염장 상태로 수입되

    며 수입상→중도매인→소비자에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 가락동 도매시장의 시기별 출하량과 가격 분석결과는 6~7월 사이 출하량이

    가장 적어 다른 시기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재배와 신품종 개발 등을 통한 출하기 조절방안이 강

    구되어야 한다.

    ○ 국내 14개 도매시장의 연간 연근 거래금액을 조사한 결과 총 거래금액은 64

    억 8천만 원이었고, 가락동 도매시장이 총 거래금액의 69%를 차지하여 연

    근거래의 중심역할을 하고 있었다. 가락동 도매시장의 거래가격은 1,838원

    /kg으로 14개 도매시장 평균 1,568원/kg보다 270원/kg 높았다.

    ○ 일본의 연 생산은 1970년대부터 국가 정책사업으로 쌀 대체작목을 유도하

    였는데, 연이 가장 먼저 대체작목으로 선정되었다. 연 재배면적은 매년 감

    소추세에 있으며 그 원인은 농가인구의 고령화와 연근의 소비부진, 가공연

    근의 수입 증가 등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v

    ○ 일본 연의 최대 주산지는 이바라키현으로 전체 면적의 39%를 차지하고 있

    으며, 다음으로 토쿠시마현이 14%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두 현의 비중은

    1995년 45.8%에서 2007년 53%로 주산지 집중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감소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연

    근의 크기가 크지 않고 단맛을 선호하는 일본 소비자의 기호 때문에 마디사

    이가 짧고 동그란 작은 품종을 재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 일본의 연근 유통경로는 생산자에서 도매시장, 소매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로 유통되는 경로가 대부분이며, 주산지인 이바라키현의 경우 소매점, 외식,

    중식, 가공업자로의 출하가 확대되고 있으며, 도매시장을 통한 거래처는 슈

    퍼와 같은 대량판매점 비중이 50~90%정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본의 연 소비 형태는 새해 설날 음식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일

    상적 소비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가공품으로는 절임용 반찬과 면,

    차, 분말, 칩, 절임 형태 등으로 가공하여 판매함으로써 연 재배농가의 부가

    가치 제공에 기여하고 있다.

    ○ 중국의 연근 생산은 1999년 무한 채전구에서 연을 주요 농산업으로 규정하

    면서부터 연 재배지에 대해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중국의 최대 연 재

    배지역은 호북성 무한시이며, 대규모 생산단지 조성과 2모작으로 인한 연작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생식물의 순환재배로 지력의 향상과 토양병해

    예방 연구가 추진되고 있어 생산소득 효과를 제고시키고 있다.

    ○ 중국의 연근 유통은 대부분 농가가 직접 수확하고 판매하며, 일부 전문적으

    로 유통하는 중간 유통업체가 담당하고 있다. 가공제품은 연근을 이용한 1

    차가공 절임류가 대부분이며, 통조림으로 제조하여 판매하는 제품이 주류

    를 이루고 있다.

  • vi

    ○ 중국의 연 수출은 연근과 연자가 대부분이며, 수출량은 전반적으로 감소추

    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근 수출량이 가장 많은 광동성은 중국 전체 수출

    량의 43.7%를 차지하며, 주요 수출국으로는 말레이시아, 미국, 일본, 캐나

    다, 싱가포르, 태국, 네덜란드, 한국 등으로 나타났다. 연자는 복건성이 수출

    량의 47%로 가장 많았으며, 주요 수출국은 타이완, 홍콩, 미국, 한국, 말레

    이시아 등으로 나타났다.

    ○ 무안군 백련의 생산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 방안으로 투하노동력 절감방안

    이 필요하다. 연은 점토질 토양에서 수작업으로 수확함으로써 노동력 부담

    이 크며, 무안의 수확노력이 경상남북도 지역에 비해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나 노동력 절감을 위한 수확용 기계화 도입방안이 요구된다.

    ○ 연은 전국적으로 재배면적이 증가하는 반면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감소하고

    출하기가 집중되어 있다.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증가하기 위한 재배기술 개

    발과 다수확 품종의 개발이 필요하고, 품질의 등급을 규정하는 제도도 마련

    하여야 한다. 집중출하를 완화하기 위한 시설조기재배 기술확립과 조생품

    종 육성, 저장시설 및 기술연구를 위한 지원과 연구가 필요하다.

    ○ 무안군 평균기온은 13.3˚C로 연 재배 최적의 온도에는 못 미치나 생장 최성

    기인 7~8월에 온도는 26˚C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환경적으로 연 재배

    에 적합하며, 재배지 토양조건 또한 점질토로 된 퇴적층이 대부분이어서 고

    품질의 연근생산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산업화가 가능할

    것이다.

    ○ 급변하는 국내 소비시장에 대처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농가, 가공업체 등

    안정적 생산기반 구축과 활발한 교류로 인해 기존의 단편적인 유통구조에

    서 벗어나 다양한 판로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vii

    ○ 가공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는 농가와 가공업체간의 계약재배

    를 통한 원료수급 안정화, 가공업체 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경쟁적 기술개발

    유도, 생산품 판매확대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마케팅 전략 등이 필요하다.

    무안군 백련 가공업체는 현재 9개소로 가공품목이 다양하여 부가가치 증대

    에 잠재적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판로에 대한 전문유통 조직화가 이루어지

    지 않은 상태이므로 업체 간 품목별 생산의 전문화가 필요하다.

  • ix

    Abstract

    Current Situation of Lotus Industry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Muan-g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velopment strategies to promote lotus industry in Muan-gun by setting up infrastructure lotus industry and marketing system in order to expand the market based on an analysis of lotu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reviews current situation of lotus industry and analyses production cost and profitability of lotus farms as well as foreign lotus markets.

    The lotus in Korea is a perennial aquatic plant growing in various regions. Its production volume is highly concentrated in the main production areas, namely Muan, Boseong and Hampyeong in Jollanam-do for white lotus, and Daegu, Haman, Goryeong and Sangju in Gyeongsang-do for red lotus. As lotus grows more easily in sandy soil, the production is highly concentrated along the river side. The lack of professional techniques for harvest is another main reason for this concern.

    The profit analysis of main production regions shows that revenue from lotus production was the highest in Daegu, followed by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In Daegu, the yield per area(10a) was high and revenue was twice as high as that of Gyeongsangnam-do and Jeollanam-do. The lotus produced in this area is sold at higher price due to its superior quality. The price of lotus which fluctuates sensitively according to the annual production, is relatively higher considering the lower production level nation wide.

    The lotus is distributed mostly by large-scale purchasers. Only some are sold to general consumers unprocessed. The distribution channel of the unprocessed locally produced lotus is simple: it is sold to final consumer through wholesalers. In case of import, fresh/frozen or sliced and salted lotus roots are first distributed to wholesalers by importers then to final consumers.

    In order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to improve productivity of the white lotus produced in Muan-gun, it is necessary to cut direct labor. The lotus is highly labor-consuming since it should be harvested manually from

  • x

    muddy soil. Also, considering that the quantity of production per day was smaller than Gyeongsang-do, automatization of harvest by adopting machines is recommended in order to reduce labor. Although the lotus may be produced throughout the year, the production is at its lowest during June and July. To meet this issue, it is required to adopt a new variety which enables change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as well as to support and conduc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tus processing industry, the need to promote the function of processing companies through stabilized raw material supplies based on contractual production between the industry and production farms should be reviewed. Currently, there are nine white lotus processing companies in Muan-gun, showing a potential increase in the added-value of lotus industry through diversified processed products. However, specialized production is essential since the distribution channel is not well organized. To face the rapidly changing local market, the expansion of distribution channel should be sought through stable production fundamentals and dynamic communications among the local government, production farms and processing companies.

    Researchers: Sung Myung-Hwan, Kim Yean-Jung, Park Ki-Hwan and Park Soon-Chul

    Research period: September 2009 - March 2010E-mail address: [email protected]

  • xi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2

    3. 연구방법 ········································································································3

    4. 연구체계 ········································································································3

    제2장 연 생산 실태 분석

    1. 지역별·용도별 재배면적 실태 ·····································································5

    2. 주산지 품종별 생산실태 ············································································10

    3. 주산지별 경영성과 분석 ············································································18

    제3장 연 유통·가공·소비실태 분석

    1. 연 유통경로 ·································································································24

    2. 연 거래 동향 ·······························································································31

    3. 연 가공 실태 ·······························································································37

    4. 연 소비 실태 ·······························································································40

    제4장 해외 연 시장조사 및 수출잠재력 분석

    1. 일본 연산업 동향 ·······················································································55

    2. 중국 연산업 동향 ·······················································································70

    3. 중국산 연근 수출입 동향 ········································································75

  • xii

    제5장 연 산업 D/B 시스템 구축

    1. 연 생산, 가공, 유통 조사시스템 구축 ·····················································78

    2. 조사시스템의 주요 내용 ··········································································79

    3. 조사시스템의 운영방안 ············································································82

    제6장 무안 백련산업 육성 방안

    1. 생산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 전략 ···························································84

    2. 백련 가공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활성화 전략 ········································89

    3. 조직간 협력 및 유통체계 개선 ·······························································91

    부록1. 조사시스템 관리자 지침서 ·······························································93

    부록2. 무안군 연산업 지원계획 ·································································133

    부록3. 해외 품종 ·························································································154

    부록4. 일본의 연 연구개발 ········································································157

    부록5. 소비자 조사표 ··················································································162

    참고문헌 ·········································································································170

  • xiii

    표 차 례

    제2장

    표 2- 1. 연 생산액 추이 ················································································7

    표 2- 2. 주요지역의 품종별 생산실태 ························································10

    표 2- 3. 이용 부위별 비율 ··········································································13

    표 2- 4. 작업단계 및 수확시기 ···································································16

    표 2- 5. 함양군 연 재배 현황 ·····································································17

    표 2- 6. 지역별 연근과 쌀 소득 비교 ························································20

    표 2- 7. 연 부산물 판매가격(무안군 사례) ···············································21

    표 2- 8. 지역별/용도별 경영성과 ································································22

    제3장

    표 3- 1.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 반입량 ······················································31

    표 3- 2. 도매시장 연근 월별 평균단가 ······················································33

    표 3- 3. 연근 유통단계별 가격 추정 ························································34

    표 3- 4. 연근 도매시장 출하비율 및 가격(2008년) ··································36

    표 3- 5. 연 가공업체별 가공품 ···································································38

    표 3- 6. 함양군 사업추진 실적 ···································································39

    표 3- 7. 응답자 사회학적 특성 ···································································41

    표 3- 8. 연근과 1차 가공연근 소비 의향 ··················································43

    표 3- 9. 연제품 소비 의향 ··········································································44

    표 3-10. 관상용 및 연자 소비 의향 ···························································45

    표 3-11. 연 관련 제품 구입 횟수(2009년) ·················································46

    표 3-12. 전년대비 연근, 연제품 소비 비교 ···············································47

  • xiv

    표 3-13. 연근 소비 증감이유 ·······································································48

    표 3-14. 연제품 소비 증감이유 ···································································48

    표 3-15. 연제품을 구입 않는 이유 ·····························································49

    표 3-16. 연근과 연제품 구입처 ·································································50

    표 3-17. 연근 구입시 고려사항 ···································································50

    표 3-18. 포장라벨에 표기되어야 할 사항 ··················································51

    표 3-19. 친환경 연근 가격 구입 의향 ·······················································53

    표 3-20. 연근소비 목적 ················································································53

    제4장

    표 4- 1. 일본의 연근 재배면적 및 단수 ····················································56

    표 4- 2. 일본의 연근 주산지 재배면적 현황 ············································56

    표 4- 3. 일본의 연근 주산지별 생산량 및 단수 ·······································58

    표 4- 4. 일본의 이바라키현 츠치우라시 농가수 및 경지면적 ················59

    표 4- 5. 일본의 이바라키현 츠치우라시 경지규모별 농가수 ··················59

    표 4- 6. 일본의 이바라키현 츠치우라시 주요 작목별 재배면적 ············60

    표 4- 7. 일본 연근의 도매시장 출하 비중 ················································62

    표 4- 8. 일본의 연근 도매시장 출하 현황 ················································62

    표 4- 9. 일본의 연령별 연간 연근 소비액(2008년도) ······························66

    표 4-10. 일본의 국별 연근 수입 동향 ·······················································68

    표 4-11. 일본의 수입 연근 단가 ·································································69

    표 4-12. 일본의 주요 도매시장에서 일본산과 수입 연근 가격 비교 ·····70

    표 4-13. 중국의 연근 수출 현황 ·································································73

    표 4-14. 한국으로 연근 수출량 ···································································74

    표 4-15. 중국의 연자 수출 현황 ·································································75

    표 4-16. 한국으로 연자 수출량 ···································································75

  • xv

    제6장

    표 6- 1. 생산비 구조 비교 ··········································································85

    표 6- 2. 토성별 생육 상황 ··········································································87

  • xvi

    그 림 차 례

    제1장

    그림 1- 1. 연 연구체계 ··················································································4

    제2장

    그림 2- 1. 연 재배면적과 생산량 추이 ························································6

    그림 2- 2. 주산지별 재배면적 변화 ···························································8

    그림 2- 3. 연 이용 목적별 재배면적 ···························································9

    그림 2- 4. 연도별 생산량과 재배면적 변화 추이(대구) ···························14

    그림 2- 5. 지역별 연근 수확 작업 방법 ····················································19

    제3장

    그림 3- 1. 무안군 백련의 유통경로 ···························································26

    그림 3- 2. 대구 홍련의 유통경로 ·····························································28

    그림 3- 3. 함안 홍련의 유통경로 ·······························································29

    그림 3- 4. 함양 백련의 유통경로 ·······························································30

    그림 3- 5. 도매시장 연근 반입량과 가격 ··················································32

    그림 3- 6. 국내산과 중국산 연근 가락동 도매시장 반입량 ····················34

    그림 3- 7. 국내산과 중국산 연근 가격 비교 ············································35

    그림 3- 8. 함양군 연 가공품 ·····································································39

    그림 3- 9. 설문지 보기 문항에 있는 연근 종류 ·····································42

    그림 3-10. 설문지 보기 문항에 있는 연제품 ············································43

    그림 3-11. 설문지 보기 문항에 있는 연 부산물 ·····································45

    그림 3-12. 소비자가 수입산과 국내산 연근 구별 실태 ·························52

  • xvii

    제4장

    그림 4- 1. 일본의 연 주산지 ·····································································57

    그림 4- 2. 일본의 이바라키현 츠치우라시의 연근 재배 광경 ················57

    그림 4- 3. 수확기계 ······················································································57

    그림 4- 4. 일본의 연근 유통 경로 ·····························································61

    그림 4- 5. 일본의 연근 도매가격 추이 ······················································63

    그림 4- 6. 일본의 월별 연근 출하비중 및 가격 ·······································63

    그림 4- 7. 일본의 연근 가공제품(츠치우라시 연 가공품) ·······················64

    그림 4- 8. 토쿠시마현의 연근 칩 ·······························································65

    그림 4- 9. 일본의 가구당 연간 연근 소비액 추이 ···································65

    그림 4-10. 일본의 이바라키현 츠치우라시의 연근 요리전시회 사진 ·····67

    그림 4-11. 일본의 월별 연근 수입비중 및 출하비중 비교 ······················69

    그림 4-12. 중국 연 형태별 수출실적 ·························································72

    그림 4-13. 성별(省別) 연근 수출비중 ························································74

    그림 4-14. 연근 수출국 ················································································74

    그림 4-15. 성별(省別) 연자 수출비중 ························································74

    그림 4-16. 연자 수출국 ················································································74

    그림 4-17. 중국산 연근의 한국과 일본으로 수출량 ·······························76

    그림 4-18. 중국산 연근의 한국과 일본 수출가격과 한국산 가격 ··········77

    제5장

    그림 5- 1. 조사시스템 초기화면 ·································································79

    그림 5- 2. 자료실 운영 ················································································81

    그림 5- 3. 전국/지역별 조사시스템 ····························································82

    제6장

    그림 6- 1. 연산업 활성화 전략 ···································································88

  • 1

    제1 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 쌀 생산량 증가와 가격 하락에 따른 농가소득 보전과 쌀 수급안정을 위해

    논에서의 벼 대체작목 개발 정책이 필요함.

    - 입지조건 및 토양 특성에 적합한 벼 대체작목 개발 보급으로 논 면적 보

    전 및 유지

    - 식량안보를 대비하여 논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품목 발굴이 필요한데 이에 적합한 품목 중 하나가 연(蓮)임.

    ○ 연 재배 수익성이 벼보다 2∼3배 높은 것으로 추정되어 최근 연 재배면적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연 산업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임.

    - 연 재배면적은 2008년 기준 625ha로 2001년 197ha보다 약 3.2배 늘어났음.

    - 현재 우리나라 연 시장 규모는 400억 원대로 추정되고 있으며, 수년 내에

    그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연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어 활용 가치가 높음. 연근은 반찬용, 진액,

    음료 등으로 가공·판매되고 있으며, 꽃과 잎은 차 재료로 활용되고 있음.

  • 2

    - 연은 연잎차, 연화차, 연잎음료, 연라면, 연국수, 연과자, 연고추장, 연된

    장, 연미용비누, 연미용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음.

    - 연은 지역별 특성에 따라 소득화가 가능한 지역특산물, 전통문화와 연계

    한 식품 소재 및 가공제품 개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함.

    ○ 연은 지역별 특성에 따라 차별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생산, 가공, 유통을 통

    한 지역 고유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성장 동력원임.

    - 연산업은 관광산업과 연계하여 개발함으로써 막대한 잠재적 가치를 지

    닌 복합 산업으로 육성 가능한 품목임.

    ○ 연의 산업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 기초 자료가 필요하며, 현황파악이 우

    선 시 됨. 따라서 연 관련 기초 통계자료를 정비하여 연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선결 과제임.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이 연구는 전국적으로 연 생산·가공·유통 실태를 조사하고, 향후 연산업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기초적으로 연 관련 조사시스템(홈페이지)을

    만들고, 연산업 발전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임.

    ○ 국내 주산지별로 연의 생산·가공·유통실태를 파악하고, 중국과 일본의 생산

    실태, 수출입 실태, 소비자의 소비실태 및 소비의향, 전국의 연축제 등을 소

    개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함.

  • 3

    3. 연구방법

    ○ 연 재배·생산 관련 국내 실태조사

    - 국내 지자체별 연 재배 관련 문헌조사(시군별 통계자료 수집)

    - 국내 지자체별 연 재배 농가 실태조사(주산지 현장조사 병행)

    ○ 연산업 관련 국내 실태조사 및 해외 사례조사

    - 국내 연 가공산업 문헌 및 현장조사, 사례조사

    - 일본 및 중국의 연 관련 산업 실태조사

    ○ 연산업의 실태 조사 분석

    - 시도 및 시군 자치단체, 농촌진흥청을 통해 지역별 연산업 진흥시책 실

    태 조사

    - 주산지 시도 및 시군별 연 생산 및 유통 실태 조사

    - 연 생산농가의 생산비 조사 및 수익성 분석

    - 학계, 연구원, 가공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 전문가 자문회의 통한 전문가 의견 수렴

    - 연 관련 전문가의 의견수렴 절차를 걸쳐 연구 수행

    - 중간보고, 최종보고회 개최를 통한 관련 단체의 의견 수렴 및 반영

    4. 연구체계

    ○ 연 주산지별 생산실태, 유통실태, 유통시설 현황 등을 파악하고, 주산지 작

    목반 중심으로 품종별 재배면적, 이용 부위별 생산 및 가공 실태, 생산비,

  • 4

    그림 1-1. 연 연구체계

    수확작업 방법 등을 조사하여 경영성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함.

    ○ 중국산 연근, 종근, 연자의 국내 수입실태와 국내 도매시장에서 거래량, 거

    래가격, 일본시장에서 중국산의 수입 물량과 가격 등을 조사하여 국내산 연

    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함.

    ○ 국내 시군 기술센터, 연 연구회, 연 가공 관련 업체 등과 자문회의를 통해

    국내산 연의 생산, 가공, 유통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함.

  • 5

    제2 장

    연 생산 실태 분석

    1. 지역별·용도별 재배면적 실태

    1.1. 재배면적과 생산액 변화

    ○ 쌀값 하락에 따른 벼 대체작목과 관광목적을 위한 경관조성을 위해 연 재배

    면적은 증가하고 있음. 이는 연 관련 축제가 전국 18개 지역에서 개최되는

    문화적 특성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음.

    ○ 연 재배면적은 1996년에 91ha에서 2008년에는 625ha로 매년 17.4% 증가하

    고 있으나, 같은 기간에 생산량은 2,097톤에서 12,563톤으로 연평균 16.1%

    증가하고 있어 단수는 증가하고 있지 않음. 단수는 같은 기간에 2,299kg/10a

    에서 2,010kg으로 오히려 연평균 1.1% 감소하고 있음.

    ○ 단수가 증가하지 않고 감소하는 원인으로는 대부분의 연 재배농가가 임대

    농이기 때문에 지력향상을 위한 토양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연작

    피해로 인해 연부패병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임.

  • 6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06 '07 '08-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생산량(톤)

    재배면적(ha)

    ha 톤

    그림 2-1. 연 재배면적과 생산량 추이

    ○ 단수 향상을 위해 품종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무안군은 다른 지역

    에서 재배되는 홍련과 달리 백련으로 연잎, 연꽃, 연자 등을 채취하고 있으

    며, 연근 생육기에 부산물을 채취하므로 연근생육이 불량하여 수확량이 적

    은 것으로 나타남.

    자료: ’08년 채소류 생산실적(농림부)

    ○ 연근 생산액은 1996년에 26억에서 2008년에는 231억 원으로 매년 20% 증가

    하고 있으며, 10a당 생산액도 같은 기간에 2,857천 원에서 3,696천 원으로

    증가하였음. 2008년 수도작 10a당 생산액 1,013천 원에 비해 3.6배 많은 수

    준임.

  • 7

    생산액(억 원) 생산액(천 원/10a)

    1996 26 2,857

    2000 100.0 3,378

    2005 118.0 2,935

    2006 159.0 3,333

    2007 235.0 3,970

    2008 231.0 3,696

    연평균 증가율(%) 20.0 2.2

    표 2-1. 연 생산액 추이

    자료: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업생산액 자료를 재계산

    1.2. 주산지 재배면적 변화

    ○ 2008년 주산지 면적비중은 경남이 35%로 높고, 대구 33%, 경북 15%, 전남

    12%로 경상남북도에서 주로 연을 많이 재배하고 있음.

    ○ 시도별로 보면 경남에서는 함안, 밀양, 합천, 함양 지역이고, 대구는 대구동

    구와 달성지역, 경북은 고령, 상주, 전남은 무안, 보성, 함평지역이 주산지임.

    ○ 주산지는 집중화되어 가고 있음. 2004년과 2008년을 비교해 볼 때 경남은

    81% 증가하였고, 경북은 66%, 전남은 20% 증가하였으며, 비 주산지는 거

    의 증가하고 있지 않아 주산지 집중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 특이한 것은 경기지역의 재배면적이 2004년에 4ha에서 2008년에 28ha로

    7배가 증가하였고, 주로 김포와 시흥지역에서 증가하고 있음.

    - 김포와 시흥지역은 대도시 소비지 시장이 가까워 판로가 용이하며, 다른

    지역에 비해 노동력이 풍부하여 재배면적을 늘리고 있음.

    ○ 주산지 집중화의 주원인은 토지, 토양, 노동력, 수확기술 등에 영향을 받고

  • 8

    0

    50

    100

    150

    200

    250

    부산 대구 광주 경기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04 '08

    ha

    그림 2-2. 주산지별 재배면적 변화

    있음. 토지는 임차 또는 재배면적 확보가 용이한 하천주변 지역, 토양은 수

    확 작업 시 쉽게 수확할 수 있는 사질토 지역이 주산지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수확작업 기술이 있는 지역으로 주산지가 집중화되어 가고 있음.

    자료: ’08년 채소류 생산실적(농림부)

    ○ 우리나라 연은 그동안 주로 보통재배(노지재배)에 의존해 왔으나 계절별로

    가격 차이가 발생하여 수확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터널재배, 하우스재배 등

    의 조기재배 작형이 개발·보급되고 있음.

    ○ 터널재배(터널조숙재배)는 3월 중순부터 비닐터널에 정식하여 5월 중순까

    지 보온하고 7월 중순부터 수확이 가능함. 생육온도는 15˚C가 최저한계이

    기 때문에 따뜻한 지역에 유리한 작형이며 사질토 토양에 적합함. 토층은

    20㎝정도가 적당하므로 비교적 얕게 심는 것이 좋으며, 재배기간 중 관수

    및 배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함.

    ○ 하우스재배는 온난한 지역에 적합한 작형으로 대형 하우스를 이용해 단경기

    인 6~7월에 출하하여 가격을 높게 받기 위한 작형임. 2월 상·중순에 정식하여

    4월 중순까지 보온 위주로 재배하여 생육을 촉진시킨 후 5월부터 25℃ 유지

    하기 위해 환기를 통해 고온장해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함.

  • 9

    0

    50

    100

    150

    200

    250

    경기 충남 전남 경북 경남 대구

    식용면적 관상용 기타

    ha

    그림 2-3. 연 이용 목적별 재배면적

    1.3. 연 용도별 재배면적

    ○ 연은 이용부위에 따라 종근종자용, 연화용, 연근용, 연잎용, 연자용으로 구

    분되고, 이용목적에 따라 식용과 관상용으로 구분됨.

    - 식용은 다시 연근용, 연실용 그 밖에 화차용, 엽차용, 전분용, 조림용, 생

    식용 등이 있으며, 관상용은 연못용, 분화용, 절화 및 건화용 등이 있음.

    ○ 연 이용 목적별 재배면적 비율은 식용이 80.9%, 관상용이 15.5%, 기타 3.6%

    수준임. 연 주산지는 대부분 식용과 관상용이 혼재되어 있으나, 대구는 100%

    식용을 목적으로 연을 재배하고 있음. 식용이 관상용보다 재배면적이 많은

    지역은 경남, 경북, 전남으로 대부분 연 주산지가 이에 해당되고, 관상용이 식

    용보다 재배면적이 많은 지역은 수도권에 가까운 경기와 충남지역임.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2. 생산자 조사결과

  • 10

    2. 주산지 품종별 생산실태

    2.1. 품종별 생산실태

    ○ 연의 품종은 크게 백련계, 홍련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수련은 식물분류학

    상 다른 종이나 관상용 수련으로 일반화 되어 있음. 연의 품종을 화색에 따

    라 분류하면 홍련계, 백련계, 황련계로 구분할 수도 있음1).

    지역 품종재배면적ha (%)

    생산량(톤)

    경남 홍련 217 (34.7) 4,187

    대구 홍련 208 (33.3) 3,994

    경북 홍련 93 (14.9) 2,401

    전남 백련 74 (11.8) 1,287

    경기 백련 28 ( 4.5) 602

    전북 백련 2 ( 0.3) 43

    표 2-2. 주요지역의 품종별 생산실태

    자료: ’08년 채소류 생산실적(농림부)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2. 생산자 조사결과

    ○ 백련계는 주로 서남부 지역의 무안, 함평, 보성, 함양 등지에서 재배되고 전

    체 연의 16%정도임. 홍련은 경북을 중심으로 대구 동구, 달성, 경북의 고령,

    상주, 경남의 함안, 밀양, 합천 등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전체 연의 83%를

    차지할 정도로 많음. 황련계는 주산지 형성이 되어 있지 않고 전국에 소규

    모로 관상용 재배되고 있음.

    1) 신세균, 충북농업기술원, 연꽃 기르고 감상하기

  • 11

    ○ 백련계의 특징은 꽃잎 전체가 백색을 띠는 것을 말하며, 일부 꽃잎 상부 1/4

    정도 홍색, 하부 1/4 정도 황색을 띠는 백련도 있음.

    - 무안군의 회산지 연과 금당지 연이 상부와 하부에 약간 황색과 홍색을

    띠기도 함.

    ○ 백련은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약용으로는 한방에서 약재로 처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홍련에 비해 재배가 까다롭고 환경에 민감함.

    - 무안군 백련은 잎·꽃·뿌리·줄기가 다른 지역의 백련보다 크고 잎에 잔털

    이 없고 부드러워 가공으로 이용하는데 유리하며, 향이 짙어 제다 시에

    이용되고 향이 진하고 건강에 좋은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 홍련은 대부분 식용으로 쓰이고, 꽃은 백련에 비해 작게 피는 것으로 나타

    남. 또한 잎이 넓고 크며 잔털이 많아 제다 시 백련과 비교해 품질이 떨어지

    는 것으로 나타남.

    2.2. 주산지별 생산실태

    2.2.1. 무안군의 연 생산실태

    ○ 무안군은 2001년부터 군특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벼 대체작목인 연 재배 단

    지를 조성하여 쌀 수익보다 3배 가량 높은 연 재배를 확대 보급하였음.

    - 2008년부터 무안군은 3개년 계획으로 백련클러스터사업2)을 실시하여 국

    비, 지방비, 자부담 포함한 192억 원을 지원하고 있음.

    2) 무안군 백련클러스터 고도화사업 지원내용은 부록참조.

  • 12

    ○ 무안군 백련은 뿌리부터 씨까지 이용되고 있어 소득 작물로써 부가가치가

    높아 벼 대체작물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행정기관, 농업인, 농업기

    술센터 등의 권유로 수도작이 연으로 작목변경이 이루어지고 있음.

    - 무안군에서 개최하는 “대한민국 연산업 축제”와 연계하여 백련 주산지

    활성화와 수요창출을 위한 상품화, 홍보 등이 작목 변경에 주요한 것으

    로 나타났음.

    ○ 무안군 백련작목반은 작목반원 45명이 전체 재배면적 87,000평 규모에 연

    을 재배하고 있음.

    - 연근 단수는 평균 6kg/평 정도이며, 연간 552톤(522,000kg) 생산하고 있

    으며, 연잎은 평균 6kg/평 정도, 552톤(522,000kg) 생산하고 있음. 연꽃은

    평균 0.5kg/평 정도이며, 연간 43.5톤(43,500kg) 생산하고 있음.

    ○ 재배형태는 현재 전부 노지재배이며, 2010년부터 3,200평 규모의 시설재배

    를 위한 농지확보가 완료된 상태임.

    - 시설재배 농지는 백련작목반에서 시설재배를 희망하는 작목반원이 개인

    농지에서 시험재배를 위해 계획한 규모임.

    ○ 재배품종은 백련이 약 57,000평을 재배하고 있으며, 홍련은 약 30,000평을

    재배하고 있음.

    - 백련과 홍련 모두 재배방법은 같으나 이용목적에 따라 품종 변경을 하고

    있음.

    - 연근의 품질은 품종에 따라 특성이 있으나 연잎 등의 부산물을 수확할

    경우 연근의 크기가 작아 수확량이 적고 품질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

    며, 연꽃과 연자의 수확 시 품질은 향상되나 수확작업 중 답압으로 연근

    생장에 장애를 받으므로 주의를 요함.

    ○ 연 생산부문에 있어 이용부위별 재배면적 비율은 종근종자용 10%, 연근

  • 13

    30%, 연꽃 15%, 연잎 30%, 연자 15% 정도 이용하고 있음.

    - 연근 이용 비율이 낮은 이유는 백련 특성상 연잎, 연꽃과 같은 부산물

    이용이 많고 수확 시 연근 크기에 영향을 미쳐 상품화율이 낮아지는 경

    향을 보임. 노동력 부담 또한 연근 수확노동력에 비해 쉬운편이어서 부

    산물 위주의 수확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 가공원료로서의 부산물 판매수익 또한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연근 이

    용율은 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됨.

    이용부위 종근용 연근 연꽃 연잎 연자 계

    비율(%) 10 30 15 30 15 100

    표 2-3. 이용 부위별 비율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2. 생산자 조사결과

    ○ 이용목적별 재배면적 비율은 100% 전량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연간

    총생산액은 5억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음.

    2.2.2. 대구의 연 생산실태

    ○ 대구지역의 연 재배면적은 2003년 173ha에서 2009년 223ha로 연평균 4.3%

    증가율을 보이며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재배품종을 보면 대부분 홍련을 재배하고 있으며, 식용 연근위주의 생산체

    계로 시설재배 없이 노지재배로 국내 연근생산의 30%가량을 생산하고 있음.

    ○ 대구지역 연근 생산량을 보면 2003년 3,454톤에서 2009년 5,397톤으로 연

    평균 7.7% 증가하였음.

  • 14

    0

    50

    100

    150

    200

    250

    300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생산량(톤)

    재배면적(ha)

    (톤) (ha)

    그림 2-4. 연도별 생산량과 재배면적 변화 추이(대구)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3. 조사결과

    ○ 연 생산자 단체는 크게 반야월작목반, 칠곡상근영농조합, 달성생산자연합회

    에서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그중 반야월작목반은 12명의 작목반원이

    128ha 대단지를 재배하고 있음.

    - 단수는 평균 7~8kg/평 수확이 가능하며, 수확시 인건비는 100,000원(여

    자의 경우 50,000원) 내외로 노동력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음. 수확작

    업은 우선 중장비 선작업으로 겉흙을 제거한 후 수작업으로 연근을 캐고

    있음.

    ○ 연 이용부위는 100% 연근위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종근 종자

    용으로 일부 판매하고 있음. 전체 연 생산액은 135억 원 정도로 추산됨.

    ○ 대구시는 연 작목반을 대상으로 저온저장고, 비료살포기, 연근 전용비료 등

    연농가를 위한 지원(저온저장고 30평 1억2천만 원, 동력살포기 16대 8백만

    원, 연근 전용비료 2,000포 3천만 원)을 하고 있으며, 매년 연꽃전시회를 개

    최하여 지역 관광·홍보에 노력하고 있음.

  • 15

    2.2.3. 함안군의 연 생산실태

    ○ 경상남도 함안군 연 재배는 칠서작목반에서 66ha면적 전체를 재배하고 있

    으며, 주로 홍련을 재배하고 있음. 대부분 식용 연근만을 취급하고 있으며,

    연 부산물이용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 일반적으로 홍련의 부산물 가공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지자체

    차원의 가공공장 설립 투자비용 지원이 없어 가공품생산이 어려운 상황

    이며, 가공품의 판로에 대한 부담이 있어 가공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음. 함안군 연 재배의 주력은 식용 연근 생산인데, 연 부산물 채취 시 연

    근 생육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공에 대한 농가인식 또한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음.

    -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평균 8kg/평 수확이 가능하며, 수확 시 인건비는

    100,000~150,000원/인 내외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노동력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음. 연간 총생산량은 1,597톤(1,597,200kg)정도 생산하고

    있으며, 총생산액은 46억 원 정도로 추산됨.

    ○ 함안군 출하시기는 연근의 경우 9월부터 수확을 시작하여 다음해 5월까지

    연중 수확이 가능하나, 6월에서 8월사이 출하량이 적어 판매가격 등락폭이

    매우 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설재배와 같은 시험포장을 실시하였는데,

    재배시험 결과 보통 15일에서 30일가량 조기수확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

    났음. 시설재배로 조기수확이 가능하나 작업이 어려워 농가에서는 큰 효과

    를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시설재배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 대비 큰 효율을 얻지 못해 농가 입장에

    서 선호하는 편이 아니며, 차선책으로 한해 연근 수확을 하지않고 2년에

    1회 수확함으로써 연작피해를 줄이고 조기 출하하는 방법을 선호하는

    편임. 그러나 2년에 1회 수확하는 방법도 연근 비대에 영향이 있어, 상품

    화률이 낮고 수확량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16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기비, 정식

    연근

    표 2-4. 작업단계 및 수확시기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3. 조사결과

    ○ 연 재배 작업단계는 3월 초순경부터 4월말까지 기비시용과 정식작업을 완

    료하고 6월에 추비 및 방제작업을 실시함.

    2.2.4. 함양군의 연 생산실태

    ○ 경상남도 함양군 연 재배는 33ha(100,000평)정도 재배되고 있으며, 일반 노

    지재배 형태로 백련만을 재배하고 있음. 함양군 연 재배 특이사항은 식용

    연근과 연자 이용율이 5%미만으로 거의 이용되고 있지 않으며, 90%가량

    연잎만 이용하고 있음.

    - 벼 대체작물로써 연은 농가 수익이 비교적 높아 농가에 도움은 되고 있

    으나, 노동력 부담이 높은 작물로써 농촌현실과 부합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지상부의 연잎만 수확하여 노동력

    부담을 해결하고 있음.

    - 지상부 연잎만으로는 판로 및 농가 수익에 어려움이 있어, 지자체 지원을

    받아 연잎 가공공장을 설립하고 연잎가공품 원료용으로 출하하고 있음.

    - 연잎의 단수는 30장3)/평 정도 수확이 가능하며, 연잎 한 장당 100원 정도

    에 판매되고 있음. 연간 연잎 총생산량은 3,000,000장 정도 생산하고 있

    음.

    3) 함양군 연잎은 장당으로 거래되고 있음.

  • 17

    ○ 함양군 연 재배면적은 2005년 5ha에서 2010년 33ha로 연평균 46.1%증가율

    을 보이며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재배면적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년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연평균증가율

    면적 5 7.6 10.9 14.2 22.4 33 46.1%

    표 2-5. 함양군 연 재배 현황

    단위: ha

    자료: 함양군 농업기술센터 내부자료

    ○ 함양군 연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연잎의 총생산액은 3억 원 정도

    되며, 연자와 연근은 각각 3,300만 원과 2,300만 원 정도로 추산됨. 재배농가

    의 70~80%는 지역 가공업체와 연계하여 계약재배를 통해 출하하고 있음.

    - 함양군 전체 연 생산 총액은 3억5천6백만 원 정도로 추산됨.

    ○ 함양군 연 재배는 대부분 지상부의 부산물만 채취함으로 타지역에 비해 노

    동력에 대한 부담이 적고, 7월과 8월 두 번만 수확함으로 고용노동력 또한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 함양군은 연잎 위주의 재배로 타지역에 비해 연근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상품성이 떨어짐으로 가공을 위한 연근가루용으로 연근을 일부 수확하여

    생산하고 있으며, 대부분 연잎을 이용한 연잎밥, 연잎차, 연떡국, 연비누, 연

    막걸리 등 가공산업이 발달하고 있음.

    ○ 연 재배 농가는 가공업체(지역영농법인, 맑은음식이야기, 함양군농산물가공

    협회, 함양전통막걸리연구회 등)에 전량 계약재배로 운영되고 있으며, 친환

    경인증을 받은 함양군 연잎만을 가공원료로 사용하고 있음.

  • 18

    ○ 함양군 농업기술센터는 지역농민들을 위해 적극적인 판로개척에 주력하고

    있음.

    - 2007년 경남향토음료경연대회에서 함양군 연잎차 수상, 고속도로휴게소

    맛자랑멋자랑경연대회에서 함양연잎밥 수상, 경남요리경연대회에서 연

    잎유황오리찜 수상, 2008년 경남향토식품경연대회 함양 연잎밥 수상,

    2009년 경남관광상품공모전에서 함양연잎밥 수상 등 연잎을 이용한 향

    토음식홍보에 노력하고 있음.

    ○ 또한 프랜차이즈 박람회 등과 같은 각종 박람회에 참여하여 함양군 연잎 가

    공품을 홍보하여 판로활성화에 노력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 함양군 주최

    “함양연축제”를 개최하여 지역 연에 대한 홍보 및 판촉활동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

    3. 주산지별 경영성과 분석

    3.1. 주산물 연근 경영성과

    ○ 주산지별 연근 조수익은 대구가 3,859천 원/10a으로 가장 높고, 경남, 전남

    순임. 대구 지역의 연근 조수익이 높은 것은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으며,

    품질이 좋고 지속적으로 시장에 출하하고 있어 시장교섭력에서 다른 지역

    보다 우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임.

    ○ 경남지역의 연근 조수익은 대구보다는 낮지만 전남보다는 높음. 경남지역

    이 전남보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고 시장 출하 형태의 다변화로 농가수

    취가격을 높게 받기 때문임.

  • 19

    (경북, 경남 수확 작업) (전남 무안 연근 수확작업)

    그림 2-5. 지역별 연근 수확 작업 방법

    ○ 전남 지역의 연근은 가늘고 길어 품질이 다른 주산지에 비해 좋지 않아 가

    격을 낮게 받고 있으며, 연근 10a당 조수익은 310만 원으로 낮은 수준임.

    - 전남 지역의 연근은 7월부터 9월까지 연잎과 연꽃을 채취하기 때문에 연

    근 생장에 영향을 미쳐 가늘고 긴 특징을 보이며, 상품성이 떨어져 가공

    원료로 많이 이용됨.

    ○ 대구 지역의 경영비가 전남에 비해 낮은 것은 고용노력비 절감에 의한 것임.

    - 경영비 항목에서 비중이 큰 항목은 고용노력비인데, 대구지역은 고용노

    력비가 10a당 42만 원이고 전남은 75만 원으로 높아 전남지역의 소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대구지역이 전남지역보다 고용노력비가 적은 것은 수확작업 시 대구는 사

    질토 토양으로 작업환경이 좋아 1인당 1일 수확량이 많은데 비해 전남은

    점토질 토양으로 토양 특성상 1인당 많은 량을 수확하는데 한계가 있음.

    ○ 전남은 다른 지역에 비해 연근 소득만 고려한다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 연근 주산물 10a당 소득은 전남이 109만 원, 대구 197만 원, 경남 168만

    원으로 전남의 연근 소득은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그러나 전남지역의 연근 소득은 쌀 소득에 비래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 20

    표 2-6. 지역별 연근과 쌀 소득 비교

    전남 대구 경남 쌀(전국)

    조수입(A) 3,105,000 3,858,768 3,312,294 1,013,362

    경영비

    중간

    재비

    종묘비 528,000 614,537 510,000 11,722

    비료비 125,500 140,655 252,796 44,134

    농약비 111,000 3,738 19,576 26,283

    제재료비 100,000 120,874 102,657 10,956

    농구비 135,000 92,263 132,666 46,769

    기타 중간재비 20,000 107,561 122,329 12,708

    계 1,019,500 1,079,628 1,140,024 152,572

    토지임차료 250,000 362,139 264,554 242,167

    위탁영농비 - 25,556 924 113,320

    고용노동비 750,000 422,325 219,072 9,325

    경영비 계(B) 2,019,500 1,889,648 1,625,241 517,384

    자가노력비 502,711 1,589,160 598,347 83,395

    생산비 2,522,211 3,478,808 2,223,588 600,779

    소득(C)=(A-B) 1,085,500 1,969,120 1,687,053 495,978

    쌀 소득 대비 2.2 3.9 3.4 1.0

    자료: 대구와 경남 연 생산비는 2008년 농산물소득자료(농진청), 쌀생산비자료(통계청)

    전남 무안군은 사례조사 자료임.

    3.2. 부산물 경영성과

    ○ 연근재배에서 부산물은 연꽃, 연잎, 연자 등이 있음. 무안군의 경우 연꽃과

    연잎을 채취하여 부산물 소득을 높이고 있음. 그러나 경북과 경남은 부산물

    소득이 거의 없는 실정임.

    - 무안군 백련은 잎·꽃·뿌리·줄기가 다른 지역의 백련보다 크고, 잎에 잔털

    이 없고 부드러워 가공용으로 이용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임.

  • 21

    ○ 전남 무안의 연꽃 10a당 생산량은 1,500송이이며 연꽃의 50%는 생화, 나머

    지 50%는 냉동으로 판매하는 것으로 추정할 경우 10a당 생화는 750송이,

    냉동 750송이가 생산됨.

    - 실제 연꽃 수확량은 전체 꽃 중에서 10%만 수확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10a당 실제 수확량은 150송이이며, 생화로 75송이, 냉동으로 75송이로

    추정됨.

    ○ 연잎 생산 가능량은 10a당 60,000kg이며 이중 실제 수확하고 있는 연잎은

    생산 가능량의 0.3%인 180kg 수확하고 생잎으로 90kg, 냉동으로 90kg 수

    확하는 것으로 추정됨.

    ○ 연꽃이 생화일 경우 가격은 송이당 2,500원, 냉동은 4,500원이며, 연잎은 생

    잎일 경우 kg당 3,000원 냉동은 5,000원으로 거래되고 있음.

    ○ 무안군의 부산물 소득은 연꽃 소득이 10a당 42만 원, 연잎이 57만6천 원으

    로 총 99만 6천 원임.

    구 분

    수확량(10a)가격(B)

    조수익 (C)=(A×B)

    경영비(D)

    소득(E)=(C-D)수확

    가능량실수확량(A)

    연꽃생화(송이) 750 75 2,500 187,500 37,500 150,000

    냉동(송이) 750 75 4,500 337,500 67,500 270,000

    연잎생잎(kg) 30,000 90 3,000 270,000 54,000 216,000

    냉동(kg) 30,000 90 5,000 450,000 90,000 360,000

    계 - - - 1,245,000 249,000 996,000

    표 2-7. 연 부산물 판매가격(무안군 사례)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2. 생산자 조사결과

  • 22

    3.3. 연 경영성과

    ○ 전남 연근 10a당 연근 소득 109만 원, 부산물 소득 99만 6천 원으로 총소득

    은 208만 원임. 이는 다른 지역보다 소득이 오히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 시군별로 수익성을 비교해 보면 고령군 소득이 10a당 3,821천 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다음은 무안군, 함안군, 대구 순으로 나타났음. 고령

    군 재배품종은 홍련과 수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특이한 점은 관상용 소득

    이 1,815천 원으로 소득이 높게 나타났음.

    - 고령군 연근 소득은 2,006천 원으로 소득률은 43%이고, 관상용 소득은

    1,815천 원으로 소득률은 80%임.

    지역 품종 용도 조수익 경영비 소득 소득률

    무안군백련

    연근 3,105 2,019 1,086 35.0

    연잎 720 144 576 79.2

    연꽃 525 105 420 80.8

    계 4,350 2,268 2,082 47.9

    함평군백련

    연근 1,750 1,137 613 35.0

    연잎 906 589 317 35.0

    연꽃 453 294 159 35.1

    계 3,109 2,020 1,089 35.0

    함양군 백련 연잎 907 127 780 86.0

    대구시 홍련 연근 4,107 2,141 1,966 47.9

    고령군

    홍련 연근 4,665 2,659 2,006 43.0

    수련 관상용 2,268 453 1,815 80.0

    계 6,933 3,112 3,821 55.1

    함안군 홍련 연근 4,665 2,665 2,000 42.9

    밀양시 홍련 연근 3,862 2,723 1,139 29.5

    표 2-8. 지역별/용도별 경영성과단위: 천 원, %

    주: 2009년 1기작/ 10a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산지 생산자 조사결과

  • 23

    ○ 무안군의 경우 연근 소득은 1,086천 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낮지만 연잎,

    연꽃 소득까지 합할 경우 2,082천 원으로 식용으로써는 가장 높은 소득을

    나타내고 있음. 소득률은 47.9%로 대구지역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

    되었음.

    ○ 백련 재배지역 이외 지역은 품종 특성상 연 부산물 채취와 이용이 어려우며

    연 시장 또한 사찰이나 매니아 층을 제외한 소비층이 얇아 연 부산물을 이

    용한 가공품 판로에 어려움이 많음.

  • 24

    제3 장

    연 유통·가공·소비실태 분석

    1. 연 유통경로

    ○ 연근은 생산량에 따라 연도별 가격 상승과 하락 폭이 매우 크며, 출하량이

    전국적으로 많지 않아 가격이 높은 편임. 대량소비처 위주로 판매되고 있으

    며, 일부 소매점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것은 산지에서 세척하지 않은 상

    태로 출하된 것이 대부분임.

    ○ 가공되지 않은 국내산 연근의 경우 재배농가에 의해 연뿌리 통째 또는 1차

    가공형태로 출하되어 중도매인를 거쳐 소비자에 유통되는 구조로 생산자⇒

    중도매인(위탁거래)⇒소비자(납품, 급식업체 등)의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음.

    생산자가 직접 인터넷, 수집상 등을 통해서 일부 판매·유통되기도 함.

    ○ 유통되는 연근 중 수입산은 대부분 중국산으로 뿌리를 세척하여 신선 또는

    냉동상태로 수입되거나 슬라이스 염장 상태로 수입되는 경우가 많으며, 수

    입상을 통해 중도매인을 거쳐 소비자에게 유통되는 구조로 수입상⇒중도매

    인(매수거래)⇒소비자 구조임. 수입산은 품질이 뛰어나고 가공에 유리하며,

    마진율이 높아 국내 유통업자들이 선호하는 편임.

  • 25

    ○ 연근은 도매시장에서 비상장 거래품목으로 되어 있어 정확한 거래물량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실정임.

    1.1. 무안군 연 유통경로

    ○ 무안군 백련의 유통경로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대표적인

    유통주체는 일로농협, 중소형 가공업체, 중간유통업체, 소매상 정도임.

    - 무안군 백련의 경우 도매시장 출하율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도매시장에서 연근은 비상장 거래품목으로 중도매인에 의한

    가격조정이 심한 것이 주원인으로 조사되었음.

    ○ 산지유통경로를 보면 농협은 작목반으로부터 연근, 연잎, 연꽃, 연자를 80%

    정도를 수집하여 대량소비처인 학교급식과 대규모 식당에 50%를 공급하고,

    30%는 농협도매사업단으로 출하함. 나머지 20%는 지역 가공업체 및 인터

    넷 직거래 형태로 판매하고 있음.

    - 대형유통업체와 가공업체 등은 대량거래를 주로 하고 있으며, 중간유통

    업체와 소매상 등은 산물형태로 주로 판매함. 판매는 소포장 박스로 판

    매하기도 하고 친환경연근, 1차가공된 연 부산물을 진공포장 형태로 판

    매하고 있음. 판매형태는 g, kg, 상자(5kg, 10kg)단위로 소비자기호에 맞

    게 다양하게 판매함.

    ○ 소비지 유통경로를 보면 대량소비처인 대규모 식당에서 60%이상을 소비하

    며, 개인 소비자는 40%정도 소비하는 것으로 추정됨.

    ○ 무안군 백련의 산지 및 소비지 유통경로별 비중을 보면 생산자가 생산한 양

    을 100이라 할 때, 생산자는 농협에 80을 출하하고, 농가 직거래 형태로 20

    을 출하함.

  • 26

    생산자(100)

    농협(80)

    직거래(20)

    가공업체(16)

    대량소비처(59)

    농협도매사업단

    (24)

    중간유통업체(6)

    소매상(18)

    소비자(38)

    수출(3)

    20

    80

    16

    40

    24

    6

    7

    12

    6

    12

    20

    3

    그림 3-1. 무안군 백련의 유통경로

    - 농협의 80은 대량소비처에 40을 판매하고, 농협 도매사업단에 24, 지역 가

    공업체에 16을 판매함. 농협 도매사업단의 24는 전국 대량소비처와 소매

    상에게 각각 12를 판매하고, 가공업체의 16은 대량소비처에 7, 중간유통업

    체 6, 수출에 3을 판매함. 중간유통업체는 다시 소매상에게 6을 판매함.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2. 유통업체 조사결과

    ○ 무안군의 연 유통경로는 다른 지역에 비해 농협에 출하하는 비중이 높기 때

    문에 농협은 농가와 계약재배를 통해 지속적으로 연근 확보가 가능하며, 농

    가의 소득 안정을 위해 가격을 사전에 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임.

    1.2. 대구 연 유통경로

    ○ 대구시 홍련 유통경로는 서울가락동 도매시장, 대형유통업자, 대형할인점,

    직거래 등으로 출하하고 있음.

    - 반야월작목반의 경우 도매시장 출하는 거의 없으며, 대형할인점을 통한

  • 27

    직거래 형태로 1차 가공한 세척 통연근, 슬라이스 연근, 건조 연근을 소

    포장 형태로 출하하고 있음.

    - 도매시장을 통한 세척되지 않은 상태의 연근 출하는 중도매인들에 의한

    가격조정이 심해 다양한 판로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농민의 피해가

    더욱 가중될 전망임.

    ○ 연 생산자 단체는 연근을 도매시장에 40%출하하고, 하나로 마트와 같은 대

    형할인점에 30%, 대형유통업자 20%, 직거래형태로 10% 출하하고 있음.

    - 도매시장에서 거래된 연근은 다시 소매상으로 판매가 되며, 대형유통업

    자는 대량소비처인 학교급식, 식당, 병원 등으로 판매됨.

    - 도매시장과 대형유통업체는 대량거래를 통한 세척되지 않은 연근 위주

    의 원물형태로 거래되고 있으며, 대형할인점과 직거래는 소비자 기호에

    맞게 1차 가공된 소포장 형태로 판매되고 있음. 판매형태는 5kg 랩포장

    과 진공포장으로 판매되고 있음.

    ○ 소비지 유통경로를 보면 대량소비처인 학교급식과 대규모 식당, 병원 등에

    서 30%정도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인 소비자는 70%정도 소비하는

    것으로 추정됨.

    ○ 대구시 홍련의 산지 및 소비지 유통경로별 비중을 보면 생산자가 생산한 양

    을 100이라 할 때, 생산자는 서울가락동 도매시장에 40을 출하하고, 대형할

    인점에 30, 대형유통업자에 20, 직거래 10을 출하함.

    ○ 도매시장의 40은 전량 중도매인에 해당되는 상회로 넘어가고 이 가운데 20

    은 대량소비처인 학교급식과 대형음식점 그리고 병원 등으로 판매되고, 나

    머지 20은 소매상으로 판매됨. 대형유통업자 20은 대량소비처와 소매상에

    10씩 판매하고 대형할인점과 직거래는 각각 30, 10씩 소비자에게 판매됨.

  • 28

    생산자(100)

    대형유통업자(20)

    도매시장(40)

    대형할인점(30)

    직거래(10)

    대량소비처(30)

    중도매인(40)

    소매상(30)

    소비자(70)

    20

    40

    30

    10 10

    30

    40 2020

    10

    10

    30

    그림 3-2. 대구 홍련의 유통경로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3. 조사결과

    1.3. 함안 연 유통경로

    ○ 함안군 연근 유통경로는 주로 부산과 마산의 도매시장과 대형유통업자에게

    출하되고 있음.

    - 도매시장을 통한 세척하지 않은 상대의 연근 출하가 대부분이며, 출하형

    태는 10kg와 20kg 상자 두 가지 규격으로만 출하하고 있음.

    ○ 산지유통경로를 보면 칠서작목반은 도매시장과 대형유통업자에게 각각

    50%씩 출하하고 있음.

    - 도매시장에서 수집된 연근은 상회를 통해 소매상과 대량소비처인 학교

    급식, 식당, 병원 등으로 판매됨.

    - 대형유통업체는 중간유통업체와 대량소비처 그리고 대형할인점으로 판

    매되고 있음.

  • 29

    소비자(55)

    생산자(100)

    도매시장(50)

    대형유통업자(50)

    중도매인(50)

    소매상(45)

    대량소비처(45)

    중간유통업자(20)

    대형할인점(10)

    50

    50

    50 25

    25

    20

    20

    10 10

    20

    45

    그림 3-3. 함안 홍련의 유통경로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3. 조사결과

    ○ 소비지 유통경로를 보면 대량소비처인 학교급식과 대규모 식당, 병원 등에

    서 45%정도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비자는 55%정도 소비하는 것으

    로 추정됨.

    ○ 산지 및 소비지 유통경로별 비중을 보면 생산자가 생산한 양을 100이라 할

    때, 생산자는 도매시장과 대형유통업자에 각각 50을 출하함. 도매시장의 50

    은 전량 중도매인 격인 상회로 넘어가서 대량소비처인 학교급식과 대형음식

    점 그리고 병원 등에 25를 판매하고, 소매상에 25를 판매함. 대형유통업자의

    50은 대량소비처에 20, 중간유통업자에 20, 대형할인점에 10을 판매함.

    1.4. 함양 연 유통경로

    ○ 함양군 연 유통경로는 크게 대량소비처, 직거래, 대형할인점, 수출 등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음.

  • 30

    - 함양군 연은 원물로 출하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소비자 기호에 맞는

    가공품으로 직거래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산지유통경로를 보면 농가와 계약재배한 연잎은 지역가공업체가 수집하여

    가공한 후 대량소비처인 전국 프랜차이즈업체에 50% 출하하고 있으며, 롯

    데카드 텔레마케팅 20%, 대형할인점 15%, 수출 15% 출하하고 있음.

    - 출하처 대부분은 소비자와 직거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판매형태는

    소포장 형태로 간단한 조리 후 바로 먹을 수 있도록 판매되고 있음.

    ○ 유통경로별 비중을 보면 생산자가 생산한 양을 100이라 할 때, 생산자는 계

    약재배를 통해서 지역가공업체에 100을 출하하고, 가공업체는 대량소비처

    50, 직거래 20, 대형할인점 15, 수출 15를 출하함.

    - 대량소비처인 프랜차이즈업체와 직거래형태인 롯데카드 텔레마케팅사업

    부는 각각 50과 20을 판매함과 동시에 함양군 가공품을 홍보하면서 판로

    확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생산자(100)

    대량소비처(50)

    대형할인점(15)

    직거래(20)

    수출(15)

    소비자(35)

    가공업체(100)

    100

    50

    15

    20

    15

    15

    20

    그림 3-4. 함양 백련의 유통경로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3. 조사결과

  • 31

    2. 연 거래 동향

    2.1. 도매시장 시기별 출하량과 가격비교

    ○ 연근 생산량 중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 반입량 비중은 다른 품목과 비슷하게

    감소하고 있음. 2005년 연근 생산량 7,300톤 중 가락동 반입량은 1,766톤으

    로 24%에서 2009년에는 생산량 12,563톤 중 2,410톤으로 19%를 차지하고

    있음.

    - 생산량 중 가락동 반입량 비중은 낮아지지만 총 반입량은 증가하고 있음.

    - 연근 단가는 2005년 kg당 1,616원에서 2009년 1,835원으로 219원 상승

    하였음.

    구 분 2005 2006 2007 2008 2009

    반입량 1,766 1,842 2,184 2,433 2,410

    반입액 2,854,938 3,011,782 4,267,387 4,471,913 4,422,870

    평균단가 1,616 1,635 1,954 1,838 1,835

    표 3-1.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 반입량

    단위: 톤, 천 원, 원/kg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연근의 특성상 7월부터 햇연근이 출하되기 시작하여 다음해 6월까지 출하

    되고 있음. 초기에 출하하는 연근은 완전히 비대하지 않아 평당 4kg정도 생

    산되고, 11월에 수확하는 성숙된 연근은 평당 8~10kg로 단위면적당 수확

    량 차이가 큼.

  • 32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05 2006 2007 2008 2009 평균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2005 2006 2007 2008 2009 평균

    원/kg

    그림 3-5. 도매시장 연근 반입량과 가격

    자료: 서울시농수산물유통공사

    ○ 농가의 출하가 적은 6~7월 가격은 다른 시기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가격으

    로 거래되고 있으며, 2005년부터 2009년까지 7월 평균 가격은 2,759원/kg

    이고, 12월은 1,404원/kg으로 매우 낮음.

    ○ 따라서 출하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품종을 개발·보급하거나, 재배방법 중

    가온 또는 보온을 통해 출하시기를 앞당겨 높은 가격에 판매하는 방법도 고

    려되어져야 함.

    - 현재 무안에서는 8월 “대한민국 연산업 축제”에 맞춰 조기 출하를 목표

    로 품종개발 및 신품종 도입 계획에 있으며, 시설재배를 위한 재배면적

    을 확보해 시험재배 계획중에 있음.

    ○ 가락동 도매시장 거래물량은 2005년에 1,766톤에서 2009년에는 2,410톤으

    로 증가하고 있으며, 가락동 도매시장 kg당 가격도 2005년에 1,714원에서

    2009년에는 1,928원으로 상승하였음.

  • 33

    2005 2006 2007 2008 2009 평년

    1월 1,639 1,394 1,687 1,549 1,348 1,523

    2월 1,944 1,392 2,114 1,666 1,433 1,710

    3월 1,781 1,362 2,082 1,727 1,558 1,702

    4월 1,507 1,653 2,298 2,004 1,814 1,855

    5월 1,613 1,654 2,600 2,014 1,905 1,957

    6월 2,149 2,065 2,549 2,619 2,058 2,288

    7월 2,291 3,111 2,619 2,909 2,864 2,759

    8월 1,716 2,694 2,289 2,208 2,550 2,291

    9월 1,645 1,735 1,970 1,835 1,984 1,834

    10월 1,526 1,560 1,692 1,665 1,890 1,667

    11월 1,422 1,473 1,548 1,594 1,799 1,567

    12월 1,334 1,389 1,422 1,473 - 1,404

    표 3-2. 도매시장 연근 월별 평균단가

    단위: 원/kg

    주: 평년가격은 2005~2009년 월별 평균가격임.

    자료: 서울시농수산물유통공사

    2.2. 연근 월별 농가수취가격과 소비자 가격비교

    ○ 연근의 농가수취가격을 5개년 평균하면 농가수취가격은 kg당 1,126원이고,

    소비자가격은 5,050원으로 4.5배 차이가 발생함.

    ○ 농가에서 출하한 연근은 산지유통인을 거쳐 도매시장, 중도매인, 중간도매

    상, 소매상, 소비자로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임. 이러한 유통 경로에서 농가

    수취가격과 소비자 가격의 큰 차이는 물류비와 중간단계의 이윤이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음.

    ○ 산지유통인이 도매시장에 출하하기 위해서는 수확상차비, 포장재비, 운송

    비, 간접비, 이윤 등이 있으며, 여기서도 운송비와 이윤이 대부분을 차지하

    고 있음.

  • 34

    7월 12월 평균

    생산자=산지유통인 1,650 843 1,126

    도매시장 2,753 1,406 1,879

    중도매인 3,167 1,618 2,161

    중간도매상 3,715 1,898 2,535

    소매상=소비자가격 7,400 3,780 5,050

    표 3-3. 연근 유통단계별 가격 추정 단위: 원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주요농산물유통실태 이용 재계산

    ○ 농가 수취가격을 상승시키고 소비자 잉여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직거래와

    같은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는 유통경로가 필요함.

    2.3. 국내산과 수입산 가격비교

    ○ 가락동 도매시장 연근 반입량 중 중국산 비중은 17~22% 수준으로 조사되

    었음. 2005년 가락동 반입량 1,766톤 중 중국산이 307톤으로 17%를 차지하

    고 있고, 2009년에는 22%를 차지하였음.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2005 2006 2007 2008 2009

    중국산 국내산

    그림 3-6. 국내산과 중국산 연근 가락동 도매시장 반입량

    자료: 서울시농수산물유통공사 자료 분석

  • 35

    - 중국산 도매시장 반입량이 이 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알고 있으나, 원산

    지 표시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고, 소비자가 연근이 수입산인지 국내산

    인지 구별하지 못하고 있어 둔갑 판매되고 있기 때문임.

    ○ 가락동 도매시장 연근 가격을 수입산과 국내산 가격으로 비교해 보면 2005

    년 세척연근 중국산 도매가격은 kg당 1,475원이고, 국내산은 1,714원으로

    중국산 연근이 국내산 연근 가격의 86% 수준으로 낮게 거래되었음. 2009년

    에는 국내산 연근 도매가격이 1,928원/kg이고, 중국산은 1,669원/kg으로 중

    국산 연근은 국내산 연근 가격의 87%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중국산 수입원가는 1,325원/kg으로 낮지만 수입업자가 가격조정을 하여 판

    매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0

    500

    1000

    1500

    2000

    2500

    2005 2006 2007 2008 2009

    수입산 국내산

    원/kg

    그림 3-7. 국내산과 중국산 연근 가격 비교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 자료 분석

  • 36

    2.4. 도매시장별 연근 출하규모

    ○ 2008년 연근 도매시장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14개 도매시장에서 거래된 금

    액은 64억7천만 원 정도이며, 이중에서 거래가 가장 많은 곳은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으로 전체 거래금액의 69.1%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부산

    엄궁, 대구북부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 연근의 kg당 가격은 대전 오정 도매시장이 2,429원으로 가장 높고, 순천도

    매시장 가격이 1,139원으로 가장 낮아, 가격이 높은 시장과 낮은 시장의 가

    격차이가 kg당 1,290원 차이가 있음.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 kg당 가격은

    1,838원으로 도매시장 전체 평균 가격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