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80

Upload: others

Post on 16-Jan-2022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21세기 지구촌 공동의 목표는 경제적 번영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산업과 환경의

공존, 그리고 산업활동의 사회적 책임 강조로 모아지고 있습니다. 세계는 일찍이

이를 실천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지속가능 발전(SD, Sustainable

Development)」을 합의한 상태입니다. 지난 2002년에는 100여개국 정상들이 남

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WSSD,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를 열고, 다양한 실천방안을 도출하는 데 성

공한 바 있습니다. 특히 산업 분야에서의 10개년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청정생산

과 생태경제 효율 제고를 위해 투자확대뿐 아니라 기업의 환경·사회적 책임을 강

조한 것은 정상회의의 가장 뜻깊은 성과라 할 것입니다.

국제 환경협약 및 각국의 환경규제 또한 환경과 무역을 연계하는 방향으로 나아

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는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의 경제·산업구조를 환

경친화적으로 바꿔야 할 필요와 의무를 지우는 일이기도 합니다.

산업자원부는 1995년 「환경친화적산업구조로의전환촉진에관한법률」을 제정,

본격적인 청정생산기술사업의 시동을 걸었습니다. 1999년에는 범국가적 청정생

산기술 개발 및 이전·확산을 총괄 지원하기 위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내에 국가

청정생산지원센터를 설치한 바 있습니다. 이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청정생

산지원센터는 전 산업구조를 환경친화적으로 전환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산업발전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과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이 성공사례집은 그 같은 노력의 일환 가운데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분야에

적극 참여한 기업, 대학, 연구소의 알찬 결실들만을 모아놓은 것입니다. 모쪼록 본

성공사례집이 청정생산기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기술이전·확산의 지평을 넓힘

으로써 국내 산업의 청정생산체제 정착을 위한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04년 5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주 덕 영

발 간 사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 정밀화학 제조공정에서 휘발성 유기물의 제거 및 회수를 위한 분리막 및

냉각응축 청정공정 개발 ...........................................................................

● 포장 및 PVC 벽지 생산공정의 진단지도 .......................................................

● ECH 및 ECH 사용 화학제품 제조공정의 발생오염물 저감을 위한 진단지도 ............

● 정밀화학(도료수지)산업의 청정생산공정 도입을 위한 진단지도 .........................

● 폐유리를 재활용한 야광반사 경계블록 개발 ..................................................

● 후가공 최소화 정밀 성형 기술 보급 .............................................................

● 웨이퍼 Handling용 공압 무급유 Rodless Cylinder 기술개발 .............................

● 아연도금라인의 청정생산을 위한 공정진단 및 최적화 .......................................

● 생물제품의 분리, 추출 및 정제공정의 청정생산기술 진단지도 사업 .....................

● 청정생산방법론에 의한 염료생산의 합성 및 분리 공정의 청정화를 위한 진단지도 ..........

● 다공성 무기화합물 미생물 담체 기술개발 .....................................................

● 디지털 날염 시스템용 섬유 소재 개발 ..........................................................

● 폐기 초경합금을 활용한 Hardfacing용 Cored Welding Wire 개발 .......................

● Dry Ice를 이용한 금형 세정 장치 및 자동화 세정장치 기술개발 ...........................

● 자동차 열교환기용 저공해/고성능 접합소재 상용화 기술개발 .............................

● 대두가공 부산물로부터 신규 생리활성물질분리기술 개발 .................................

●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환경 친화적 건식세정기술개발 ....................................

● 주물용 개량 물유리 기술 보급 사업 ............................................................

● 가공 및 열처리 공정에서의 폐기물 최소화 및 재이용 기술 개발 ..........................

● 금속 도금 공정의 생산효율향상과 환경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진단지도사업 ...........

● 염색가공공정에서의 오염물 배출량 감소와 원가절감을 위한 진단지도사업 .............

● 경제성을 고려한 환경친화형 금속가공 공정의 진단 및 개선 ...............................

● 도금폐수처리를 위한 신소재개발 ...............................................................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70

72

76

78

80

82

84

86

88

90

92

1. 청정생산이란? ...........................................................................................

2. 사업목적 .................................................................................................

3. 연혁 .....................................................................................................

4. 주요기능 .................................................................................................

● 골판지 공정수 처리에 의한 청정생산 기술 보급사업.........................................

● 면 및 면교직물 염색가공공정의 청정생산 구축을 위한 공정진단지도 ...................

●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 제조공정의 청정화기술 개발 .........................................

● 청정피혁생산을 위한 저크롬 탄닝 공정 기술보급 ............................................

● 고활성 알루미나 촉매를 이용한 에테르생산청정기술개발 ..................................

● 작업환경개선을 위한 절삭유 최적 리사이클링 공정 기술보급 .............................

● 의약품 원료공정 청정생산 진단지도 사업 ......................................................

● 다이캐스팅 공정에서의 MLCA기법의 적용 및 평가 ...........................................

● 환경친화적인 기계가공 공정기술 보급 ..........................................................

● 수분산 에멀젼형 기능성 코팅재료 제조기술 보급 .............................................

●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제조기술 보급사업 ......................................................

● 금속압출가공 process의 수율향상과 환경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진단지도 사업 ......

● 도금분야 청정화 진단지도 .......................................................................

● 생물산업에서 유용물질 분리, 정제 및 가공공정의 청정생산화를 위한 진단지도 ......

● 고압 막분리 및 막증류 기술을 이용한 초산에스테르화 반응 공정의 저농도

농축 기술 보급 .................................................................................................

C o n t e n t s

Ⅰ. 일반현황

08

10

12

14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40

42

44

46

38

Ⅱ. 주요성과

74

● 고품질, 고성능 스티어링 요크생산을 위한 냉간단조 공정 기술개발 .....................

● 무절삭유 냉각가공 공정기술 개발 ...............................................................

● 균일 예혼합 압축 착화 디젤엔진의 최적 연소 기술 개발 ..................................

● VSA기법과 첨착활성탄을 이용한 VOC 회수 및 악취처리기술개발 ......................

● RFE를 이용한 고농도 무공해 수성아크릴 점착제의 개발 ...................................

● CO2 Gas를 이용한 탈회 공정 기술 개발 ........................................................

● 폐유유화처리용 생물계면활성물질의 산업적 생산기술개발 .............................

● UV흡수방식 In-Line형 오존농도 측정장치개발 ...........................................

● 깃털을 이용한 Emulsified Oil 제거 System 개발 ..........................................

● 아질산 축적에 의한 고농도 질소폐수 처리기술개발 .......................................

● Nano composite 광촉매 산화법을 이용한 산업용 VOC 처리장치 기술개발 ..........

● 폐 베릴륨동 합금의 고주파용해방식에 의한 재생방법 기술개발 ......................

● 저공해 고효율 산업보일러용 연소기 개발 ....................................................

● 폐타이어를 사용한 전자제품용 방진·제진성 받침고무의 개발 .........................

● 마이크로 이멀션형 수계 세정제 개발 ..........................................................

●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환경친화성 인조피혁 제조기술개발 ..............................

● PFC 처리기술 및 대체가스 적용기술개발 ......................................................

● 연속식 Boil off Range의 개발 ..................................................................

● 산소PSA를 이용한 순산소 폭기공정 기술개발 ................................................

● 레이저를 이용한 건식 인쇄회로기판 제조공정 기술 개발 및 보급 ........................

● 비철제련 세정폐수 슬러지의 감량 및 재활용 기술개발 .....................................

● 습식도금 대체용 초고속 in-line 플라즈마 코팅 장치 및 공정개발 .......................

● 도금공정에서의 선택적 중금속 제거/회수 및 무방류 공정기술 개발 ......................

● 날염공정에서의 요소절감 기술개발 ...........................................................

● 피혁 폐수 슬러지 퇴비화 및 쉐이빙 조각의 복합 소재 개발 .................................

● 주물공장 환경개선을 위한 분진/송기 마스크 개발 ...........................................

● 도금공장의 청정공정개발 기반확충사업 .......................................................

● 전도성 고분자 센서 array를 이용한 공장내 VOC(휘발성 유기 가스) 측정

기술개발 ...........................................................................................

● 전통음료 생산시에 발생하는 고농도 당폐액을 이용한 젤란과 풀루란의

생산기술개발 ......................................................................................

● 호기성 무교반 밀폐형 퇴비화기기를 이용한 유기성 산업부산물의 퇴비화 공정 및

장치 개발 .............................................................................................

● NCC 잔사유를 이용한 고기능성 탄소재 원료용 고연화점 피치 전구체의

제조공정 개발 ...................................................................................

● Ru-Sn계 촉매를 이용한 VCM 생산공정발생 VOC 및 HVOC 동시 제어용

RCO 시스템 개발 ...............................................................................

118

94

96

98

100

102

132

134

136

138

140

142

144

146

148

150

152

154

156

106

110

116

122

124

126

128

130

104

108

112

114

120

청정생산이란?

청정생산 접근방법

청정생산 정의

공정, 제품 및 서비스 등 전 분야에서 자원생산성 및 효율을 극대화하고 인체와 환경에 미치

는 위해성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통합 환경전략을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활동

08 09

청정생산 기술분류

분야 세부기술분류 기술의 내용

제품청정제품

설계기술

청정생산 개념도

■ 부피최소화 및 경량화

■ 이동원에 대한 오염 배출물질 저감

■ 에너지 효율적 이용 등

■ 다기능 및 장수명화

■ 사용시 에너지 소비 저감

■ 소비자의 안전·보건 고려 등

폐기

설계

생산

수송

전과정적 사고

사용

■ 공정내 재활용,

재사용

■ 자연분해성

■ 폐자원 재사용 등

■ 역제조 (Inverse Manufacturing)

■ 에코디자인

■ 청정공정설계 등

■ 관리방법 개선

(Good Housekeeping)

■ 에너지 회수 및 효율 개선

■오염물질 배출 저감 등

청정원천

공정기술

유해성 원부재료

대체기술

공정내

재자원화기술

제품 환경경영

공정

■ 제 품 설 계 단 계 에 서 환 경 및 자 원 보 전 을 고 려 한 기 술● Life Cycle Assessment, Design for Environment,

Eco-Design 기법 적용, LCI 구축 등● 장수명 소재 및 제품개발, 재활용율을 제고한 제품개발,

저에너지 사용제품 개발,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제품개발 등

■ 생산공정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오염물 발생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고 생산효율을 높이는 기술● 건식세정, 건식도금, CFC-free 발포, 공정 최적화 등

■ 환경친화적인 원부재료로 변경하여 오염물질의 발생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는 기술● 6가 크롬 대체기술, 중금속 미사용 전지제조기술, 유기용매

미사용 도료개발 등

■ 발생한 폐기물 또는 부산물을 공정내에서 재자원화하여 환경오염

부하를 최소화하는 기술● 공정 폐수를 재활용한 무방류시스템 구축, 공정내 부산물 재활용 등

■ 환경친화적 경영시스템 구축● Supply Chain Environmental Management, 환경회계,

중소기업을 위한 통합환경경영체제 구축 등

지속가능 산업발전

청정생산이전확산사업

사업목적

지속가능한 산업발전체제 구축과 국가경쟁력 제고

■ 국제 환경협약 및 환경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기술 개발 및 보급

■ 청정생산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세계시장 선점

■ 중소기업에 대한 환경경영체제 구축을 지원

최종목표

주요 추진 방향

사업 개요

▶ 목적

청정생산을 필요로 하는 기업

에 국내외 전문기관이 보유한

기술, 기법 및 인프라를 활용

하여 생산성 향상 및 환경부

하 저감을 동시에 실현

▶ 지원분야

-공정진단·지도, 기술보급

-정보화, 표준화, 국제협력

-통합환경경영체제 구축

(SCEM, IEMS)

-EIP 구축, 기획 등

청정생산기술개발사업

사업단계별 추진 계획

▶ 목적

자원·환경보전과 기업의

기술력 향상을 실현하기

위한 청정생산기술 개발을

지원

▶ 지원업종

전자·반도체, 자동차, 정밀화학,

철강, 비철금속, 도금, 주물,

섬유·염색, 피혁, 제지, 시멘트,

석유화학, 금속가공, 생물 등

14개 관련 업종

10 11

기술유형 I : 선진국환경규제 돌파기술 개발

II: 산업환경개선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III: 지속가능 산업 발전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IV: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생태산업 Network 구축기술개발

V: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기술 개발

중요도 고↔●⊙○

사업개발전략

▲ 기초연구 △국제공동

■상용화지원 □ 기술도입

기술개발

생산현장

기술도입

지원

환경경영

체제구축

청정생산

기반조성

청정생산

기술개발보급사업

연혁

연혁

청정생산 도입을 위한 기술개발자금지원, 청정생산기반조성, 생산공정에 대한 진단·

지도, 개발된 기술을 보급·확산하고 있습니다

업종별 중장기발전전략 수립, 청정도 평가방법개발, 생태산업단지 조성계획 수립

등 청정생산체제 조기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청정생산에 대한 국제네트워크인 UNIDO/UNEP NCPC Network에 가입하여

국제협력과 국제 공동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는...

「환경친화적산업구조로의전환촉진에관한법률」제정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을 청정생산기술사업 총괄주관기관으로 지정

청정생산기술사업을 별도사업으로 확대시행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NCPC)」지정

International Green Productivity Association 가입

UNIDO/UNEP NCPC Network 가입

제 6 차 UNIDO/UNEP NCPCs 연차회의 서울개최

제1회 국제 산업생태학 및 생태산업단지 Conference 개최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 서울이전

1995.

1997.

1999.

2000.

2001.

2001.

2003.

2003.

12

11

02

05

05

11

01

02

12 13

UNEP

주요기능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의 기본 방향

지속가능산업발전을 위한 종합정책연구 추진

『청정생산혁신거점』으로서 산업자원부의 Innovative Technology Agency 역할수행

국제환경규제 강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으로 기업경쟁력 제고

14 15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 기능

공정진단지도

공용실험실 운영

“ for Sustainable Industrial

Development ”

Ⅱ. 주요 성과

청정생산

지속가능한 산업발전을 위한

산업계의 실천방안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골판지 공정수 처리에 의한 청정생산 기술

보급사업

개발효과

● 골판지 생산업체 (화승제지, (주)월산) 공정조사 및 물질수지 수립

● 골판지 공정수 재이용공정 (혐기성공정+탈탄산공정) 현장 Pilot-test

● 골판지 생산업체 특성을 반영한 공정 설계 및 경제성 검토

주요 개발내용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삼성엔지니어링(주)(어경해)

285,000천원

없음

2002년 4월 ~ 2003년 3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화승제지 Pilot 반응조 Unit

화승제지 Pilot 전경

18 19

사업개요

■ 환경개선 효과

■ 경제적효과

● 대상기업인 두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여 사업화 추진중이며, 적용시 각 약 50억원의 매출

증대효과 예상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월산 폐수배출량

월산 COD배출량

화승 폐수배출량

화승 COD배출량

구 분

180,000 톤/년 저감

180 톤/년 저감

180,000 톤/년 저감

120 톤/년 저감

720,000 톤/년

360 톤/년

540,000 톤/년

270 톤/년

540,000 톤/년

180 톤/년

360,000 톤/년

150 톤/년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면 및 면교직물 염색가공공정의 청정생산

구축을 위한 공정진단지도

사업개요 ■ 경제적 효과

수 량 단 가

NaOH

포름산

황산

전기

스팀

용수

폐수처리약품비

합계

구 분

5,160

288

1,500

9,360

146,880

1,008,100

1,008,000

금 액

3,000

144

780

8,640

114,480

792,000

828,000

ton/년

ton/년

ton/년

Mwh/년

ton/년

ton/년

㎥/년

185

840

56

50

17,700

2,662

420

원/kg

원/kg

원/kg

천원/Mwh

원/ton

천원/ton

원/㎥

399,600

120,960

40,320

36,000

573,480

575,258

75,600

1,821,218

개선 전 개선 후 단위 단위 (천원)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염색기술연구소(이기풍)

210,000천원

없음

2002년 4월 ~ 2003년 3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수세 bath 작업 전·후

● 수세 bath 개조를 통한 용수절감

▶ 현장수세기의 bath를 연결하여 용수, 약품 및 폐수처리비 절감

● 알칼리 폐액 재사용 및 중화용 황산절감

● 폐열회수

▶ 폐열 회수장치 및 열교환기에 의한 증기절감

● 열병합발전소의 스팀 응축수 하천방류

● 방축가공용 냉각수 재사용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수

COD

BOD

CO2

CO

SOx

NOx

구 분

2,800 ㎥/day

1,200 ㎎/ℓ

800 ㎎/ℓ

120 ppm

74 ppm

150 ppm

130 ppm

2,300 ㎥/day

950 ㎎/ℓ

600 ㎎/ℓ

90 ppm

52 ppm

110 ppm

100 ppm

20 21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 제조공정의 청정화

기술개발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공주대학교(김진만)

279,200천원

없음

2002년 4월 ~ 2003년 3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주요 개발내용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굳지않은 콘크리트 폐기물

경화 콘크리트 폐기물

CO

NOx

SOx

비산먼지

폐석분 슬러지

구 분

286.8 톤/년

258 톤/년

133.2 kg/년

103.2 kg/년

63.6 kg/년

4.3 (mg/S㎥)

6,156톤/년

327.6 톤/년

271.2 톤/년

648 kg/년

504 kg/년

312 kg/년

5.0 (mg/S㎥)

14,004 톤/년

40.8 톤/년

13.2 톤/년

514.8 kg/년

400.8 kg/년

248.4 kg/년

0.7 (mg/S㎥)

7,848 톤/년

● 아세아산업개발(주)

■ 경제적 효과

생산단가(천원/월)

원료

에너지

폐기물처리비

합계

항 목천지건업

아세아

산업개발

-

-

-

35,365

-

-

-

185,844

천지건업아세아

산업개발천지건업

아세아

산업개발

8,383

1,278

567

10,229

9,544

1,230

8,931

19,705

-

-

-

28.9

-

-

-

10.6

절감액(천원/월) 원가절감효과(%)

22 23

급수 예열기 (천지건업) 분리형 진동판과 일체형 직접식 진동기 (아세아산업개발)

● 전체 공정에 대한 물질수지 작성 및 공정별 발생 오염물질 파악, 문제점 도출 및 원인파악

● 각 공정별 개선방안 도출

▶ 천지건업 : 59건, 아세아산업개발 : 23건

● 선정된 개선안 중 ROI의 평가를 통해 우선순위를 결정 후 대상 사업장에 적용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에너지 효율

CO

NOx

SOx

비산먼지

콘크리트 폐기물

구 분

13.2 kg/년 저감

10.8 kg/년 저감

6.6 kg/년 저감

2.04 (mg/S㎥) 저감

236.64 톤/년 저감

34.8 kg/년

28.8 kg/년

17.4 kg/년

2.4 (mg/S㎥)

316.8 톤/년

21.6 kg/년

18.0 kg/년

10.8 kg/년

0.36 (mg/S㎥)

80.16 톤/년

11,520 톤/년폐수 2,304 톤/년 9,216 톤/년 저감

가열시간 4시간 10분 단축,

급수온도 향상 연소 효율 증가

38.1(%) 환경오염

저감 효과

● 천지건업

■ 환경개선 효과

개발효과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청정피혁생산을 위한 저크롬 탄닝 공정 기술

보급

■ 경제적 효과

금액(천원)비 고

Chrome

Syntan류

고형폐기물

항 목개선 전

290

67

157

830

2,870

24

240,700

192,290

3,768,000

4,200,990

개선 후

180

90

110

단 위

ton/yr

ton/yr

ton/yr

단 위

원/kg

원/kg

원/kg

149,400

258,300

2,640,000

3,047,700

수 량 단 가

개선 전 개선 후

저감

증감

저감

저감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신발피혁연구소(강전택)

302,000천원

없음

2002년 10월 ~ 2003년 9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저크롬 탄닝 공정 기술 보급

▶ 공정별 폐수 및 고형 폐기물 발생 조사

▶ 품목별(우피/돈피/양피) 유제 공정 진단 및 개선 사항 파악

▶ 저크롬 유제 공정의 제혁 기술 현장 도입(기존 크롬 사용량 대비 30% 이상 절감)

● 비크롬 및 비금속 탄닝 공정 기술 보급

▶ 피혁 공정내 문제점 및 현장 애로기술 분석

▶ 비크롬 및 비금속 유제 공정 적용 범위 검토

▶ 비크롬 탄닝 및 비금속(Metal Free) 유제 공정 기술 이전

▶ Process Flow Diagram DB구축 및 Mass Balance 작성

(환경성/경제성/기술성 평가, 정밀도 : ±10%)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COD

BOC

T-N

T-P

SS

구 분

3,580 mg/ℓ

2,000 mg/ℓ

580 mg/ℓ

9.0 mg/ℓ

2,050 mg/ℓ

2,800 mg/ℓ

1,650 mg/ℓ

380 mg/ℓ

7.2 mg/ℓ

1,490 mg/ℓ

780 mg/ℓ저감

350 mg/ℓ저감

200 mg/ℓ저감

1.8 mg/ℓ저감

560 mg/ℓ저감

24 25

비크롬 탄닝에 의한 Light color(white) leater 제조

저크롬 및 비크롬 탄닝 공정에 사

용된 Drum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고활성 알루미나 촉매를 이용한 에테르생산

청정기술개발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화학연구원(전기원)

180,000천원

서남대학교

2002년 10월 ~ 2003년 9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본 사업 수행전 대상사용 촉매:

탄소의 심한 침적으로 촉매의 수명 단축

■ 환경개선 효과

■ 경제적 효과

● 전력 비용 12,000 천원/년 절감

● 메탄올 원료 비용 72,000 천원/년 절감

● 촉매 비용 19,000 천원/년 절감

● 메탄올로부터 DME 제조용 촉매 개선

▶ 기존의 저활성 알루미나 촉매를 고활성 알루미나 촉매로 교체

● 고활성 알루미나의 선별법 보급

▶ 에테르 생성 반응의 촉매로서 적합한 알루미나 선별 기술 이전

● 환경 오염 저감

▶ 활성이 우수한 촉매의 보급으로 환경오염 부생 물질 저감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촉매

CO2

NOx

구 분

7.6 톤/년 저감

287 톤/년 저감

8 톤/년 저감

8 톤/년

545 톤/년

20 톤/년

0.4 톤/년

258 톤/년

12 톤/년

26 27

사업 수행에 의한 개선 효과

수행 전 수행 후

입구온도

반응온도

(촉매층)

Electric

Heater

탄소침척

330℃

370℃

35 kw

심함

275-285℃

330-340℃

5-12 kw

거의 없음

CH3OH ↔ CO+2H

2

2CO ↔ C+CO2

● 연료 비용 102,000 천원/년 절감

● 국내·외 학술논문 게재 실적

▶ Catalytic Dehydration of Methanol to Dimethylether (DME) over Solid-Acid Catalysts

Bull. Korean Chem. Soc., (2002). 등 3건 게재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작업환경개선을 위한 절삭유 최적

리사이클링 공정 기술보급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석유품질검사소(정충섭)

230,000천원

중앙대학교, (주)에코멤브레인

2002년 10월 ~ 2003년 9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친환경성 절삭유제(W2종1호 Semi-synthetic계)로 대체

● 절삭유제 리사이클링

▶ Micro Filter 및 Pre-Coated Filter를 사용하는 신공정 도입

● 칩제거 작업공정 개선

▶ Micro Filter를 사용 입자가 큰 금속성 물질을 제거하는 시스템 신규 도입

● 폐수처리 신규 시스템 도입

● 세정시스템 개선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경제적 효과

개발 전 개발 후구 분

40,000 천원

20,000 천원

4,000 천원

4,500 천원

3,600 천원

0 원

16,000 천원

3,333 천원

1,350 천원

1,800 천원

세정제(구매비용)

폐수처리

에너지 소모비용

절삭유제 위탁처리 비용

상수도 소모량

28 29

■ 환경개선 효과

환경적 효과

구 분 폐기물 폐수 총절감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개발 전 개발 후

12,600L(30%)18,000L 5,400L절삭유제

폐수처리 800㎥ 640㎥ 20%

에너지 소모량 790Kw 656Kw 17%

18,000L 5,400L 70%

7,200톤 3,600톤 50%

절삭유제 재활용

및 폐액발생

상수도 소모량

전조기에 부착되어 가동중인 절삭유제

재이용 시스템 모습

폐수처리 및 리사이클링 시스템 설치 모습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의약품 원료공정 청정생산 진단지도 사업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양대학교(김희택)

195,000천원

없음

2002년 10월 ~ 2003년 9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의약품 원료공정 진단지도

▶ 물질수지 및 폐기물 발생 현황 조사

▶ 공정분석 및 문제점 도출

▶ 폐기물 발생 저감을 위한 개선 방안 도출

● 폐용매 재이용 기술 수립

▶ 발생 폐용매 분석 및 분리 정제법 조사

▶ Pilot 설비를 이용한 폐용매 고도정제 기술 수립

▶ 폐용매 정제 이용 방안 제시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IPA 용매

기타 폐용매

폐기물

구 분

위탁정제 추진중

투자 진행중

투자 완료

250 톤/년

90 톤/년

70 톤/년

0 톤/년

40 톤/년

67 톤/년

■ 경제적 효과

● 용매 구입비 절감 (5,800만원/년)

● 제품 수율 상승 (1억원/년)

30 31

공비 증류에 의해 정제된 폐 IPA용매 폐용매 고도정제 기술 개발용 Pilot 설비

증발반응기 온도제어장치 설치로

제품수율 상승효과를 거두었음

폐용매 공비 증류 공정 설계도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다이캐스팅 공정에서의 MLCA기법의 적용

및 평가

금액

(천원)비 고

Al 원소재

투입량 저감

항 목개선 전

50

700

5

70

30,000

15

2,000

2,000

2,000

2,000

12,000

12,000

84,000

개선 후

53

658

4

56

50,000

13.8

단 위

%

Ton

%

Ton

Shot

Ton

단 위

원/kg

원/kg

원/kg

원/kg

천원/개

천원/개

수 량 단 가

연간생산기준

Al 원소재

투입량 저감연간생산기준

연간생산기준

28,000

48,000금형 원재료

저감

■ 경제적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김세광)

271,000천원

성균관대학교

2002년 10월 ~ 2003년 9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학술지(SCI)

▶ Cast Effective particle Reinforced Magnesium Composites(Material Science Forum

2003) 등 4건

● Al 다이캐스팅 공정의 MLCA(Material Life Cycle Assessment) 평가

● Al 다이캐스팅 공정의 청정생산공정화

● Cold Chamber Al 다이캐스팅 Computer Simulation 및 주조방안 확립

● Mg 다이캐스팅 공정의 MLCA(Material Life Cycle Assessment) 평가

● Mg 다이캐스팅 공정의 청정생산공정화

● Hot Chamber Mg 다이캐스팅 Computer Simulation 및 주조방안 확립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분진 (㎏/㎏)

CO2 (㎏/㎏)

CO (㎏/㎏)

SOx (㎏/㎏)

NOx (㎏/㎏)

VOCs (㎏/㎏)

구 분

1.501E-06

9.913E-01

1.689E-05

8.336E-07

8.442E-08

3.389E-03

1.501E-07

9.913E-02

1.689E-06

8.336E-08

8.442E-09

3.389E-03

제품 1㎏ 당

제품 1㎏ 당

제품 1㎏ 당

제품 1㎏ 당

제품 1㎏ 당

제품 1㎏ 당

32 33

Cold Chamber Al 다이캐스팅 공정 Hot Chamber Mg 다이캐스팅 공정

Hydraulic clamp

Die

GooseneckPiston

Shot cylinder

Intake port

Molten metal

Die

Hydraulic clamp

Pistion

Shot sleeve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 경제적 효과

● 절삭유제 배제 및 오일미스트 비용, 개발공구 사용에 따른 절감비용 : 3,700천원

● 절삭유필터링 장치배제로 인한 동력비용 절감 : 760천원

● 유제폐기처리비용 및 유제교환 인건비 절감 : 1,700천원

● 가공시간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

▶ 대상기업 A : 9.3% 향상

▶ 대상기업 B : 48.0% 향상 (총 미세홈 가공수 대비)

환경친화적인 기계가공 공정기술 보급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부산대학교(김정석)

248,000천원

없음

2001년 8월 ~ 2002년 7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환경오염의 원인 제거

▶ 인체에 유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절삭유제를 환경에 무해한 대체 냉각·윤활방

식을 사용하여 가공

● 압축냉각공기 및 극소량의 오일미스트 사용

▶ 공구마멸, 표면조도, 표면형상 등의 가공성 향상과 절삭유제 관련 비용의 배제 및 가공

시간 단축

● 압축냉각공기 시스템의 개선 및 제작

▶ 고압·초저온의 환경친화적 가공환경인 압축냉각공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온의 절

삭열을 냉각시켜 공구수명 및 제품품질 향상

● 환경친화적 가공기술에 적합한 공구형상 및 소재개발

▶ 윤활성 물질이나 저마찰계수 물질의 이용과 형상개선을 통한 공구사용으로 절삭온도

감소 및 공작물과의 마찰 감소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수배출량(절삭유관련)

폐절삭유

구 분

8 톤/년

4.2 ㎘/년

0 톤/년

0 ㎘/년

8 톤/년 저감

4.2 ㎘/년 저감

34 35

압축냉각공기시스템 및 오일미스트를 장착한 고속가

공기 내부

블레이드 날부의 바깥(Outvain)형상

- 표면조도 및 제품의 치수가 양호함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수분산 에멀젼형 기능성 코팅재료 제조기술

보급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화학연구원 (이수복)

300,080천원

없음

2001년 8월 ~ 2002년 7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환경개선 효과

■ 경제적 효과

● 매출증대효과: 30억/년

● 수입대체 효과: 20억/년

● 생산성 향상 효과: 20억원/년

● 국내 특허 2, 국외 특허 1 출원

개발효과

● 수분산 에멀젼형 기능성 코팅재료의 제조기술을 기술력이 부족한 관련 중소기업에 보급

▶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 수분산 기능성 코팅재료를 개발/판매하도록 함과 동

시에 VOC에 의한 환경오염을 절감

● 니카코리아(구 한국정밀화학)와 폴리테크에 각각 유기용제와 미반응 단량체를 전혀 함유

하지 않는 수분산 에멀젼형 섬유용 발수발유성 코팅재료와 종이용 강도보강 함침재료

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보급

주요 개발내용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VOC(아세톤)

VOC(MMA)

구 분

600 톤/yr 저감

90 톤/yr 저감

600 톤/년

90 톤/년

0 톤/년

0 톤/년

36 37

니카코리아(주)의 무용제 발수발유제 제품

폴리테크(주)의 무용제 종이 코

팅 가공제 제품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정밀화학 에스테르화 공정에서 부생하는 저농도 초산 폐기물의 발생량을 저감하는 청정

기술 개발

● 막분리 공정 기술을 이용한 저농도 초산의 농축 하이브리드 공정 시연

▶ 투과증발 공정의 성능 유지를 위한 하이브리드 공정 기술요소 연구

▶ 발생원별로 다른 저농도 초산에 적합한 초산농축 공정의 구성

▶ 저농도 초산 농축 기술의 파일럿 규모 시연

● 저농도 초산에서 농축된 고농도 초산의 실제 반응성 검증

▶ 정밀화학 에스테르 제품의 제조 반응성 연구

● 실규모 공정의 설치에 대한 기본 타당성 검토 자료 도출

주요 개발내용

■ 환경개선 효과

■ 경제적 효과

● 저농도 초산의 농축 재활용에 의하여 약 18억원/년 생산원가 절감

개발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저농도초산 폐기물

구 분

700 톤/년 저감700 톤/년 0 톤/년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화학연구원 (김영철)

260,000천원

없음

2001년 8월 ~ 2002년 7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고압 막분리 및 막증류 기술을 이용한 초산에

스테르화 반응 공정의 저농도 농축 기술 보급

38 39

저농도 초산의 농축 막분리 기술 시연을 위한

파일럿 플랜트(Ⅱ)

저농도 초산의 농축 막분리 기술

시연을 위한 파일럿 플랜트(Ⅰ)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의 체계적인 기술지도 및 이전

▶ 선진 외국 제품과 비교하였을 때, 현저히 낮은 국내 제품의 물성 개선

▶ 유성계 폴리우레탄에 비해 떨어지는 제반 물성의 개선

▶ 생산시 재현성(생산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 극복

● 대상기업간 공통애로기술 이전

▶ 정밀화학 에스테르 제품의 제조 반응성 연구

▶ 시생산 플랜트 설계 및 균일 분산 기술

▶ 대상기업별 애로기술을 용도, 제조프로세스 및 도입되는 물질 등을 감안하여 기술이전

● 대상기업별 애로기술 이전

▶ WPUA형 UV 경화 도료제조 기술 [(주)헵스켐]

▶ WPU의 인공피혁/표면처리제 적용 기술 [(주)대성하이테크]

▶ WPU의 도료 및 바다재용 적용 기술 [(주)수산고분자]

▶ WPU의 섬유처리제 적용 기술 [(주)안진기술]

▶ WPU/acryl hybrid의 자동차용 도료 기술 [(주)대한비커미칼]

▶ WPU의 목공용/신발용 접착제 적용 기술 [(주)경오화학]

▶ 자성체 매트릭스용 WPU의 제조 물성 기술 [(주)화인케믹스]

주요 개발내용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양대학교(노시태)

270,000천원

없음

2001년 8월 ~ 2002년 7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제조기술 보급사업

■ 경제적 효과

수입대체 비 고

(주)대성하이테크

(주)안진기술

(주)헵스켐

(주)대한비커미칼

(주)경오화학

(주)수산고분자

(주)화인케믹스

대상기업명

생산설비검토

Pilot 설비설치

공장설치

공장설치검토

Pilot 설비설치

생산설비보강

Pilot 설비설치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NMP

Toluene

MEK

폐수

구 분

59 톤/년

212 톤/년

82 톤/년

28 톤/년

34 톤/년

106 톤/년

34 톤/년

16 톤/년

25 톤/년 저감

106 톤/년 저감

48 톤/년 저감

12 톤/년 저감

원가절감 매출증가

5,000

-

-

30,000

합 계

-

-

5,000

6,500

10,000

2,000

10,000

10,000

29,000

5,000

10,000

5,000

15,000

10,000

34,000

36,500

15,000

10,000

7,000

(단위: 만원/년)

40 41

수분산성 Pilot Plant 의 자동화된 전체 반응기,

분산기 공정도

수분산성 Pilot Plant 의 자동화된 전체 반응기,

분 산 기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금속압출가공 process의 수율향상과 환경

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진단지도 사업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조형호)

268,000천원

성균관대학교

2001년 8월 ~ 2002년 7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압출가공제 및 process의 환경성 및 생산성 평가를 위한 database 구축

▶ 압축재에서의 불량 scrap 종류의 분석 및 배출양의 측정

▶ 압출가공 process의 MLCA에 의한 환경성·생산성 평가

▶ 생산시 재현성(생산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 극복

● AI 압출 process에의 MLCA 적용

▶ MLCA 프로그램의 압출가공 process에서의 활용 및 적용성 검토

▶ 환경 부하요소 data의 적확성 비교 검토 처리 공정에 대한 환경성 평가

▶ MLCA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Al 압출가공 process 개선안 도출

● 환경 친친화적 압출가공 process의 개선 및 대체 방안 확립

▶ MLCA 기법의 적용을 통한 구체적 문제점 도출 및 Database화

▶ 문제점 개선을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전문가와 전반적 개선방안 수립

▶ 적 압출조건 및 압출방식의 확립에 따른 환경부하 저감효과방안 제시

주요 개발내용

Discard scrap 발생량 과다에 의한

수율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1200 톤 압출기를 1800 톤 용량의

압출기로 교체

■ 경제적 효과

구 분 개발 후 비 고

1800ton 압출기

개선내용

Scrap 발생에

의한 손실37% 저감

개발 전

72,600천원

자동 적재장치

및 felt의 교체

Log Shear

연료비 48.6% 저감73,939천원

Scrap 발생에

의한 손실87% 저감102,300천원

불량에 의한 손실 56% 저감12,300천원

인건비24,000천원×3인

=72,000천원

45,600천원

35,983천원

13,299천원

5,400천원

24,000천원×1인

=24,000천원66% 저감

단빌렛을 사용하던 기존의 공정에서는

Discard scrap 발생량 과다에 의한

수율의 이용을 위한 Log hot shear 의

설치 및 운용

Graphite 재질의 roller 의 운용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의 발생을 제거하고 제품

표면의 결함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run-out table의 roller를 felt로 교체

■ 환경개선 효과

구 분 개발 후 비 고

1800ton 압출기

개선내용

Discard 발생

Discard 발생

CO2 배출량

불량품 발생

graphite

152 톤/년

42 톤/년

201 톤/년

18톤/년

-

37% 저감

87% 저감

43.7% 저감

56% 저감

100% 저감

개발 전

242 톤/년

341 톤/년

357 톤/년

411 톤/년

Roller 분진발생자동 적재장치 및

felt의 교체

Log Shear

42 43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도금분야 청정화 진단지도

■ 경제적 효과

금액

(천원)항 목

개선 전

36,000

12,000

18,500

18,500

250

8,500

0.95

0.95

개선 후

29,000

9,000

14,000

14,000

단 위

ℓ/년

ℓ/년

㎥/년

톤/년

단 위

원/ℓ

원/ℓ

천원/㎥

원/톤

수 량 단 가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중소기업진흥공단(손희식)

88,840천원

(주)코리아후렉스

2001년 8월 ~ 2002년 7월

참여기업

개발기간

엣칭액

동도금액

용수

폐수처리

합 계

1,750

25,500

3,325

17,500

49,075

주요 개발내용

● 제조공정 진단

▶ FPCB 도금에서의 각 생산설비 및 기술 수준 분석과 주요 단위공정 분석 및 목록을

작성하여 공정흐름도 작성

● 물질수지 확립

▶ 원자재 종류 및 총량을 분석하여 단위공정별 투입야굼 및 목록 작성과 공정별 용수

사용량을 측정

▶ 폐기물 및 부산물 발생량을 조사하고, 공정별 폐수의 종류 및 발생량을 조사

● 청정생산 실행 및 필요기술 도출

▶ 현상, 부식, 박리, 수세공정의 폐수저감 계획을 실행하여 폐기물 저감 기술 지도 및

개선기술 도출 및 대안 제시

● 진단지도 평가기준 및 매뉴얼 작성

▶ 최종적으로 개선조치 후 그 결과를 평가 지원하여 지속적인 방향제시 및 매뉴얼을

작성항 폐수저감과 수세공정 확립체제를 구축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도금폐액

엣칭폐액

구 분

79.5kg/day

121.3ℓ/day

65.8kg/day

97.1ℓ/day

13.7kg/day 저감

24.2ℓ/day 저감

■ 환경개선 효과

개발효과

44 45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생물산업에서 유용물질 분리, 정제 및 가공

공정의 청정생산화를 위한 진단지도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김경수)

185,000 천원

없음

2001년 8월 ~ 2002년 7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환경개선 효과

● 생물소재 제품 생산 전 공정의 기초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단위 공정별 물질

수지를 수립하여 주요 환경오염원을 규명

● 공정진단 후 환경성과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여 청정생산공정 구축을 위한

대안을 제시

● 청정생산공정을 이행토록 하여 지속적으로 중소기업에서의 청정생산체제 구축을 확립·

발전가능하도록 지도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수

구 분

1,767 톤/년 저감1,986 톤/년 219 톤/년

■ (주)케이비피

■ 경제적 효과

● 매출액 287백만원 증대, 수입대체 246백만원

● 폴리만뉴로닉산생산공정에서의 분리막공정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청정기술학회지,

Vol.9 No.3, 2003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수

COD

구 분

36 톤/년 저감

1.58 톤/년 저감

132 톤/년

3.88 톤/년

96 톤/년

2.3 톤/년

■ (주)더멋진 바이오텍

46 47

천연다당 생산 공정 요약발효생산 후 다당의 회수공정에 사용되는 연속

원심 분리기

유기용매 회수용 증류탑 시스템현장 도입 N/F system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포장 및 PVC 벽지 생산공정의 진단지도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대한상공회의소(엄기웅)

283,000천원

없음

2001년 8월 ~ 2002년 7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포장 생산공정의 청정생산 진단지도

▶ 음료관 제조 생산 공정별 input, output 물질 수지 작성

▶ 단위공정별 환경적인 측면 파악, 환경영향정도 계수화

▶ 알루미늄캔 제조 공정에 대한 전과정평가(LCA)

▶ 기술적 개선과 운영관리의 합리적 방법 도출 / 진단지도 성과평가

● PVC 벽지 생산공정의 청정생산 진단지도

▶ 단위공정별 물질수지 작성

▶ 겔링/발포 공정의 오븐 진단 및 단위 공정별 특성 파악

▶ SOL 제조 및 사용공정 상세분석

▶ 개선안 도출 및 평가, 개선안 우선순위 결정 / 진단지도 성과평가

주요 개발내용

48 49

■ 경제적 효과

● 포장 생산공정의 청정생산 진단지도

▶ 경제적 효과 : 연간 186,802천원 절감 (원부재료비 95,069천원, 오염물처리비 91,733천원)

● PVC 벽지 생산공정의 청정생산 진단지도

▶ 경제적 효과 : 연간 458,829천원 절감

정수장치 설치(알루미늄 및 스틸 불량캔 절감 효과)

인쇄잉크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LOT

QUF 이색방지

노후 포장기 교체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수

COD

SS

n-Hexane

폐유

구 분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임

0.094 ㎥/천캔

10.4 ㎎/ℓ

2.3 ㎎/ℓ

0.7 ㎎/ℓ

0.895 ㎏/천캔

0.078 ㎥/천캔

6.4 ㎎/ℓ

1.9 ㎎/ℓ

1.3 ㎎/ℓ

1.5189 ㎏/천캔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현장 물질수지 확립

● 공정 전반에 걸친 개선안 도출 및 검토

● ASPEN PLUS를 이용한 ECH 생산공정 모사 팩키지 개발

▶ 공정 모사 팩키지를 이용한 개선안에 대한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검토

● DCH 반응실험

▶ PVC 재활용수 사용이 미치는 영향 검토

▶ ALC : CL2 비율이 반응에 미치는 영향 검토

● ECH 반응실험

▶ 반응 Sludge 재사용이 반응에 미치는 영향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ECH 및 ECH 사용 화학제품 제조공정의

발생오염물 저감을 위한 진단지도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수

고형슬러지

3,144 m3/day 2,985 m3/day 159 m3/day 저감

7,770 MT/년 10,170 MT/년매립, 생석회 순도감소에

의한 사용량 증가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과학기술원 (홍원희)

266,000 천원

없음

2001년 8월 ~ 2002년 7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50 51

Hypochlorination 반응 실험

장치 개략도

ECH 생산 공정 Block Diagram

염소 HCL 염소 수산화칼슘

프로필렌

폐유기물 공업용수

ECH 제품

폐유기물

폐수ECH 반응DCH 반응ALC 정제ALC 반응

ECH 정제

CI2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정밀화학(도료수지)산업의 청정생산공정

도입을 위한 진단지도

사업개요

● 냉각기 1기 추가설치로 냉각 공정 효율 개선과 생산량 증대

▶ 사출성형기 금형의 냉각에 사용되는 냉각기(chiller)의 냉각 용량을 계산한 결과, 하절

기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음으로 판단되어 냉각기 1대를 추가 설치하여 냉각 공정의 효

율개선과 생산량 증대를 가져옴.

● VOC 처리를 통한 작업장 내 실내공기 정화

▶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VOC의 처리를 위하여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설치

하여 실내 VOC 농도를 120 ppm에서 10 ppm으로 약 90% 감소시킴

● 폐작동유의 재활용 공정 개발

▶ 사출성형기에 사용되는 작동유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화와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일어나므로 폐작동유의 재활용이 가능한 세라믹 막을 이용하 여과시스템을 개발함.

주요 개발내용

■ 경제적 효과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톨루엔

폐작동유

폐합성수지

120 ppm 10 ppm 110 ppm 저감

8 톤/년 4 톤/년 4 톤/년 저감

776 kg/년 73 kg/년 703 kg/년 저감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기물 처리비

작동유 구입비

매출액

구 분

5,000 천원/년21,000 천원/년

4,600 천원/년9,200 천원/년

16,000 천원/년 저감

4,600 천원/년 저감

830,000 천원/년600,000 천원/년 230,000천원/년 증가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연세대학교(이태희)

210,000천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01년 8월 ~ 2002년 7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52 53

폐작동유 여과 장치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경제적 효과

폐유리를 재활용한 야광반사 경계블록 개발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인트켐(안상욱)

200,000천원

산업기술시험원

2001년 10월 1일 ~ 2002년 9월 30일

위탁기관

개발기간

● 매출증대 : 50백만원

● 폐유리 6,500톤/년 재활용

● “야광반사경계블록”등 2건 특허출원

● 야광반사 경계블럭 제조용 폐유리 가공기술 개발

▶ 최적 특성 및 성능 구현을 위한 조건 확립

● 폐유리를 이용한 야광반사 경계블럭 제조기술 개발

▶ 조건별 폐유리에 의한 강도, 흡수율, 반사성능 구현

● 공정별 최적조건 확립

▶ 폐유리 분쇄, 분급, 선별, 재료배합, 성형, 양생, 연마, 성능평가 등

● 폐유리 및 개발품에 대한 특성 및 성능평가 기술 개발

▶ 물리적, 화학적, 광학적 특성 및 성능

● 양산화를 위한 개발기술의 기존 설비 적용 연구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유리 사용량

잔골재 사용량

굵은골재 사용량

-

4,500 톤/년

8,000 톤/년

6,500 톤/년

2,000 톤/년

3,100 톤/년

폐유리 재활용

2,500 톤/년 저감

4,900 톤/년 저감

54 55

야광반사 경계블록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후가공 최소화 정밀 성형 기술 보급

● 원소재 비용 절감 : 508,789 천원/년 ( 178,625kg/년 )

● 생산비(후가공비) 절감 : 98,845천원/년

● 불량률 저감에 의한 비용 절감 : 1,177천원/년 (불량률 1,000PPM→100PPM)

● 인건비(관리비, 제품교정 공임 등) 절감 : 10,108 천원/년

■ 경제적 효과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에너지

-

-

-

109,733g/년 저감

242,059g/년 저감

1,613,730Mcal/년 저감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이종길)

290,000천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01년 11월 ~ 2002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폐스크랩 최소화 기술

● 정밀 절단 금형 설계 기술

● 금형 장수명화 기술

● 금형 재생 기술

■ 후가공 최소화 기술

● 정밀 금형 지그 설계 기술

● 가변형 가이드 기술

● 정밀 나이프 금형 기술

● 소재 형상 개선 기술

● 정밀 성형 금형 기술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절삭폐유

슬래그,슬러지 등

먼지

1,608 리터/년

-

-

804 리터/년

소재절감 323톤에

따른 환경효과

804 리터/년 저감

193 톤/년 저감

87141g/년 저감

56 57

사이드 나이프 웨지 개선에 의한 스크랩 감소 제품의 휨 방지와 소재 절감을 위한 가변형

가이드 개발

Drag Link Socket 정밀 성형

(좌: 개발후 우:개발전)

이종재료 금형의 수명 개선을 위한 가우징 영역

설정 (CAE 이용)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웨이퍼 Handling용 공압 무급유 Rodless

Cylinder 기술개발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기계연구원(김동수)

230,000천원

없음

2001년 11월 ~ 2002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무급유 Seal System 설계 및 제조기술

● 저가격형 다중오리피스 Cushion Mechanism 설계 기술

● Sealing Band, Piston & Carrier 장치 설계, 제도 기술

● Barrel 인발 및 Hard Coating 기술

● 시험평가 기술

● 무급유, 고속 공기압 실린더 설계 및 생산기술 국내 정착화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유

폐수

2 톤/년

2 톤/년

0.2 톤/년

0.2 톤/년

1.8 톤/년 저감

1.8 톤/년 저감

■ 경제적 효과

● 참여기업으로 이전확산 사업 수행결과 30%의 원가 절감 효과

● Roadless 실린더 등 특허출원 3건(출원번호:09617, 09616, 0071010)

● 국제 학술지 논문 게재 1건 (KSPE Int. Journal)

● 국내·외 학술대회 논문발표 4건 (JFPS, KSME 등)화인인터내셔날의 Hear Slug Attach System

(무급유 Rodless Cylinder 정착)

58 59

Roadless Cylinder 시제품 사진

무급유 Seal System 개념도

Roadless Cylinder 의 구성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아연도금라인의 청정생산을 위한 공정진단

및 최적화

● 원부재료비 및 도금폐수 절감에 따른 제조원가절감

● 도금폐수처리에 따른 절감액 : 약40,000(천원/년)

■ 경제적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홍기)

450,000천원

MIC Group, 호서대학교

2001년 11월 ~ 2002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대상사업장 단위공정별 환경오염물질의 발생현황 및 환경성 개선

▶ 환경영향평가 및 작업안전성 진단을 통한 작업환경 및 안전성 개선

▶ ISO 14000 인증작업을 통한 환경경영시스템(EMS) 구축

● 공정개선 및 생산표준화 작업을 통한 제조원간 절감

▶ 단위사업장의 도금공정 진단지도를 통한 환경 및 원가개선 방안 도출 및 적용

▶ 3가 로메이트처리 공정 및 수세수 재활용시스템적용

● 아연계 도금라인공정의 도금욕 분석ㆍ관리 및 생산기술 확보

▶ 대상기업 아연도금라인의 공정진단 및 분석수행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수

COD

SS

Cr+6

3,100 톤/년

3,470mg/ℓ

5,063mg/ℓ

13,650ℓ/년

284 톤/년

1,400mg/ℓ

2,025mg/ℓ

0

2,816 톤/년 저감

2,070㎎ /ℓ 저감

3,038㎎ /ℓ 저감

13,650ℓ/년 저감

60 61

Ion Exchange System Ion Exchange System

Cr3+ Chromate Process Ultrafiltration Process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생물제품의 분리, 추출 및 정제공정의 청정

생산기술 진단지도 사업

■ (주)MK

■ 경제적 효과

■ 환경개선 효과

■ (주)MK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수

슬러지

구 분

1,110 톤 /년

487 톤 /년

1,290 톤 /년

511 톤 /년

180 톤 /년 저감

24 톤 /년 저감

수량(톤/년)단가(원/kg) 금액(천원)

원부

재료비

구 분

6.1

4.5

10.5

4.1

2,005

41

응집제

동력비

매출증가 CPC 판매량

이온교환수지

IPA

황산

스팀

개발 전 개발 후

7.5

5.8

12

5

2,030

35

3,000

6,000

4,500

3,500

380

5,000

4,200

7,800

6,750

3,150

9,500

30,000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성균관대학교 (김남기)

250,000천원

(주) MK, (주)바이오랜드

2001년 11월 ~ 2002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대상기업의 공정분석과 진단

▶ 각 공정단계별 물질수지 분석을 통한 원부재료, 용수사용량 등의 타당성 검토

▶ 사용 원부재료의 농도, pH 등의 최적조건 평가

▶ 각 공정단계별 발생 폐수량 조사

▶ 수집된 현장자료를 바탕으로 품질불량의 원인 규명 및 생산성 개선안 제시

● 문제점 도출 및 개선대상 선정

▶ 진단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분석하여 관리 개선항목 선정

▶ 경제성, 생산성 및 환경파급효과, 투자회수기간 등을 고려하여 진행계획 작성

▶ 개선 우선 순위를 선정 진행

● 공정개선 지도 및 지원

▶ 해당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원 들의 현장지도와 실험을 통하여 공정 단계별 체계,

물질수지, 에너지수지,공정조건 등을 체계적으로 지도 및 지원

▶ 현장작업자들과의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유지하여 이론과 현장경험 간의 상호 보완적

체계 구축

● 개선효과 평가

▶ 적용된 개선사항에 대하여 현장의 경제적, 환경적 효과 평가

▶ 진단지도를 통하여 대상기업의 청정생산 체제 확립

▶ 대상기업의 기술수준을 향상시키고 향후 독창적이고 독자적인 청정생산체제를 구축

할 수 있는 기반 마련.

주요 개발내용■ (주)바이오랜드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수

슬러지

구 분

650 톤 /년

560 톤 /년

710 톤 /년

605 톤 /년

60 톤 /년 저감

45 톤 /년 저감

수량(톤/년)단가(원/kg) 금액(천원)

원부

재료비

구 분

363

6.5

2.8

4,399

40.3

보리

동력비

매출증가 glucan 판매량

염산

수산화나트륨

스팀

개발 전 개발 후

376

7.3

3.2

4,530

34.5

600

3,000

3,500

285

35,000

7,800

2,400

1,400

37,335

203,000

■ (주)바이오랜드

62 63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청정생산방법론에 의한 염료생산의 합성 및

분리 공정의 청정화를 위한 진단지도

● 공정개선에 따른 향후 3년간 수입대체효과 0.6억원, 수출증대효과 0.9억원, 매출증대

효과 0.6억원, 생산성향상효과 3억원

● 특허출원 1건, 해외학술지(SCI) 논문게재 1건, 국내학술지 논문게재 2건

● 학술회의 논문발표 2건

■ 경제적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상용)

240,000천원

없음

2001년 11월 1일 ~ 2002년 10월 31일

위탁기관

개발기간

● 염료 산업관련 기초 데이터 조사

▶ 사용원료 등의 조사를 통한 오염원인 파악 및 방향성 설정

▶ 기업의 현장 애로사항 정리 및 공정평가를 위한 환경항목 설정

● 원료, 에너지사용, 배출물과 결합된 복합적인 환경영향평가

● 현장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활용한 경제성 평가

● 단위공정별 오염물질 방출 확인 및 청정생산 진단지도에 근거를 둔 청정생산기술 적용

기술의 대안 제시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수

COD

Color

Salt

11.3 kg 폐수

/kg(제품)

7.9 kg 폐수

/kg(제품) 30.0% 저감

2,405 mg/L 5 mg/L 99.8% 저감

142 unit 3 unit 97.9% 저감

1,264 mg/L 0.142 mg/L 99.99% 저감

64 65

염료 제품질 향상을 위한 분리막 장치

염료폐수(A), NF 막 투과수(B), NF+RO 막 투과수(C)

및 3차증류수 색도비교

감압증류-수세의 대체공정에 의해 합성된 염료의 순

도를 나타내는 UV spectra

A : Dye Sample(Normal Process)B : Dye Sample(Option)B1 : After 1st Wash of BB2 : After 2nd Wash of B

1.0

0.8

0.6

0.4

0.2

0.0

200 300 400 500 600

Wavelength(nm)

Abso

rban

ce

염료합성공정의 LCA 평가결과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Pilot Plant test

사업개요

다공성 무기화합물 미생물 담체 기술개발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영성산업(주)(김기진)

357,873천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충북대학교

2000년 8월 ~ 2002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생물친화성이 우수한 다공성 무기화합물 미생물 담체의 개발

● 담체의 최적조성 제조공정 확립및 물성평가 완료

● Pilot Plant Test 완료

● 유지관리의 최적화 확립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고구 분

COD

BOD

9.02 톤/년

8.43 톤/년

0.73 톤/년

0.22 톤/년

8.29 톤/년 저감

8.21 톤/년저감

● 매출증가 : 10억/년

● 지적재산권

▶ 특허출원 제01-38975호, 폐기물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용 다공성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특허출원 제01-38976호, 하·폐수 처리용 다공성광물 담체 및 그 제조방법

▶ 의장등록 제332283호, 하·폐수 처리용 담체 케이스

■ 경제적 효과

66 67

담체 생산공정

담체 충진공정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디지털 날염 시스템용 섬유 소재 개발

주요 개발내용

■ 환경개선 효과

개발효과

1,500

수입대체효과

(백만원/년)

6,000 1,200 600

■ 경제적 효과

수출증대효과

(백만원/년)

매출증대효과

(백만원/년)

생산성 향상효과

(백만원/년)기 타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티앤지코리아(김효석)

351,989천원

부천대학

2000년 8월 ~ 2002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수

가스배출량

15 톤/년

72만 S㎥/년

4 톤/년

36만 S㎥/년

11 톤/년 저감

36만 S㎥/년 저감

● 지적재산권

▶ 특허: 실사출력용 직물시트의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지 외 6건● 디지털 날염 시스템 전용 프린팅 소재 개발

▶ 면(100%), 폴리에스테르(100%), 나일론(100%), 실크(100%) 프린팅 소재

● 프린팅 인쇄시 발색성이 우수한 전처리 코팅 약재 개발

▶ 최적 코팅 공정(두께, 전처리 온도)개발

▶ 견뢰도와 발색성이 우수한 가공 공정 개발

▶ 번짐성이 우수한 전처리 코팅 약재 개발

▶ 백색도가 높은 약재 개발

● 양산 생산 시스템 공정 개발

▶ 연속 처리 공정 개발

68 69

실크(처리 후 )실크(처리 전 )

폴리에스테르(처리 후 )폴리에스테르(처리 전 )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폐기 초경합금을 활용한 Hardfacing용

Cored Welding Wire 개발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김정한)

346,736천원

없음

2000년 8월 ~ 2002년 9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폐기 초경합금 분말 제조기술 개발

▶ 폐기 초경합금의 분쇄 및 분리기술 개발

● WC계 Cored Wire 제조기술 개발

▶ WC 육성용접 합금조성 설계기술 확립

● WC계 Cored Wire 용접공정기술 개발

▶ WC계 Cored Wire 시제품 제조

● WC계 Cored Wire의 부품 적용기술 개발

▶ 내마모 부품 Field Test 및 결과 분석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초경합금 2 톤/년 0 톤/년 2 톤/년 저감

■ 경제적 효과

2002년

매출액증대

원가절감

수입대체

2,500백만원/년

항 목 2003년

490백만원/년

111천 달러

1,700백만원

390백만원

660천달러

70 71

제작된 햄머 분쇄기와 롤러 분쇄기

40HM 제품 미세조직 및 내마모성 36HM 6FeMnC 미세조직 및 내마모성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Dry Ice를 이용한 금형 세정 장치 및 자동화

세정장치 기술개발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빅터코리아 인바이런먼트(최진흥)

343,520천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00년 8월 ~ 2002년 9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A, B, C 타입 세정기술 및 세정장치 개발(A, B, C 타입)

● 산업체별 Nozzle 개발(초저압용, 저압용, 고압용 Nozzle)

● Gun 개발(자동화 및 반자동화 Gun 개발)

● 자동화 및 반자동화 세정장치 개발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수 21 톤/년 0 톤/년 21 톤/년 저감

■ 경제적 효과

1,800

수입대체효과

(백만원/년)

7,000 8,800

수출증대효과

(백만원/년)

매출증대효과

(백만원/년)

800

생산성 향상효과

(백만원/년)

● 지적재산권

▶ 드라이아이스 세척기(특허)등 5건

▶ 2003 대한민국 기술대상 산업자원부장관 우수상 수상(드라이아이스 세척기)

72 73

반자동화 세정장치완전자동화 세정장치

“B” Type 세척기“A” Type 세척기 “C” Type 세척기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정밀화학 제조공정에서 휘발성 유기물의

제거 및 회수를 위한 분리막 및 냉각응축

청정공정 개발

사업개요

●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제거 및 회수용 분리막/냉각응축 복합공정 개발

▶ 대상 VOC별 70-90% 제거

▶ 재순환 공정에 의한 처리효율 증대(90%이상)

▶ Bench scale 시스템 설계 및 제작

● 고효율 복합막 제조

▶ 복합막 제조 공정 개발 : PDMS coating, Plasma polymerization

▶ 분리막 모듈 설계 제작

▶ 복합막 분릭 제거율(70-90%) 및 회수율(90%) 향상

● 현장 모사 실험

▶ VOC(styrene) 제거율 및 회수율 95% 이상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VOC 580,000톤/년 58,000톤/년 약 90% 이상 저감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상용)

380,983 천원

경희대학교

2000년 8월 ~ 2002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74 75

■ 경제적 효과

● 투과증발 공정 및 유기 가스 제거에 대한 시스템 설계 기술 개발로 국내 분리막 기술 수

준 상승 효과 및 수입 비용 1/2 감소

● 시스템과 분리막 기술 동시 소유로 인해 동남아 및 개발도상국등에 고부가가치 처리

시스템 수출 가능성 유망

Plasma coating 장치평판형 모듈 제작

Bench scale 분리막/ 냉각응축 복합 시스템 제작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자동차 열교환기용 저공해/고성능 접합소재

상용화 기술개발

사업개요

488

국내판매효과

(백만원/년)

210 157

2003년도 기준

■ 경제적 효과

수출효과

(백만원/년)

매출증가효과

(백만원/년)

생산성 향상효과

(백만원/년)기 타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선광엠파(구,선광금속)

322,294천원

한국기계연구원

2000년 8월 ~ 2002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자동차 열교환기용 저공해/고성능 접합소재의 양산화 기술개발

▶ Al-Si 합금분말을 이용한 접합소재의 양산화 기술개발

▶ Al-Zn 합금분말을 이용한 접합소재의 양산화 기술개발

● 환경개선 내용

▶ 유해가스 발생량 감소(Cl계 가스)

▶ 폐액(세척액) 발생량 없음(질산, 황산 등)

● 경제성 내용

▶ 작업능률 향상: 공정자동화

▶ 접합 불량률 감소: 기존 10%에서 0.5%로 감소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질산 세척액 10톤/년 0톤/년 10톤/년 저감

Cl Gas 0/년 완전 저감다량/년

● 지적재산권

▶ 접합재와 그 제조방법 개발(특허)등 4건

76 77

SKA를 이용한 토치 브레이징 모습

a: ska(용접링)

b: 각종 용접재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대두가공 부산물로부터 신규 생리활성물질

분리기술 개발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아미코젠(주) (전영중)

281,000천원

서울대학교, 경상대학교

2000년 7월 ~ 2002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대두가공 부산물인 두부순물로부터 천연혈당강하 신소재인 피니톨을 분리 회수 기술개발

● 동물실험을 통한 피니톨의 혈당강하 효과 입증

● 동물실험을 통한 피니톨의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효과 입증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수 6,000톤/년 600톤/년 BOD 부하 90% 저감

■ 경제적 효과

● 매출액 800 백만원(2004년)

● 수출액 300 백만원(2004년)

● 지적재산권

▶ 국내특허 7건 출원

▶ 해외특허 2건 출원

78 79

수출용 10kg 포장 국내외 피니톨 응용제품

피니톨 제조공정 동물실험에서의 피니톨의 혈당강하효과

두부순물

크로마토그래피

효소처리

건조

결정

제품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환경 친화적 건식

세정기술개발

사업개요

● 레이저 세정 시스템 개발

▶ 엑시머 레이저 운영성 확보 및 완전 자동화 시스템 구현

● 폴리머 제거 공정기술 개발

▶ 초 순수 및 화학약품 미사용,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공정 개발

● 표면 평탄화 공정기술 개발

▶ 단위 공정 단축에 따른 생산성 향상 효과 발생

● 저온 열처리 공정기술 개발

▶ 선택적인 공정 진행으로 공정 단축 및 생산 향상 효과 발생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0 리터/년

0 리터/년

0 리터/년

DI water

Chemical

Solvent

288,000 리터/년

36,000 리터/년

36,000 리터/년

전량 저감

전량 저감

전량 저감

비 용구 분

재료비 절감

장비 운영비 절감

오염물 처리비 절감

800 백만원/년

138 백만원/년

1,584 백만원/년

■ 경제적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한택 (김영선/김용기)

675,363천원

없음

2000년 12월 ~ 2002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웨이퍼 생산량 : 720천 매/년 (8인치 웨이퍼 기준)

80 81

처리 후처리 전

폴리머 제거 공정 결과

표면 평탄화 공정 결과

처리 후처리 전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주물용 개량 물유리 기술 보급 사업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최정길)

320,000천원

없음

2000년 12월 ~ 2001년 11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개량물유리기술의 현장적용

▶ 경화속도가 지연되는 현상 해결

▶ 주조 시 소착이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

● 업체 기술보급을 위한 기본체제를 구축

▶ 개량 물유리 양산제조장비(1톤/시간)를 제작

▶ 대형 제품을 위한 연속 믹서기 제작

● 폐주물사재생장비 사용기술지도 및 정착

▶ 물유리를 사용한 주물사의 재생활용이 가능 → 폐기물 감소

▶ 탈사성의 개선에 의한 후처리 공정 개선에 따른 생산성 향상

▶ 분진 발생의 최소화로 주물 현장의 환경 개선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 경제적 효과

원부자재비

폐주물사처리비용

인건비

절감액품 목

35 백만원

23 백만원

36 백만원

82 83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비산먼지

Benzene

Tolune

Dichlorob enzene

구 분

2.35 ㎎/S㎥

69.61ppb

262.32 ppb

31.55 ppb

0.49㎥/S㎥

12.91ppb

60.15ppb

178.64ppb 시험용 개량 물유리 제작을 위한 장치 양산용 개량 물유리 제조를 위한 전체 시스템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가공 및 열처리 공정에서의 폐기물

최소화 및 재이용 기술 개발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기계연구원(이종훈)

317,540천원

창원대학교,(주)세라그린

2000년 12월 ~ 2001년 11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고철,플래쉬 및 스케일

절삭유,작동유,열처리유,폐수

원자재

금형

구 분

6,120톤/년

198,000톤/년

180,000톤/년

25개/년

5,400 톤/년

162,000톤/년

144,000톤/년

20개/년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720톤/년 저감

36,000톤/년 저감

36,000톤/년 저감

5개/년 저감

● 불량율 감소, 공정 단축, 부자제 수명 연장 등에 따른 환경 부담 감소 효과 평가

● Gas침탄 후 방출되는 폐가스의 이용을 통한 에너지 절감 및 예열효과, 가스제조량 감소

● 단조전의 소재 미세조직 제어 기술 적용을 통한 성형 증가

● 열처리 세척수 처리 설비 개선을 통하여 폐수 감소

● 금형의 재생, 보수 공정의 최적화를 통한 금형 수명 연장

● 폐산화철 재활용 기술보급 (금속성분이 많게하는 산소분압 열처리 기술보급, 차음재용

Composite sheet 제조기술 보급)

주요 개발내용

■ 경제적 효과

● 고객불량의 원인 조사를 통한 고객 불량률 감소(연평균 1.5%→1%로 감소)

84 85

흡음재를 이용하여 102 dB의 소음상태에서 30 dB만큼 감소

소재회수율: 69%에서 73%로 향상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금속 도금 공정의 생산효율향상과 환경오염

부하 저감을 위한 진단지도사업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성호)

303,890 천원

없음

2000년12월 ~ 2002년 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환경개선 효과

■ 경제적 효과

● spray 방식의 수세 방식 개선으로 물사용량 60%이상 절감 : 2백만원/년

● 폐수 발생량 감소 및 이로인한 약품 처리비용 감소 : 30백만원/년

● 슬러지 발생량이 90% 이상 감소로 처리비용 절감 : 5백만원/년

● 특허 :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전해연마액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출원

개발효과

● 도금 및 표면처리 산업의 도금 기술 및 환경전과정 평가 관련 전문 인력 양성

● 도금 공정의 환경 항목 설정

● 도금 공정의 환경전과정 평가 및 공정 분석(PCB 동도금, 바렐도금)

● 환경 친화적 공정으로의 대체 방안 확립(PCB 동도금 공정 및 바렐도금공정)

주요 개발내용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수세 방식

건조 공정

폐수 처리

구 분

1/6로감소

환경부하감소

약품사용량

절반이하 감소

침지방식

TCE 사용

약품처리방식

spray 방식

대체물질제안

폐수 무방류 및

유가금속 회수

86 87

PCB 동도금 공정의 환경 전과정 평가(LCA) 결과

바렐형 유가금속회수장치 Spray 수세 방식의 바렐 도금 장치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대상기업의 공정분석 및 진단

▶ 표준공정 선정 및 원부재료의 평가, 용수·에너지 사용량 확인

▶ 수집 자료를 바탕으로 물질수지분석(MB), 전과정 평가(LCA)

● 문제점 도출 및 개선대상 선정

▶ 경제적, 환경적효과 및 파급효과가 큰 문제점을 우선적으로 선정

● 공정개선 지도 및 지원

▶ 각 공정별 해당 전문가의 지도

▶ 에너지, 공정, 원부재료, 관리 등 개선지도 실시

● 개선효과 평가

▶ 대상기업의 기술수준 향상 및 청정생산 체제 구축

주요 개발내용

염색가공공정에서의 오염물 배출량 감소와

원가절감을 위한 진단지도사업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A사 비 고

에너지절감

원부재료절감

용수절감

환경개선효가(LCA)

구 분

9%

5%

6%

6%

B사

9%

6%

12%

14%

B사

20%

10%

23%

31%

대기배출량 감소

오염부하량 감소

폐수발생량 감소

■ 경제적 효과

A사

절감비용(천원/년)

투자비용(천원)

투자회수기간(개월)

구 분

123,610

47,949

4.7

B사

161,646

41,900

3.1

B사

53,952

9,800

2.2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남창우)

343,230 천원

(주)글로벌인터써트인증원

2000년 12월 ~ 2001년 11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88 89

계측기 설치염료평가

폐열회수장치 설치배관 방열 방지를 위한 보은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경제성을 고려한 환경친화형 금속가공

공정의 진단 및 개선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기계연구원 (강재훈)

224,265 천원

(주) 신한정밀/제산정공/다산기공

2000년 12월 ~ 2001년 11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주요 개발내용

● 수용성 절삭유 사용상의 문제점 진단과 개선책 제시 및 현장 적용

▶ 부패 악취 발생 현상 억제와 수명향상을 위한 중산소 공급형 장치의 적용

● 과대한 절삭유 적용상의 문제점 진단과 개선책 제시 및 현장화 적용

▶ 절삭유 사용량을 억제한 극미량 절삭유 사용형 ELID 연삭가공장치의 적용

▶ 경면 고품위 연삭기법의 적용에 의한 후가공공정의 생략으로 경제성 향상

● 가공공구 수명 유지상의 문제점 진단과 개선책 제시 및 현장 적용

▶ 공구의 절삭성능 개선을 위한 최적 드레싱 기법과 모니터링 기술의 적용

■ 환경개선 효과

개발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가공유

공업용수

폐공구 스크랩

구 분

1.0 톤/년 저감

42 톤/년 저감

상대치 20저감

1.2 톤/년

50 톤/년

상대치 100(기준)

0.2 톤/년

8 톤/년

상대치 80

ELID연삭 장치를 적용한 절삭유 사용량 억제형

생산가공라인

중산소 공급장치를 적용한 절삭유수명 향

상형 생산가공라인

90 91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천연소재 개질 실험

▶ 수용성 및 수불용성 chitosan의 중금속 제거효율 평가

● 주원료 수용성 chitosan 제조

▶ 고순도 수용화 공정 개발, 분자량 분획 다단계 분리막 공정 개발, 수용성 분자량 분회

chitosan 개질 및 중금속 제거효율 평가

● 수용성 chitosan 복합 신처리제 개발

▶ 각종 chitosan blendmers 조성 및 혼합공정 개발, chitosan 유도체 합성 및 최적 반응

공정 확립

● 실공정 적용시험

▶ 도금폐수처리장 단계공정별 유독 중금속류 제거효율 평가

▶ 최적 적용공정 및 조건, 발생 슬러지 고형화 시험

주요 개발내용

도금폐수처리를 위한 신소재개발

개발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 자광 (서상봉)

408,365천원

안양대학교

1999년 3월 ~ 2002년 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330 kg/년 저감

5,832 kg/년 저감

2,268 kg/년 저감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수중 중금속농도(Cr)

폐수중 중금속농도(Cu)

폐수중 중금속농도(Zn)

구 분

1,290 kg/년

2,916 kg/년

324 kg/년

1,620 kg/년

8,748 kg/년

2,592 kg/년

92 93

분자량 분획 분리 시스템

수용성 chitosan 계 증금속 처리제 사용전후의 폐수

형상

도금폐수처리 현장

분획 분리용 막모듈

처리전 원폐수

처리후 방류수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최적 공정 설계 기술 개발

● 고수명 초내압 금형구조 및 다단 금형의 설계 제작 기술개발

● 금형 제작, 지그 및 금형 수명 향상 기술 개발

● 최적 성형 기술 개발

▶ 냉간 전후방 압출 기술 및 공정변수의 최적화

● CLAMP YOKE개발 및 STEERING YOKE의 최적화

● 제품의 성능평가 및 특성규명

주요 개발내용

고품질, 고성능 스티어링 요크생산을 위한

냉간단조 공정 기술개발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배출량/농도) 개발 후(배출량/농도) 비 고

황산화물(SOx)

폐수배출량

고철

분진

폐유

구 분

211.6 ppm

0.22 ㎥/일

110 ㎏/일

3 ㎏/일

100 ㎏/일

3.6 ppm

0.02 ㎥/일

41 ㎏/일

1 ㎏/일

20 ㎏/일

■ 경제적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대림MTI(김연구)

419,477천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999년 3월 ~ 2001년 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개발 전

인건비

매출액

운전자금

항 목

98백만원/년

-

279백만원/년

개발 후 비 고

25백만원/년

864백만원/년

20백만원/년

73백만원/년 절감

864백만원/년 증가

259백만원/년 절감

94 95

YOKE SHAFT 제품사진 용접형 제품과의 비교사진

YOKE SHAFT 제품사진 용접형 제품과의 비교사진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무절삭유 냉각가공 공정기술 개발

사업개요

● 건식 저온형 압축냉각 공기 공급 장치의 설계 및 제작

▶ 중앙공급식, 1,000리터/분의 토출량, -100℃의 건식 저온 압축 공기

● 비절삭유 냉각가공 공정기술의 정립

▶ 연삭가공 공정에 적용

▶ 성능평가 실험 및 장치의 최적 모델링화

▶ 가공조건 및 공정의 정립

● 저가형의 단위 공작기계용 전용 장치의 리모델링과 기업연계 준비

주요 개발내용

■ 환경개선 효과

개발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절삭유

공업용수

오일미스트

구 분

2,000 톤/년 저감

80,000 톤/년 저감

상대치 80저감

2,500 톤/년

100,000 톤/년

상대치 100(기준)

500 톤/년

20,000 톤/년

상대치 20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기계연구원(강재훈)

230,000천원

엘케이산업

1999년 3월 ~ 2001년 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96 97

연삭가공에 적용한 냉각

가공을 위한 전용장치

가공공정 및 조건의 설정을 위

한 모니터링 장치

건식저온형 압축냉각공기를 이용

한 가공평가 측정 실험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균일 예혼합 압축 착화 엔진 시스템 구축

▶ 이중 연료 분사식, 흡기관 분사식, 연소실 직접 분사식 예혼합 압축 착화 시스템 구축

▶ 연소 가시화 엔진 시스템, 예혼합기 공급 및 제어 시스템 구축

● 균일 예혼합 압축 착화 엔진의 연소기술 개발

▶ 분무 및 화염 가시화

▶ 부하 및 엔진 속도 등의 운전영역의 확대

▶ 배출물 특성 분석

▶ 수치 해석 결과와의 비교 분석

● 디젤 엔진의 배출물 저감 목표 실현

▶ 기존 디젤 엔진 대비 질소산화물(NOx) 및 soot를 1/3 이하로 저감

주요 개발내용

균일 예혼합 압축 착화 디젤엔진의

최적 연소 기술 개발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양대학교(이창식)

502,999천원

(주)두원정공

1999년 03월 ~ 2003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효 과

NOx, PM

구 분

기본 디젤엔진에 비해

1/3이하로 저감

98 99

예혼합기 공급 및 제어시스템균일 예혼합 압축착화 디젤엔진

엔진 및 제어 시스템 구성도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100 101

사업개요

● 첨착할성탄의 흡착특성 실험

▶ 첨착활성탄 제조 및 악취가스 흡착특성 실험

● VOC 제거 및 회수 실험

▶ VOC 제거 방법 및 회수 특성 실험

● VOC 탈착 조건 확립

▶ 탈착 조건(Vacuum, 온도, Carrier 유량 등) 정립

● Pilot Plant 제작 및 시험

▶ Pilot Plant 설계 및 설계 data 확보

▶ 실증 시험을 통한 성능 시험 data 확보

▶ 상용화 개발 준비

▶ 장치 설계 및 최적화 기술

주요 개발내용

VSA기법과 첨착활성탄을 이용한 VOC 회수

및 악취처리기술개발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VOC 대기 배출 농도

VOC 회수율

구 분

4700ppm

폐기

13 ppm 이하

90% 이상 회수

■ 경제적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카엘(이후근)

353,323천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9년 3월 ~ 2002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VOC 측면 사진

VOC 회수 장치 정면 사진

(단위:백만원/년)

수입대체 효과

2004

2005

2006

구 분

300

1,000

2,000

비 고

500

2,000

5,000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102 103

사업개요

● RFE를 이용한 고농도 무공해 수성 아크릴 점착제의 개발

▶ 점착력 및 내수성의 향상

▶ 경시변화의 최소화

▶ 저장안정성 확보

RFE를 이용한 고농도 무공해 수성아크릴

점착제의 개발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대기

구 분

25,000 천원/년 25,000 천원/년 저감0 천원/년

■ 경제적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수입대체효과

매출액

구 분

500 톤/년500 톤/년

30 억원 이상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유진폴리테크 (현상우)

386,136 천원

동국대학교

1999년 3월 ~ 2003년 11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지적재산권

▶ 특허출원 : 내수성이 뛰어나고 경사변화가 적은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

측면에서 찍은 사진정면에서 찍은 사진

-

위에서 찍은 사진대량생산을 위한 중간 단계인 2L 용량의

고압반응기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호기성 무교반 밀폐형 퇴비화 기기를 이용한

유기성 산업부산물의 퇴비화 공정 및 장치 개발

사업개요

● 무교반 컨테이너형 발효시스템 설계 및 제작

▶ 2톤/일 pilot plant 설계 및 제작

● 효율적인 퇴비화를 위한 각종 인자결정 및 전처리 조건 검토

▶ 퇴비화를 위한 인자 조건실험

▶ 전처리 조건에 따른 퇴비조건에 영향 검토

● 악취제거용 바이오필터 시스템 설계 및 제작

▶ 3톤/일 pilot plant 설계 및 제작

● 최단기간기일내 최적의 퇴비화 플랜트 구현 실험 수행

▶ 최단기일내 최적조건 구현을 위한 운영조건 수립

● 생성퇴비를 이용한 작물재배실험 수행

▶ 고품질 퇴비 구현방안

▶ 생성퇴비를 이용한 작물별 재배실험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 지환테크 (권혁영)

466,474천원

인천대학교

1999년 03월 ~ 2001년 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무교반 밀폐형 퇴비화기기 시스템은 악취를 원천적으로 제어하는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기존에 가졌던 호기성 퇴비화시설의 문제점 개선

● 무교반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투입과 배출에 대한 압력차이를 두어 모든 공간에 공기가

공급되어 유효적절한 분해조건을 갖춰, 부산물 퇴비의 질이 우수함

전면 : 퇴비 포장기

후면 : 후처리선별기(불순물제거용)

모든 공정을 마친 상태의 퇴비

시설동(98톤/일 규모의 시설)바이오필터 및 발효컨테이너

104 105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CO2 Gas를 이용한 탈회 공정 기술 개발

사업개요

● CO2 Gas를 이용한 탈회 공정 기술 개발

▶ CO2 탈회 기본 Mechanism 연구

▶ CO2 탈회 System 구축 실험

▶ 폐수중의 오탁 부하 감량화 기술

▶ 작업장내 환경 오염원 제거 기술

▶ Tanning process에서 CO2 Gas를 활용한 응용 연구

▶ 피혁 제품의 물성 및 효과 분석

● CO2 Gas를 이용한 새로운 탈회, 침산, 탄닝공정 기술의 현장 적용 실험 연구 및 기술

보급 실시

▶ CO2 Gas 탈회 공정의 Scale up 실험

▶ 피혁 공정내 CO2 Gas 탈회 Pilot plant 구축 실험

▶ 제혁 공정중의 오탁 부하 감량화 기술

▶ 공장 작업장내 암모니아 악취 제거 기술

▶ 탈회, 탄닝 공정의 CO2 Gas를 이용한 응용 연구

▶ 피혁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소재 개발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수질

구 분

2,038 mg/ℓ 저감

1,165 mg/ℓ 저감

1,238 mg/ℓ 저감

1.4 mg/ℓ 저감

349 mg/ℓ 저감

977 mg/ℓ 저감

COD

BOD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Dimethylamine

Diethylamine

2,866 mg/ℓ

2,615 mg/ℓ

1,588 mg/ℓ

6.2 mg/ℓ

3,399 mg/ℓ

14,047 mg/ℓ

828 mg/ℓ

1,450 mg/ℓ

350 mg/ℓ

4.8 mg/ℓ

3,050 mg/ℓ

13,070 mg/ℓ대기

■ 경제적 효과

항 목수 량 단 가 금액(천원)

비 고개선 후개선 전단 위개선 후개선 전 단 위

NH4Cl

(NH4)2SO

4

폐수

54

108

12,000

-

-

11,000

ton/년

ton/년

㎥/년

천원/kg

천원/kg

천원/ton

21,600

21,600

18,000

-

-

16,500

0.4

0.2

0.5

-

-

저감

■ 환경개선 효과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신발·피혁연구소( 김원주)

238,607천원

한국피혁공업협동조합, 조광피혁(주)

1999년 3월 ~ 2001년 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CO2 Gas tank Drum 내부의 CO

2 분사 장치

106 107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전통음료 생산시에 발생하는 고농도 당폐액을

이용한 젤란과 풀루란의 생산기술개발

사업개요

● 식품부산물 및 폐기물의 수거 및 물리, 화학적 분석

▶ 밥당화 폐액, 엿기름 당화폐액, 사과박, 간장박

● 고농도 당을 이용하는 변이균주 획득

▶ 3%~10%의 당농도에서 젤란 및 풀루란 생산균주 획득

● 미생물에 의한 젤란 또는 풀루란의 생산조건 최적화

▶ 최적 온도, 교반속도, 배양시간, 생산성 최적화

● 젤란, 풀루란의 분리 및 정제조건 최적화

▶ 한외여과, 분무건조 조건 검토

주요 개발내용

비 고개선 전(원/kg)

■ 경제적 효과

10,139

9,000

30,000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밥당화폐액

엿기름 당화폐액

유기용매 사용량

구 분

200 톤/년

100 톤/년

360 톤/년

120 톤/년 저감

50 톤/년 저감

270 톤/년 저감

80 톤/년

50 톤/년

90 톤/년

배지 비용 절감

부산물 처리비용 절감

용매 구입비용 절감

개선 전(원/kg)

3,139

3,600

7,500

kg당 7,000원 절감

kg당 5,400원 절감

kg당 22,500원 절감

● 풀루란 1kg당 생산비 29,500원 절감

● 부산물 1kg 처리비용 5,400원 절감

● 연간 80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 예상

※ 30톤 발효조를 월 1회씩 배양할 경우의 예상 수치임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케이비피 (이동수)

491,922천원

없음

1999년 3월 ~ 2001년 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항 목

개발된 풀루란 생산균주 풀루란

전배양 발효기(100L) 본배양 발효기(1.2KL)

108 109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폐유유화처리용 생물계면활성물질의

산업적 생산기술개발

주요 개발내용

● 생물계면활성제 생산 미생물 선별 및 동정

▶ 우수 균주를 선별 후 형태,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동정

● 생물계면활성제의 구조분석 및 물리화학적 특성 규명

▶ 당지질계 생물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 결정

▶ 폐유 및 원유에 대한 유화능과 pH, 염류, 온도에 대한 유화안정성 및 기타 표면활성과

HLB 등의 특성 규명

● 생물계면활성제 생산 system 개발

▶ Batch, foam stat 및 fed-bacth 배양수행

▶ 생산성 검토를 통해 생산 system 확립

● 생물계면활성제의 대량생산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 실험

▶ 대량 배양을 통해 유화처리제로 사용가능한 분리공정을 확립

▶ 현장폐수에 적용하여 폐유유화처리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확인

Emulsification of waste oil of

N company by MEL-SY16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윤병대)

197,546 천원

없음

1999년 3월 ~ 2001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비 고개선 전

■ 경제적 효과

폐유 유화처리제

생산을 통한 매출액

개선 후

3 억원 / 년 100 톤/년 생산

구 분

폐수

COD

BOD

Nitrate

Phosphate

200 톤/년

100 ppm

60 ppm

20 ppm

10 ppm

100 톤/년

80 ppm

40 ppm

10 ppm

5 ppm

100 톤/년 저감

20 ppm 저감

20 ppm 저감

10 ppm 저감

5 ppm 저감

-

110 111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NCC 잔사유를 이용한 고기능성 탄소재 원료

용 고연화점 피치 전구체의 제조공정 개발

사업개요

● 고연화점 피치의 경제성 있는 공정 개발 및 Pilot Plant 설치 가동, 시제품 생산

▶ 연화점 180℃이상, 피치제조수율 55% 이상, 피치 탄화수율 70% 이상, H/C 0.65

이하, fa 0.7 이상dml 고기능성 피치 제조 공정 수립

● 피치 제조 Pilot Plant 설치 및 가동

▶ 고연화점 등방성 피치 제조용 Pilot Plant 설치 및 가동

▶ 피치 Pilot Plant의 가동에 의한 시제품 제조 및 품질평가 완료

● Pilot 수준의 고연화점 등방성 피치 시제품 제조 및 업체 품질 평가 완료

▶ 실 사용업체에서 당소의 Pilot에서 제조된 고연화점 등방성 피치의 시험결과

기존 중국제품보다 동등 이상의 양호한 물성을 지닌 것으로 인증

● 고연화점 피치의 KS 기준조건 확립

▶ 고연화점피치 관련 KS 규격(안) 마련 : 피치의 연화점 측정방법(KS M 1808 ; 2002)

주요 개발내용

● 산업재산권: 고연화점 등방성피치의 제조 방법(특허등록번호 : 제 328,683호)

● 학술지: Preparation of Carbon Fibers from Precursor Pitch Synthesized with Coal

Tar or Petroleum residue Oil, Fibers and Polymers, 1(2), 97 (2000) 외 1건

● 학술 발표: Influence of Oxygen on Preparation of Mesophase Pitch from FCC-DO,

2002 Carbon Conference(Beijing) 외 4건

개발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화석유화학 (원호연)

1,135,079 천원

전남대학교, 기술표준원

1999년 3월 ~ 2002년 5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피치 Pilot Plant 3층 피치 Pilot Plant 2

피치 Pilot Plant 1층 Pilot Plant에서 제조된 피치

112 113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고활성 산화촉매 조성 확보

▶ 할로겐함유 휘발성유기화합물(HVOC) 및 CHO구성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제거용

촉매조성 개발

▶ 저가 금속을 사용한 가격경쟁력 확보 촉매조성 도출

● 촉매시스템화 기술 개발

▶ 개발 촉매 조성의 모노리스 코팅 기술 확보

▶ 모노리스 코팅 촉매 내구성 자료 확보

● 배가스 정제용 촉매산화시스템 개발

▶ Recuperative type 촉매연소장치(RCO) 시스템 개발

▶ 소형(10,000N㎥/hr) 독자 모델 확보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Ru-Sn계 촉매를 이용한 VCM 생산공정발생

VOC 및 HVOC 동시 제어용 RCO 시스템 개발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VOE(THC)

구 분

80 톤/년 8 톤/년 72 톤/년 저감

※ 처리량 10,000N ㎥ /hr 규모 1기 기준

■ 경제적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매출액

수출

수입대체효과

구 분

1억 5천만원-

3억원-

5천만원-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종수)

460,000천원

한서대학교

1999년 3월 ~ 2002년 5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지적재산권권

▶ 특허등록 : 가스상 오염물질 제어용 RCO시스템구성 및 운전방법 등 2건

RCO 시스템 pilot 테스트 결과

(벽지생산공정 작업장 가스 대상)

pilot 시스템 설치 및 운전도

(2,000Nm3/hr 시스템)

모노리스 코팅 촉매

(200cell, 15×15×15cm)

모노리스 코팅 단면

114 115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고농도의 오존측정이 가능한 국제수준의 오존측정 모니터를 개발

▶ UV 흡광Cell Unit개발

▶ 신호처리의 정도 및 고속연산처리를 위하여 DSP Process개발

▶ 오존측정농도 법위 125g/㎥(약 60,000ppm)이상

▶ 측정정밀도 ±1%

▶ 측정단위 변환: ppm 또는g/㎥

▶ Current or DC Volt output; 4~20mA, 1`~5V 선택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UV흡수방식 In-Line형 오존농도 측정장치개발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수

COD

BOD

7,300 톤/년

2,190 톤/년

2,555 톤/년

6,570 톤/년

526 톤/년

493 톤/년

730 톤/년 저감

1,664 톤/년 저감

2,062 톤/년 저감

■ 경제적 효과

개발 전 2004~2006 기대치

수입대체효과

수출증대

매출증대

구 분

21,500 백만원

1,800 백만원

1,950 백만원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오쓰리테크(박보현)

103,190천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1999년 3월 ~ 2000년 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지적재선권

▶ 특허출원 : 2건, 실용실안 1건

2004년 판매용 양산 견본품

개발 시제품

116 117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깃털에 의한 오일 제거 Mechanism의 규명

▶ 흡착과 병합현상으로 오일입자가 깃털 사이사이로 축적됨을 확인

● 오일제거용 여재의 처리성능 비교를 통한 오리깃털의 우수성 입증

▶ 국내 시판중인 오일제거 여재의 특성 및 처리성능 비교

▶ 여재별 경제성 평가

● 오리깃털 적용을 위한 오일폐수의 전처리(DAF)공정의 최적 운전조건 도출

● 오일 제거 실험

▶ 오리 깃털 Packing 방법, 밀도, Operation Condition, 오리깃털 교체시기

▶ 산업폐수 적용 가능성 검토, 최적운전인자 도출, 설계조건 확립

● 산업폐수 적용

▶ 각 대상 산업폐수의 처리공정 최적화

▶ 최적운전인자 도출, 설계조건 확립

▶ 처리수의 재이용 가능성 연구 및 경제성 평가

주요 개발내용

깃털을 이용한 Emulsified Oil 제거

System 개발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아주대학교 (정윤진)

152,014천원

없음

1999년 3월 ~ 2001년 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오리깃컬 사이에 흡착과 병합에 의해

축적된 오일입자

오일폐수 흡착여재 처리성능 비교를 위한

pilot 실험 장치

■ 경제적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수

COD

SS

n-Hexane 추출물

4,500톤/년

472.5kg/년

450kg/년

20.3kg/년

4,500톤/년

90kg/년

27kg/년

5.4kg/년

-

382.5kg/yr 저감

423kg/yr 저감

14.9kg/yr 저감

폐수처리장

원부재료비

폐기물위탁처리비

톤당처리비

D사 기존처리시설 비 고구 분

92,808

25,840

35.5

개선 후(천원/년)개선 전(천원/년) 비용(천원 /년) 증감율(%)

61,776

6,352

24.2

31,032 절감

19,488 절감

33.4

75.4

연간 처리량 4,500㎥

118 119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 센서소자의 제작

▶ 전도성 고분자 (polypyrole, polyaniline 등)을 사용하여 Au 전극소자위에 전기중합

방법을 이용하거나 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조

▶ 단위소자의 재료 및 구조는 동작온도가 실온으로 가능한 것을 채택

● 센서 어레이 제작

▶ 단위 소자로서의 성능 및 선택성이 개별 VOC 화합물의 측정에 가능한가를 피막한뒤에

3×3 혹은 4×4의 어레이를 제작하여 그 응답신호를 측정, 분석

▶ 동일 센서어레이의 신호응답 특성을 유기가스성분별로 개별 측정하여 그 가능성 시험

●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가스패턴 인식기 설계

▶ Inerface 시스템 구동 및 제어를 위한 S/W 개발

▶ Neural Network method (RBF) 이용한 가스 패턴 인식

▶ 데이타 acquisition S/W coding

● 스마트 센서 시스템의 실제 응용 시험

주요 개발내용

전도성 고분자 센서 array를 이용한 공장내

VOC(휘발성 유기 가스) 측정 기술개발

사업개요 ■ 경제적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경북대학교(허증수)

244,044천원

없음

1999년 7월 ~ 2001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환경 산업, 부품 산업 및 계측 산업등 유관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

● 현재 사용되고 있는 VOC 분석기기 (GC/MS, GC/FID, GC/ECD, HPLC/UV)는 대당,

50,000$ 이상의 고가이며 대용량의 것으로 본 기술개발에 의한 경제적이며 비교적 소용

량의 시스템으로 이를 대치할 수 있음

● 스모그에 의한 대기오염 발생원 파악으로 인한 환경정화

● 발암물질의 monitoring 에 의한 국민건강 기여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Labview 를 이용한 센서어레이 신호처리 프로그램 Labview 를 이용한 센서어레이 신호처리 프로그램

120 121

VOCs가스 flow 및 측정 시스템 측정회로의 interface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고농도의 질소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공정 개발

▶ BAF(Biological Aerated Filter)반응기에 의한 질산화 탈질 공정 개발

▶ BAS(Biofilm Aerated Suspension)에 의한 질산화 공정개발

● 현장 적용을 통한 공정 검증 (BAS 반응기)

▶ 공정 Pilot Test (산업폐수)

▶ 춘천 매립지 Pilot Test (침출수)

주요 개발 내용

아질산 축적에 의한 고농도 질소폐수

처리기술개발

■ 경제적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SK건설(주)(장재우)

489,733천원

한림대학교

1999년 12월 ~ 2002년 1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질소제거 공정 초기투자비 및 운전비 약 20% 절감 가능

● 지적재산권

▶ 특허 : 다공성 담채를 이용한 질소함유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등록번호:396907)

환경개선 효과

개발효과

개발 전구 분

질소제거효율

반응기 용적

산소공급비용

외부유기물 공급

95% 이상

기존공정 대비 20% 이상 감소

기존공정대비 10% 감소

기존공정대비 30% 절감

침출수 처리를 위한 현장적용

실험(춘천 매립지)

고농도 질소폐수 처리를 위한 현장적용 Pilot Plant

122 123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반응기 재질에 따른 nano size TiO2 광촉매 코팅기술 개발

● Module화된 광촉매 반응기 개발

● 광촉매를 이용한 VOC 분해 mechanism 규명

● VOC 특성에 따른 반응기 및 metal doping된 광촉매 제조기술 개발

● 도장공정 및 세정공정용 VOC 광촉매 처리 시스템 개발

주요 개발내용

Nano composite 광촉매 산화법을

이용한 산업용 VOC 처리장치 기술개발

개발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매그린 (박태성)

614,703천원

경기대학교

1999년 3월 ~ 2002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실테스트용 pilot scale 연속식 장치

- 36 modules

- Annular reactor 재질 : stainless steel 이다.

- Module의 배치 : 가로×세로 / 6×6 / 6×2를

한 묶음 3 pass가 형성

실테스트용 pilot scale 연속식 장치

-Inlet system

124 125

■ 경제적 효과

● 악취 및 VOC 제거용 광촉매 코팅액 제품 50억/년 매출 예상

● 지적재산권

▶ 특허 : “광촉매 코팅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코팅체” 등록

▶ 논문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volatile organic comounds at the gas-solid interface

of a TiO2 photocatalyst(SCI)등 4건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양산적 재합금 제조공정 구축

▶ 주조 용해 공정에서 용해량 과 용해시간에 따른 Return Scrap Group 별 베릴륨 감소

데이터 구축.

▶ 1 차 주조 제품 생산 시 Be 감소량에 따른 Scrap Group 별 모 합금(Be-Cu, Co-Cu,

Ni-Cu) 과의 재 합금 장입 계산.

▶ 재 합금 용해 시 용해량과 용해시간 에 따른 Beryllium 증발 감소량과 용해시간 데이터

구축

▶ 빌렛 몰드 규격 결정을 위한 재 합금 고주파 용해시간 및 빌렛 제조시간 동안 Be 증

발량 데이터 구축.

● 상기 데이터에 따른 Billet Mold 제작

● 재 합금 용해 및 빌렛 합금 제작

주요 개발내용

폐 베릴륨동 합금의 고주파용해방식에

의한 재생방법 기술개발

개발효과

■ 경제적 효과

수출증대효과

(백만원/년)

수입대체효과

(백만원/년)

324 156 185 93

생산성향상효과

(백만원/년)

매출증대효과

(백만원/년)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 한미통상 (김영후)

391,234 천원

한밭 대학교

1999년 12 월 ~2001 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연구 성과로 제조한 각종 빌렛 합금들

안경태 주조 부품

정밀주조 부산물

(베릴륨 동스크랩)

126 127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보일러용 저 공해 연소기 개발 (일반 연소기에 비하여 40%이상 NOx저감)

● 산업용 보일러에 적용 실증실험

주요 개발내용

저공해 고효율 산업보일러용 연소기 개발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NOx 80 ppm 48 ppm 40% 저감

● 전량 수입 의존 저 NOx 연소기 국내기술 대체

● 매출액 : 33% 증가,

● 특허 : 국내특허 3건(연소장치 및 그 연소방법 등)

해외논문 (SCI등재 논문) : 2건

■ 경제적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기계연구원 (안국영)

493,870 천원

없음

1999년 12월 ~ 2002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개발된 공기/연료 다단 연소기 시제품

(연소기 본체)

개발된 공기/연료 다단 연소기 시제품

(Quarl 부)

공기 다단 연소기 화염사진

128 129

공기 다단 연소기의 Theraml 및 Prompt NOx 분포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폐타이어를 사용한 방진고무개발

● 폐타이어를 사용한 산업용 시트 개발

● 폐타이어를 사용한 소음, 진동 저감재 개발

주요 개발내용

폐타이어를 사용한 전자제품용 방진·제진성

받침고무의 개발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고무사용량

폐타이어 사용량

180 톤/년

-

고무 대신 폐타이어를

사용하여 폐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함

● 원료고무 180톤 중 약 20톤 폐타이어로 대체하여 연간 44백만원/년의 생산성 향상

■ 경제적 효과

160 톤/년

20 톤/년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남양노비텍(주) (전용철)

296,163천원

안양대학교

1999년 12월 ~ 2001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높이조절용 방진고무

행거용 고무

130 131

방진고무패드

충격흡수용 댐퍼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환경친화적인 수계/준수계 세정제 개발

▶ 전자부품 세정제, 정밀부품 세정제, 광학부품 세정제, 페인트 제거제

● 세정성능 평가 기술 개발

▶오염원 분석, 세정성능 분석, 피세정물에 대한 재질영향성 평가, 등

● 개발된 세정제에 대한 최적 유수분리 시스템 구축

▶ 유수분리 시스템의 최적 디자인 진행

주요 개발내용

마이크로 이멀션형 수계 세정제 개발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CEC-113

폐액

오존문제

인체안전성

폐수

18 톤/년

17.3 톤/년

높음

매우 나쁨

118 톤/년

-

1.6 톤/년

-

우수

3 톤/년

18 톤/년 저감

15.7 톤/년 저감

ODS 완전 대체

MSDS

115 톤/년 저감

● 매출액 현황 및 생산량

■ 경제적 효과

적용제품 판매

(단위:백만원)

적용제품의 매출액 현황 및 생산량구 분

내수

수출

해외시장

국내시장

국내시장 중

수입규모

2003년2002년 2004년 2005년

50

0

50

3

10

800

0

800

50

360

3,000

500

3,500

200

360

6,000

1,000

7,000

500

1,000

생산량(단위: ton)

연간생산능력(단위: ton)

약 6조원

2003년 약 1,700억원

(1994년 800억원 기준으로 매년 10% 성장 가정)

50%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네오팜 (박병덕)

467,588 천원

수원대학교, 한국화학시험연구원

1999년 12월 ~ 2002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유수분리 된 린스액

132 133

전자부품용 세정제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사업개요

● 부직포 제조기술 개발

▶ Needle punching 부직포 및 Spunlace 부직포 개발

▶ 인열강도, 인장강도, 신율조절

▶ 적합한 구성섬유 및 섬도 선정

● 수성 폴리우레탄 개발

▶ 분자량, 내가수분해성, 유연성, 내열성, 내마모성, 기계적 강도 등의 물성분석

▶ 심색성, 염색견뢰도, 향상에 적합한 합성조건 확립

▶ 인조피혁용 소재로의 적합성 평가

● 인조피혁 제조공정 설계

▶ Mangle 조건 및 수성 폴리우레탄 고형분 변화에 따른 부직포 함침효율

▶ 온도 및 steam 분사 조건에 따른 부직포 충진감 및 유연성

● 성능 및 신뢰성 평가

▶ 유기용제형 인조피혁 및 선진제품과 비교 촉감, 기계적 물성, 심색성 및 염색견뢰도

등의 비교 평가

주요 개발내용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환경친화성 인조피혁

제조기술개발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고구분

폐수

폐기물

CO2

CO

(NOx)

6,500톤/년

2,800톤/년

400 ppm

500 ppm

400 ppm

3,000 톤/년

1,600 톤/년

100 ppm↓

60 ppm ↓

60 ppm ↓

55

45

75

88

80

DMF는정제하여

사용 - 제외함

환경오염

저감효과(%)

● 유기용제 사용량 감소효과 : 180 백만원 절감

● 오염물(폐수, 폐기물, 대기) 처리비 절감효과 : 3 백만원

● 인건비 절감효과 : 40 백만원

■ 경제적 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주) 백 산(차윤종)

297,059천원

(주) 백산섬유, 경진염직공업( 주)

1999년 12월 ~ 2001년 12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PET 극세사 원단 부직포 SEM 단면도 PET 극세사 함침 부직포 SEM 단면도

<PET 극세사 부직포 SEM 단면도 - Needle punching 작업분>

134 135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PFC 처리기술 및 대체가스 적용기술개발

● PFC 처리기술 개발

▶ SF6, ClF

3 처리약제 개발.적용

● PFC 대체가스 적용기술 개발

▶ PFC 대체 세정공정 개발

<NF3, ClF

3, C

4F

8, C

4F

8O/O

2 + 첨가가스(N

2, NO, N

2O)>

▶ 국산 C3F

8 Remote plasma generator를 이용한 세정기술 개발·적용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CO2

35,092 톤/년 825 톤/년 34,267 톤/년 저감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2,582,809천원

코아텍, 주성엔지니어링, 숭실대학교,

성균관대학교위탁기관

1999년 12월 ~ 2002년 08월개발기간

● 매출액 증가 : 373.2억원

● 수입대체효과 : 투자비(31억원), 원부재료비(4.4억원)

● 특허(1건), 해외논문(6건), 해외 학술발표(9건)

■ 경제적 효과

삼성전자(주) (홍기수)

CIF3 처리장치

136 137

PFC 대체가스 실험장치도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연속식 Boil off Range 의 개발

● Boil-off range의 독자적인 구조설계 확보

▶ 고성능 Relaxing, Washing 및 Drying Mechanism 선정

▶ 연속식 Boil-off range의 제원 및 특성 확보

▶ Nozzle의 구조분석연구

● Prototype의 설계 및 제작

▶ 원동부 및 노즐설계

▶ Hanger와 Conveyor의 설계 및 제작

▶ Relaxing, Wahsing 및 Drying system구성 및 시작품조립

● 성능시험 및 평가

▶ 기계적 성능평가

▶ 부품의 형상정도 및 운전성 평가

▶ 직물의 가공성 평가

● 성능평가 결과에 의한 성능보완 및 상품화 Model정립

주요 개발내용

사업개요 개발효과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평안기계(신동호)

389,327천원

한국기계연구원

1998년 7월 ~ 2000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경제적 효과

원부재료비

동력비

폐수처리비

인건비

매출액증가

개발 전(억원) 개발 후(억원) 개선효과항 목

1.6

0.6

1.2

0.5

7.2

0.8

0.3

0.6

0.3

15.1

0.8억원/년

0.3억원/년

0.6억원/년

0.2억원/년

7.9억원/년

9.8억원/년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구 분

단위

㎥/년

배출량( 가성소다% )

㎎/ℓ

개발 후

단위 배출량( 가성소다% )비 고

저감효과 66.7%폐수배출량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138 139

㎎/ℓ

㎥/년

㎎/ℓ

㎎/ℓ

전동부 수세조&망글부 인입로울러 & 노즐부

6,000(50)

500

300

30,000(30)

400

250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산소PSA를 이용한 순산소 폭기공정

기술개발

● 순산소 PSA 개발

▶ 폐수성질에 따라 산소농도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산소PSA 개발

● 밀폐형 순산소 폭기공정 개발

▶ 미생물이 가장 활동하기 좋은 조건의 폐수반응조 개발

● 반응조 표면교반기 개발

▶ 3차원 유동해석을 통한 표면교반기의 형상 및 물질전달 메카니즘 규명

● 종합적인 순산소 폐수처리 시스템 개발

▶ 산소PSA와 폐수처리장치의 종합운전 시스템 개발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수360 만톤/년

(표준활성스러지법)

510 만톤/년

(대서순산소공정)

150 만톤/년

처리능력 향상

사업개요

※참고: 일일 1만톤을 처리하는 표준활성슬러지법을 기준으로 같은 조건의 폐수를 동일부지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폐수의 처리량 비고(당사는 추후 본격적인 사업화에 착수 예정)

■ 경제적 효과

원가절감

개발 전 개발 후 개선효과항 목

0.6억원/년 0 0.6억원/년

비 고

1만톤/일

폐수 처리기준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대성산소 (문흥만)

175,875천원

연세대, 한림대, 광운대

1998년 7월 ~ 2001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지적재산권

▶ 특허 : Do meter와 ORP meter에 의한 폐수처리용 산소주입량 및 농도 제어시스템 출원

폐수처리용 산소 PSA

140 141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레이저를 이용한 건식 인쇄회로기판

제조공정 기술 개발 및 보급

● Stencil 제조용 레이저 가공 공정 및 시스템 개발

▶ 레이저 가공기 핵심 파트 개발 및 시스템 구축(에칭 공정 제거)

▶ Gerber 파일 변환 S/W 개발

▶ 공정 최적화 연구 및 기술 보급

● Laser Ablation을 응용한 PCB제조 응용기술 및 공정 개발(에칭공정 제거)

▶ Excimer 레이저 가공 시스템 구추

▶ 공정 연구 및 기술 보급

● 개방형 실험실 운용을 통한 기술의 보급 및 제품의 성능향상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0폐수(에칭액)50

Liter/1기당/일 에칭공정 제거

사업개요

Development of laser process and system for stencil manufacturing, Int. J. of the

KSPE, 4-1, 2003 외 3건

■ 학술지발표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기계연구원 (이제훈)

591,957천원

한국전자공업협동조합

1978년 7월 ~ 2002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레이저 스텐실 가공 장면 및 샘플 엑시머 레이저 시스템 및 가공 패턴 샘플

레이저 스텐실 가공기

142 143

스텐실 가공기 레이저 빔 이송장치

- 빔 이송거리 보정 장치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비철제련 세정폐수 슬러지의 감량

및 재활용 기술개발

● 실용화 Plant 설치 및 가동

▶ 엘지니꼬 동제련 세정폐수(폐황산) 처리공정의 최적화 방안인 유화공정 설치를 1997.

12월 완료하고, 1998.7월 이후 정상가동.

▶ 엘지니꼬 동제련 세정폐수 처리공정에 세정폐수 슬러지(폐석고) 재처리 Process를

2001. 3월 설치완료하고, 2001.7월부터 정상가동

● 폐석고 재활용

▶ 세정폐수 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2차Cake(폐석고)를 시멘트 원료 또는 건축용 벽돌

제조의 원료로 공급

● 이전.확산 실적

▶ 고려아연(주)의 유화공정에 사용되는 NaSH를 저가인 폐 H2S 재생품으로 대체

▶ 영풍 석포제련소의 폐황산 처리공정 개선 Procsss 제안

▶ (주)풍산 온산공장의 폐기물 재활용 방안 검토 및 일부 재활용

▶ (구) 한국티타늄공업, (현) 코스모화학의 폐기물 재활용 방안 제안

주요 개발내용

사업개요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엘지니꼬동제련(주)(이민재)

869,076천원

울산대학교

1997년 8월 ~ 2001년 11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 경제적 효과

공정최적화

폐석고 재처리

개발 전 개발 후 개선효과항 목

0

0

3.4억원/년

6.8억원/년

3.4억원/년

6.8억원/년

10.2억원/년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구 분

폐석고 18만톤 적치 5만톤 재처리 2만톤/년 저감

144 145

유화조 및 흡수탑

유화 침전조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습식도금 대체용 초고속 in-line

플라즈마 코팅 장치 및 공정개발

● 습식도금 대체 무공해 초고속 in-line 플라즈마 코팅 장치 개발

▶ 3 챔버 in-line 시스템.

▶ 크기 : 4550 x 1500 x 1850 mm

▶ 6개의 마그네트론원 장착

▶ 공정 주기 : 30 - 60 분

● 초고속 고전력 마그네트론원 설계 및 제작

▶ 크기 : 880 x 300 mm

▶ 전력 : 15 KW/cm2

▶ 타겟 사용 효율 : 60 % 이상

● 초고속 고효율 스퍼터링 코팅 기술 개발

▶ 증착율 : 3 ㎛/min (Cu), 0.6 ㎛/min (Cr)

▶ 경도 : 20 GPa 이상

▶ 밀착력 : HF1 등급 (40N 이상)

▶ 박막 두께 : 1 - 30 ㎛

주요 개발내용

사업개요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수

구 분

3.5 톤/년30 톤/년 26.5 톤/년 저감

■ 경제적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개선효과

매출액 증가

구 분

1.8 억원/년0 1.8 억원/년

비 고

2003년기준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성균관대학교 (한전건)

843,477천원

한국전자공업협동조합

1997년 1월 ~ 2000년 9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In-line 플라즈마 코팅 장치

146 147

초고전력 마그네트론 원

초고속 스퍼터링 공정 무공해 건식 도금 제품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도금공정에서의 선택적 중금속 제거/회수

및 무방류 공정기술 개발

사업개요

● 중금속 선택성 제거 생물흡착제의 개발

▶ Carboxylated alginic acid와 oxidized Undaria Pinnatifida

● 중금속 선택성 제거 기능성 세라믹 담체의 개발

▶ LIX 84, PC 88A 또는 Adogen 364가 함침된 세라믹 담체

● 중금속의 회수 및 폐수의 재이용 공정기술 개발

▶ NTA, EDTA, HNO3, Na2S2O3 등의 탈착제를 이용한 중금속의 회수 및 중금속이 제거된

처리수의 재이용 공정 기술

● 도금공정의 실제 폐수에 적용 및 최적 조업 조건 결정

▶ 생물 흡착제의 고정화 방법과 비드형 세라믹 담체를 개발하여 도금공장의 현장에서

실제 폐수에 적용하고 최적의 조업 조건을 결정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 환경개선 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폐수

슬러지

구 분

175,200 톤/년 저감

848 톤/년 저감

219,000 톤/년

1,098 톤/년

43,800 톤/년

250 톤/년

■ 경제적 효과

폐수처리

비용절감

개발 전 개발 후 개선효과항 목

5.4 억원/년

5.4 억원 /년

2.5 억원/년

3.0 억원 /년

2.9 억원/년

2.4 억원/년

생물흡착제 사용시

세라믹담체사용시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서울대학교(이종협)

432,369천원

없음

1997년 8월 ~ 2001년 10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비 고

생물흡착제의 제조를 위한 pilot-scale 장치 실제 도금공장 현장에 설치한 실험 장치

비드 형태로 제조된 Adogen 364가 함침된

세라믹 담체

세라믹 담체를 이용한 실험실 수준 고정층

반응기에서의 중금속 폐수 처리실험

148 149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날염공정에서의 요소절감 기술개발

사업개요

● 날염공정에서의 발색도 향상에 의한 요소절감 방안 개발

▶ 기계적인 방법

▶ 증열장치내의 전(前)가습 장치개발(섬유소재별)

증열기계 내부에 가습기 노즐을 갖는 직접 가습장치의 보강 및 전가습 장치에 의하여

미고착 염료의 양을 줄여서 최대의 염착증진 효과를 부여하게 되면 요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

▶ 섬유소재별 최적 공정조건 확립

● 요소대체품의 선정에 따른 요소절감 날염호 처방의 기술 개발 및 보급

▶ 화학적 방법

▶ 요소 대체품을 이용한 요소절감 기술개발

▶ 섬유 소재별 요소절감 기술 확립

● 개발기술의 현장적용

주요 개발내용

■ 환경개선 효과

개발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요소

염료

구 분

12kg/톤 처리저감

5kg/톤 처리저감

60kg/톤

50kg/톤

48kg/톤

45kg/톤

■ 경제적 효과

생산성향상

개발 전 개발 후 개선효과항 목

0 0.5 억원/년 0.5 억원/년 공정개선

비 고

제작된 전가습 시스템

날염업체에 설치되어 가동중인 전가습 시스템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박영환)

426,400천원

없음

1997년 7월 ~ 2000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150 151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피혁 폐수 슬러지 퇴비화 및 쉐이빙

조각의 복합 소재 개발

사업개요

● 피혁 Sludge의 재활용 기술에 관한 기초적 연구

▶ 피혁 Sludge를 활용한 퇴비화 제조 기술 연구

● Shaving scrap의 재활용 기술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쉐이빙 조각을 활용한 복합소재 제조의 기술 개발 연구

● Shaving scrap의 복합 소재 개발 기술에 관한 실용화 연구

▶ Pliot plant 설치 및 시운전

▶ 기술보급 및 공동 사업화 추진

▶ 재활용품의 품질 성능 Test

주요 개발내용

개발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피혁공정 폐기물

Shaving scrap

크롬

구 분

40,000 톤/년저감

20,000 톤/년 저감

20,000 톤/년 저감

80,000 톤/년

40,000 톤/년

100,000 톤/년

40,000 톤/년

20,000 톤/년

80,000 톤/년

■ 경제적 효과

수출증대

매출증대

생산성향상

개발 전 개발 후 개선효과항 목

0

0

0

6억원/년

60억원/년

3억원/년

6억원/년

60억원/년

3억원/년

6억원/년

60억원/년

3억원/년

69억원/년

비 고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신발·피혁연구소(김원주)

403,804천원

한국피혁공업협동조합,

(주)해성기업

1997년 8월 ~ 2000년 6월

위탁기관

■ 환경개선 효과

Shaving scrap으로부터 Leather sheet 제조를 위

한 Sheet forming M/C

제작된 Leather sheet

Leather sheet 제조를 위한 Sheet forming M/C

(Main body)

다양한 색상의 Leather sheet

152 153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주물공장 환경개선을 위한 분진/가스 마스크

및 국소청정공기공급 시스템기술개발

사업개요

● 필터에서 분진의 관성충돌, 차단부착, 확산, 중력효과 등을 통해 제거되는 분진의 메카니

즘을 규명

● KS 규격과 환경기준에 맞는 물리적인 여과용 필터마스크 개발

● 분진과 유해가스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KS 규격과 환경기준치에 적합한 송기마스크 개발

● 주물공장의 환경개선을 위한 국소 청정공기공급 시스템 개발

주요 개발내용

■ 환경개선 효과

개발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유해입자

가스상 오염물질

구 분

5%효율증가95%이하 제거 99.99%이상 제거

40-50%제거율증가미량제거 50%이상 제거

■ 경제적 효과

매출액증가

항 목 개발 전 개발 후 개선효과

0 1.2억원/년 1,2억원/년

비 고

1회용분진마스크

사용, 2천명 사용

기준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광주과학기술원 (이규원)

149,288 천원

삼부필터(주), 삼창주철(주),

삼공물산(주)

1995년 12월 ~ 1997년 8월

위탁기관

고안 송기마스크 실제사진

면체여과식 마스크의 단면도

154 155

성형기의 실제모습

성형금형(냉각금형)의 실제모습

◀ ◀◀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 2004 청정생산기술개발보급사업 성공사례집 ▶▶ ▶

도금공장의 청정공정개발 기반확충사업

사업개요

● 도금관련업체 청정기술 보급을 위한 공단내 상주 근접지원

▶ 유해 공정대체 불량원인 분석, 해결 및 공정기술의 개선지원

● 생산제품 및 시제품의 시험, 평가지원

▶ 도금액, 도금제품에 대해 품질 평가지원(성적서 발행)

● 난도금성 소재의 환경친화적 표면처리 적용생산의 시작품제작 지원

▶ 생산기술연구원의 축적 기술 및 보유장비를 이용 공정기술개발 지원

● 인터넷을 통한 도금전문자료실의 구축 운영

▶ 현장의 One-stop service를 위한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 운영으로 선진청정 기술보급,

자료실 운영(http://ww.e-plating.or.kr)효과

주요 개발내용

■ 환경개선 효과

개발효과

개발 전 개발 후 비 고

도금 폐수

유가금속 회수

청정관련

책자발간

구 분

1,800 톤/년 저감

5.4 톤/년 회수

환경개선 교육홍보

10,800 톤/년

0 톤/년

0

9,000 톤/년

5.4 톤/년

500부 배포/3종류

■ 경제적 효과

원가절감

생산성향상

항 목 개발 전 개발 후 개선효과

0 13억원/년

6억원(기술자문)

14억원(시험분석)

13억원/년

비 고

13개 업체 기준

30개 업체 기준

700건 기준20억원/년

33억원/년

0

도금액 내의 금속이온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초정밀 이온크로마토그라프

도금업체의 청정기술 자료를 보급하는 원스톱

지원 홈페이지 운영

pcb 도금라인의 수세수를 절감하기위한 수세수

실험라인도금액의 폐수농도 측정용 현장지원장비

도금액의 폐수농도 측정용 현장지원장비

156 157

주관기관(책임자)

사 업 예 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한성호)

426,400천원

없음

1997년 7월 ~ 2000년 6월

위탁기관

개발기간

Korea National Cleaner Production Center(KNCPC)

will always work with you

- business communities, academic and research institutions, and NGOs -

to build sustainable industrial nation

through sustainable and cleaner production, and

to make our planet be a better place to live for all generations.

www.kncp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