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 pitch cj e&m...

4
Analyst 최찬석 02) 2184-2315 / [email protected] 이남준 연구원 02) 2184-2353 /[email protected] BUY 현재 직전 변동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90,000 유지 Earnings 유지 Stock Information 현재가(6/5) 71,000원 예상 주가상승률 26.8% 시가총액 27,500억원 비중(KOSPI내) 0.21% 발행주식수 38,732천주 52주 최저가/최고가 32,300 - 71,000원 3개월 일평균거래대금 298억원 외국인 지분율 12.8% 주요주주지분율(%) 씨제이㈜외 5인 42.9 Valuation wide 2014 2015E 2016E PER(배) 6.6 17.8 28.0 PBR(배) 1.0 1.7 1.6 EV/EBITDA(배) 4.7 6.9 6.6 배당수익률(%) 0.0 0.0 0.0 Performance 1M 6M 12M YTD 주가상승률(%) 21.4 97.8 71.7 85.9 KOSPI대비 상대수익률(%) 24.4 93.7 68.1 77.9 Price Trend 대한항공 (000000) Issue 2분기 현황 파악 향후 전략 점검. Pitch 방송, 영화, 게임 부문 압도적인 국내 1 위이자 다양한 신규 사업의 고성장도 기대. 실적 역시 턴어라운드 초입 구간. 인터넷/ 미디어 업종 공동 Top Pick 유지. Rationale 1) 2 분기 현황 - 2분기 방송 부문은 단가 상승과 제작비 통제가 병행되는 국면. 삼시세끼와 꽃할배 전작 성공에 따른 차기작 단가 상승, TVNOCN보너스율 축소, 다채널 동시 방영 (크로스 채널링)따라 골든타임 광고 단가의 경우 지상파에 근접 . 한편 시청률이 낮은 컨텐츠는 VOD 유인하는 멀티채널 전략 (ex. 언프리티랩스타의 시청률은 0.8%였으나 VOD판매는 최상위권). 크로스 채널링에 따른 18 채널간 중복 자원 공유, 전작의 학습 효과로 후속작의 제작비는 통제되고 있는 국면. - 2분기 영화 흥행은 외화 강세로 제한적 (장수상회, 악의 연대기 ). 이에 따라 유력 라인업 (히말라야, 베테랑 )하반기로 이연. 다만 중국 중반 20세의 수익 정산에 따라 국내 감소분 만회 가능. - 마블퓨처파이트의 글로벌 일매출 합계는 국내 최상위권 게임과 유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레이븐도 국내 매출 순위 1유지 . 5레이븐 개발사 지분 70%연결, 6크로노블레이드, 다함께차차차2 런칭, 3 분기 레이븐 해외 진출, 넷마블 자회사 IPO, 신작 게임 스톤에이지 (石器 时代 ) 위챗 런칭 예정. - 태국은 1극장인 메이저그룹과 JV 설립 완료, 베트남은 국영TVVTVJV 설립 추진 , 중국 역시 현지 법인 설립 예정. 2) 외국인 투자자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 PIP MCN - 동사는 VOD동영상 스트리밍 시장 점유율 1위로 추정. 네이버와 같은 PIP (Platform in Platform) 플랫폼에서 동사가 광고를 직접 판매하면서 전체 매출의 90%인식. 현재 CPM 기반 광고를 비딩이나 CPC 형태로 개편하여 단가 상승 기대. 통합시청률 도입 VODPre-roll (방영 ) 광고 단가는 상승할 . - 글로벌 시장에서는 VEVO, 트위치TV, 어썸너스TV, 메이커스튜디오 등의 MCN (Multi-channel Network)동영상 플랫폼 ( 유튜브) 기반으로 초고속 성장 . 이들 MCN플랫폼 대비 교섭력이 증가하면서 평균 수익 배분율 55% 보다 높은 배분 . - 국내 역시 아프리카TV에서 성장한 BJ 들이 MCN으로 편입되는 추세이며 대표적인 MCN동사의 다이아TV. 동사는 인기 BJ대도서관 영입을 시작으로 400이상의 팀과 계약 중이고 2017년에 2,000개팀 영입 목표. 하반기부터 유쿠투도우 (중국), 데일리모션 (프랑스)글로벌 플랫폼과 연동 예정. - 향후 동사가 보유한 TVN, 엠넷의 대형 광고주풀을 다이아TVBJ 컨텐츠에 연동시킬 있고, 나스미디어 ( 시총 3,500 억원) 이은 2 디지털 광고 대행사인 메조미디어를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어 MCN PIP타켓 광고 송출 가능. - 국내 동영상 광고 시장은 1,200억원으로 전체 광고 시장의 1.2%불과. 이는 트래픽 대비 과소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지속적인 비중 증가 전망. (Fig. 6) CJ E&M (130960) Issue & Pitch 시대가 원하는 기업 Jun. 2015 8

Upload: others

Post on 24-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Issue & Pitch CJ E&M 대한항공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433720107186.pdf · 2015-06-07 · 투자등급 관련사항 . 아래종목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추천기준일

Analyst 최찬석

02) 2184-2315 / [email protected] 이남준 연구원

02) 2184-2353 /[email protected]

BUY 현재 직전 변동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90,000 유지

Earnings 유지

Stock Information 현재가(6/5) 71,000원

예상 주가상승률 26.8%

시가총액 27,500억원

비중(KOSPI내) 0.21%

발행주식수 38,732천주

52주 최저가/최고가 32,300 - 71,000원

3개월 일평균거래대금 298억원

외국인 지분율 12.8%

주요주주지분율(%)

씨제이㈜외 5인 42.9

Valuation wide 2014 2015E 2016E

PER(배) 6.6 17.8 28.0

PBR(배) 1.0 1.7 1.6

EV/EBITDA(배) 4.7 6.9 6.6

배당수익률(%) 0.0 0.0 0.0

Performance

1M 6M 12M YTD

주가상승률(%) 21.4 97.8 71.7 85.9

KOSPI대비 상대수익률(%) 24.4 93.7 68.1 77.9

Price Trend

대한항공 (000000)

▶ Issue 2분기 현황 파악 및 향후 전략 점검.

▶ Pitch 방송,영화,게임 부문 압도적인 국내 1위이자 다양한 신규 사업의 고성장도 기대.

실적 역시 턴어라운드 초입 구간. 인터넷/미디어 업종 공동 Top Pick 유지.

▶ Rationale 1) 2분기 현황

- 2분기 방송 부문은 단가 상승과 제작비 통제가 병행되는 국면. 삼시세끼와 꽃할배

등 전작 성공에 따른 차기작 단가 상승, TVN과 OCN의 보너스율 축소, 다채널 동시

방영 (크로스 채널링)에 따라 골든타임 광고 단가의 경우 지상파에 근접 중. 한편

시청률이 낮은 컨텐츠는 VOD로 유인하는 멀티채널 전략 (ex. 언프리티랩스타의

시청률은 0.8%였으나 VOD판매는 최상위권). 크로스 채널링에 따른 18개 채널간 중복

자원 공유, 전작의 학습 효과로 후속작의 제작비는 통제되고 있는 국면.

- 2분기 영화 흥행은 외화 강세로 제한적 (장수상회, 악의 연대기 등). 이에 따라

유력 라인업 (히말라야, 베테랑 등)은 하반기로 이연. 다만 중국 중반 20세의 수익

정산에 따라 국내 감소분 만회 가능.

- 마블퓨처파이트의 글로벌 일매출 합계는 국내 최상위권 게임과 유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레이븐도 국내 매출 순위 1위 유지 중. 5월 중 레이븐 개발사 지분 70%로

연결, 6월 중 크로노블레이드, 다함께차차차2 런칭, 3분기 레이븐 해외 진출,

넷마블 자회사 IPO, 신작 게임 스톤에이지 (石器时代)의 위챗 런칭 예정.

- 태국은 1위 극장인 메이저그룹과 JV 설립 완료, 베트남은 국영TV인 VTV와 JV 설립

추진 중, 중국 역시 현지 법인 설립 예정.

2) 외국인 투자자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것 : PIP와 MCN

- 동사는 VOD와 동영상 스트리밍 시장 점유율 1위로 추정. 네이버와 같은 PIP

(Platform in Platform) 플랫폼에서 동사가 광고를 직접 판매하면서 전체 매출의

90%를 인식. 현재 CPM 기반 광고를 비딩이나 CPC 형태로 개편하여 단가 상승 기대.

통합시청률 도입 시 VOD의 Pre-roll (방영 전) 광고 단가는 더 상승할 것.

- 글로벌 시장에서는 VEVO, 트위치TV, 어썸너스TV, 메이커스튜디오 등의 MCN

(Multi-channel Network)이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 기반으로 초고속 성장 중. 이들

MCN은 플랫폼 대비 교섭력이 증가하면서 평균 수익 배분율 55%보다 높은 배분 중.

- 국내 역시 아프리카TV에서 성장한 BJ들이 MCN으로 편입되는 추세이며 대표적인

MCN은 동사의 다이아TV. 동사는 인기 BJ인 대도서관 영입을 시작으로 400개 이상의

팀과 계약 중이고 2017년에 2,000개팀 영입 목표. 하반기부터 유쿠투도우 (중국),

데일리모션 (프랑스)등 글로벌 플랫폼과 연동 예정.

- 향후 동사가 보유한 TVN, 엠넷의 대형 광고주풀을 다이아TV의 BJ 컨텐츠에

연동시킬 수 있고, 나스미디어 (시총 3,500억원)에 이은 2위 디지털 광고 대행사인

메조미디어를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어 MCN과 PIP에 타켓 광고 송출 가능.

- 국내 동영상 광고 시장은 1,200억원으로 전체 광고 시장의 1.2%에 불과. 이는

트래픽 대비 과소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지속적인 비중 증가 전망. (Fig. 6)

CJ E&M (130960) Issue & Pitch

시대가 원하는 기업

Jun. 2015

8

Page 2: Issue & Pitch CJ E&M 대한항공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433720107186.pdf · 2015-06-07 · 투자등급 관련사항 . 아래종목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추천기준일

2 page

Issue & Pitch | CJ E&M

Fig. 01: 미국 동영상 광고 시장 Fig. 02: 국내 동영상 광고 시장

720

1,540

2,620

3,940

-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2013 2014 2015E 2016E

미국동영상 광고시장(USD mn)

910

1183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14 2015E

국내동영상 광고시장(억원)

Source: eMarketer, KTB투자증권 Source: 메조미디어, KTB투자증권

Fig. 03: 글로벌 MCN 사업자 현황 Fig. 04: 해외 기업의 MCN 투자 사례

Source: Comscore, KT경제경영연구소, KTB투자증권 Source: KT경제경영연구소, KTB투자증권

Fig. 05: 어썸너스 TV Fig. 06: 국내 동영상 플랫폼 트래픽 (2014년 12월 기준)

Source: 드림웍스, KTB투자증권 Source: 코리안클릭, KTB투자증권

Page 3: Issue & Pitch CJ E&M 대한항공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433720107186.pdf · 2015-06-07 · 투자등급 관련사항 . 아래종목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추천기준일

3 page

Issue & Pitch | CJ E&M

Fig. 07: 대도서관이 출연한 재규어 UCC Fig. 08: 다음TV팟의 마이리틀텔레비전

Source: 다이아TV, KTB투자증권 Source: MBC, KTB투자증권

Fig. 09: MCN과 창작자의 수익 배분율 Fig. 010: 아프리카TV 동영상 광고 수입 배분 모델

Source: Upfront Ventures, KTB투자증권 Source: 아프리카TV, KTB투자증권

Fig. 011: 디지털 광고 대행사별 비교 Fig. 012: 메조미디어 취급고 추이

Source: 나스미디어, KTB투자증권 Source: 메조미디어, KTB투자증권

Page 4: Issue & Pitch CJ E&M 대한항공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company/1433720107186.pdf · 2015-06-07 · 투자등급 관련사항 . 아래종목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추천기준일

4 page

Issue & Pitch | CJ E&M

▶ Compliance Notice

당사는 본 자료를 기관투자가 등 제 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당사는 본 자료 발간일 현재 해당 기업의 인수·합병의 주선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자료작성일 현재 본 자료에서 추천한 종목의 지분을 1% 이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본 자료 발간일 현재 해당 기업의 계열사가 아닙니다.

당사는 동 종목에 대해 자료작성일 기준 유가증권 발행(DR, CB, IPO, 시장조성 등)과 관련하여 지난6개월 주간사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당사는 상기 명시한 사항 외에 고지해야 하는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애널리스트 및 그 배우자는 발간일 현재 해당 기업의주식 및 주식 관련 파생상품 등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본 자료의 조사분석담당자는 어떠한 외부 압력이나 간섭 없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투자등급 관련사항

아래 종목투자의견은 향후 12개월간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추천종목의 예상 목표수익률을 의미함. ㆍSTRONG BUY: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0%이상. ㆍHOLD: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이상∼ +15%미만.

ㆍBUY: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15%이상~+50%미만. ㆍREDUCE: 추천기준일 종가대비 +5%미만.

ㆍSUSPENDED: 기업가치 전망에 불확실성이 일시적으로 커졌을 경우 잠정적으로 분석 중단. 목표가는 미제시.

투자 의견이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자등급 기준과 일시적으로 다를 수 있음

동 조사분석자료에서 제시된 업종 투자의견은 시장 대비 업종의 초과수익률 수준에 근거한 것으로, 개별 종목에 대한 투자의견과 다를 수 있음.

ㆍOverweight: 해당 업종 수익률이 향후 12개월 동안 KOSPI 수익률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ㆍNeutral: 해당 업종 수익률이 향후 12개월 동안 KOSPI 수익률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ㆍUnderweight: 해당 업종 수익률이 향후 12개월 동안 KOSPI 수익률을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주) 업종 수익률은 위험을 감안한 수치

▶ 투자등급 비율

BUY : 83% HOLD : 17% SELL : 00%

▶ 최근 2년간 투자등급 및 목표주가 변경내용

일자 2013.03.27 2013.05.13 2013.06.27 2013.08.09 2013.09.03 2013.09.25

투자의견 BUY BUY BUY BUY BUY BUY

목표주가 43,000원 40,000원 38,000원 43,000원 45,000원 50,000원

일자 2013.12.03 2014.02.21 2014.03.07 2014.03.27 2014.04.22 2014.06.27

투자의견 BUY BUY BUY BUY BUY BUY

목표주가 42,000원 45,000원 50,000원 60,000원 70,000원 65,000원

일자 2014.08.13 2014.11.13 2015.2.6 2015.4.6 2015.5.12

투자의견 BUY BUY BUY BUY BUY

목표주가 60,000원 55,000원 60,000원 75,000원 90,000원

▶ 최근 2년간 목표주가 변경추이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60,000

70,000

80,000

90,000

100,000

May-13 Aug-13 Nov-13 Feb-14 May-14 Aug-14 Nov-14 Feb-15 May-15

(원) CJ E&M 목표주가

본 자료는 고객의 투자 판단을 돕기 위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참고용 자료입니다. 본 자료는 조사분석 담당자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를 토대로 작성한 것이나, 제공되는 정보의 완전성이나 정확성을 당 사가 보장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사결정은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하에 하시기 바라며, 본 자료는 투자 결과와 관련한 어떠한 법적 분쟁의 증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저작권은 당사에 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본 자료를 무단으로 배포, 복제, 인용, 변형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