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23
1) 교신저자: Yang, Jisun, 80 Daehakro, Bukgu, Daegu, Republic of Korea Tel: 053-950-5923, E-mail: [email protected]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ISSN 1225-1488 2017. Vol. 29, No. 3, pp.161-183 1) http://dx.doi.org/10.19031/jkheea.2017.09.29.3.161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단원의 개념도 개발 양지선* 1) 경북대학교 가정교육과 강사*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Life and Reform Clothes Unit in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Yang, Ji Sun* 1)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cept map in a visual instructional strategy so that meaningful learning can be done by structuring knowledge in the section of eco-friendly clothing life and reform clothes. For this purpose, ten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were analyzed, and 10 sub-area were selected to develop the concept map. The development was done by using Cmap Tools V6.02 and the study process has progressed content analysis, concept extraction, and concept map development. The analysis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urse of setting standards, the analytical standards were set for the 2007 revision and 2009 revisio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in the process of content analysis and concept extracting,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clothing selection and purchase, clothing care and managementand clothing reuse and eco-friendly. The concept was extracted by subdividing on the basis of general and comprehensive core concepts. Thir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cept map was developed and revised based on the extracted concepts, and the concept map developed was the clothing purchase plan, points to consider when buying clothingquality, handle with care, classify laundry, remove stain, water washing, repair clothing, reform clothing, eco-friendly clothing life. Key words: 선행조직자(advance organizers), 개념학습(concept learning), 개념도(concept map),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home economics textbooks by 2009 revised curriculum)

Upload: others

Post on 26-Aug-2021

6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 교신저자 Yang Jisun 80 Daehakro Bukgu Daegu Republic of Korea Tel 053-950-5923 E-mail oliveroohanmailnet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ISSN 1225-14882017 Vol 29 No 3 pp161-1831) httpdxdoiorg1019031jkheea201709293161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양지선1)

경북대학교 가정교육과 강사

Concept Map Development of lsquoEco-friendly Clothing Life and Reform

Clothesrsquo Unit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Yang Ji Sun1)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cept map in a visual instructional strategy so that meaningful learning

can be done by structuring knowledge in the section of eco-friendly clothing life and reform clothes For this purpose

ten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were analyzed and 10 sub-area were selected to develop the concept map The

development was done by using Cmap Tools V602 and the study process has progressed content analysis concept

extraction and concept map development The analysis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urse of setting standards the analytical standards were set for the 2007 revision and 2009 revisio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in the process of content analysis and concept extracting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lsquoclothing selection and purchasersquo lsquoclothing care and managementrsquo and lsquoclothing reuse and eco-friendlyrsquo The

concept was extracted by subdividing on the basis of general and comprehensive core concepts Thir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cept map was developed and revised based on the extracted concepts and the concept map developed

was the lsquoclothing purchase planrsquo lsquopoints to consider when buying clothingrsquo lsquoqualityrsquo lsquohandle with carersquo lsquoclassify

laundryrsquo lsquoremove stainrsquo lsquowater washingrsquo lsquorepair clothingrsquo lsquoreform clothingrsquo lsquoeco-friendly clothing lifersquo

Key words 선행조직자(advance organizers) 개념학습(concept learning) 개념도(concept map)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home economics textbooks by 2009 revised curriculum)

16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Ⅰ 서 론

1 연구배경과 목적

수업상황 속에서 학습을 해나간다는 것은 학습자와 교사 교

과서 교육환경이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자가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학습자가 지식을

연결해가는 과정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는데 Ausubel(1963)

은 설명식 학습을 기계적 학습 무의미 학습이라고 비판한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수 있는 많은

개념과 원리에 적용할 수 있는 유의미 학습을 강조한 바 있다

Ausubel(1963)의 유의미 학습은 학습자는 지식이 형성되는 인

지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학습을 통해 지식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체계와 위계를 이

룬다고 하였다 모든 학문 분야가 위계적으로 조직된 개념구조

를 지닌다고 보고 학문의 최상부에는 추상적 포괄적 일반적

개념들이 자리하고 있어 하부로 내려갈수록 구체적인 개념들이

자리 잡게 되는데 여기서 새로운 학습과제와 학습자의 인지구

조를 관련지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선행조직자를 강조하

였다 선행조직자는 학습과제를 제시하기 이전에 제시되는 일

종의 도입자료로 새로운 학습 내용이 보다 쉽게 기존의 인지 구

조 속에 통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학습보조 자료 혹은 학습의

연결을 돕는 징검다리 역할로 제공하는 자료로 정의할 수 있다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통해 새로운 내용을 받아들여

학습을 향상시키는 이러한 과정을 lsquo배경지식 활용하기rsquo

(Marzano Norford Paynter Pickering amp Gaddy 2005)라고도

할 수 있다 선행조직자의 활용은 이전에 이미 배웠던 내용과

학습내용을 연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단원 안의 각

단원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Ausubel(1963 1968)의 이론을 토대로 Novak과

Gowin(1984)은 학습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개념들 간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를 통하여 지식을 범주화하고 위계적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개념도는 개념과의 관계를 밝혀 속

성을 분류할 수 있고 개념을 깊이 있게 다룰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교과의 내용지식을 조직화할 수 있다 이것은 가장 일반적인

개념이 최상단에 위치하고 아래로 갈수록 구체적인 개념으로

위치하는 일종의 네트워크 또는 맵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네트

워크는 개념을 나타내는 노드(node)와 개념 간의 관계를 나타

내는 연결선들을 가지고 있어 중요한 개념들과 내용들을 간결

하면서도 위계구조를 시각적인 형태로 보여주는 특성이 있다

(Cantildeas et al 2003 Novak amp Gowin 1984)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학습자 혹은 교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혹

은 언어적으로 개인적으로 혹은 협력적으로 지식을 이해하는

구조적인 흐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습을 스스로

실천해나갈 수 있고 주제를 보는 통찰력 이미 가지고 있던 유

효한 이해를 확인하고 획득된 오개념은 수정해 나갈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공통된 지식을 공유할지라도 그것을 표상하는

방법은 다르기 때문에 명제와 위계적인 관계 개념간의 연결 방

법 등을 파악하여 학습자가 이해정도를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학습을 촉진하는 도구로 고차원적인 사고를 활용하는 수

업전략으로 과정을 평가하는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교육 연구에서 선행되어온 개념도와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사회 과학 교과에서 연구되어 왔다 가정교과에서는 주생활 영

역에서 선행조직자를 수업지도안에 활용한 연구(Lee amp Cho

1996) 자원관리 영역에서 타 교과와의 중복성 분석에 기초한

개념도를 개발한 연구(Cho amp Chae 2007) 식생활 영역에서

그래픽 조직자의 개발한 연구(Koo amp Chae 2009)가 수행된 바

있으나 의생활 영역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의생활 영역

은 교육요구와 선호하는 학습내용에 관련한 연구(Kim amp Lee

2010 Pak amp Lee 2002 Son amp Shin 2006)를 통해 의복의 선

택과 착용 의복재료와 관리 영역에 대한 교육적 요구와 관심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가 높은 단원으로 나타났다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Ministry of Education

2015)에서는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나타내어 그와 관련

한 내용요소를 학년군에 따라 제시하고 있어 지식과 관련한 내

용요소를 위계화하여 조직하고 있다 내용체계 영역을 크게 인

간발달과 가족 가정생활과 안전 자원 관리와 자립으로 나누고

그에 따른 핵심개념으로 발달 관계 생활문화 안전 관리 생애

설계 등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의생활 영역은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에서 생활문화 개념의 옷 입기와 의생활 예절로 안전

에서 안전한 옷차림으로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의 관리개념에

서 옷의 정리와 보관으로 내용요소가 제시되어 있다 실제 생활

과 밀접하게 도움이 되는 의생활 단원의 수업에서 실제적으로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3

관심사는 높지만 수업의 만족도가 높지 않다고 관련 연구

(Moon amp Lee 2009 Park 2007)를 통해 나타나고 있어 지속

적으로 선호되어 온 의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높일 수 있도록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학습으

로 이끌 수 있는 교수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의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을 대상으로 내용요소를 분석하고

이러한 중심 개념에 따라 개념도를 개발하여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이미 2015 개정 교과서가 개발검토 중이기

에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요소를 반영하여 앞으로 의

생활 내용 영역에서 단원을 구성하는 내용요소 간의 관계와 학

습간의 위계를 파악하고 의생활 개념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자

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문제

연구문제 1 2009 개정 교과서별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rsquo 단원의 핵심 내용요소의 체계를 분석한다

연구문제 2 2009 개정 교과서에서 분석된 lsquo친환경적 의생활

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핵심 내용요소를 바탕으

로 개념도를 개발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유의미 학습에서의 선행조직자(advance organizer)

Asubel(1968)은 인간이 새로운 개념을 학습하게 되는 것은

개념과 동등한 표상 또는 이미지가 신경조직 속에 있어 거점 역

할을 하고 있으며 이 거점 역할을 하는 것이 인지구조라고 보았

다 이러한 인지구조가 학습자의 의식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조

직화된 개념이나 아이디어의 집합체로 개념이나 아이디어가 조

직되는 모양은 위계성을 띠고 있어 가장 포괄적인 개념이 상층

에 있고 아래로 갈수록 구체적인 개념이 놓여 있다고 보았다

Asubel은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수 있는 많은 개념과 법칙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유의미 수용학습을 강조하며 유의미한 학

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학습과제가 실사성과 구속성을 지니며

그것이 논리적이어서 학생의 인지구조에 의미 있게 관련지을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유의미 학습은 새로운 지

식이 학생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정착지식과 연결되거나 포섭

되는 과정을 통해서 일어나는데 새로운 학습과제와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관련지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선행조직자이다

선행조직자의 목적은 학습과제의 내용을 설명하고 통합하고

이전에 이미 학습된 내용과 상호연관 혹은 새로운 내용을 구별

해내는 것이다(Joyce Weil amp Calhoun 2004) 또 학생들에게

나중에 제시할 학습내용에 대하여 친숙성을 주고 보다 명확하

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해 주어 유의미한 학습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Mayer 1989) 선행조직자는 단순히 학습내용의

요약이나 개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

는 것과 학습자들이 공부하게 될 내용을 연결해주는 다리역할

을 하는 것이다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개념이나 원리 혹

은 지식을 보다 의미 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학습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특정 학습과제에 관한 지식의 상태를 미리 강화할

수 있는 도입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인

지구조의 기능을 확대하기 위해 적절한 실례 비유 용어 개념

명제 일반화 원리 법칙 등이 사용될 수 있다 Mayer(1979)는

선행조직자가 학습을 촉진하는 이유로 첫째 새로운 학습과제가

주어졌을 때 그 학습과제에 내포되어 있는 개념과 기존의 인지

구조의 개념을 연결시켜주는 유의미한 맥락을 제공해주기 때문

이며 둘째 후속하는 학습과제의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개요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동기를 증가시키고 활발한 부호화 맥락을 촉

진해 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선행조직자의 형태는 상호 관계에 따라 설명조직자(expository

organizer)와 비교조직자(comparative organizer)로 나눌 수 있

다 설명 조직자는 가장 추상적이고 기초적인 개념 그리고 적

은 수의 개념을 제공하며 학생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학습 과제

를 제시할 때 아이디어의 발판을 만들어 주기 위해 그 과제에

대한 개념적 근거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반면 비교 조직자는

상대적으로 친숙한 학습 과제를 학습할 때 사용되며 기존 개념

과 새로운 개념 간의 유사성으로 인한 흔동을방지하기 위하여

개념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기 위해 사용된다(Joyce

16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 Key Concepts and principles in Ausubels assimilation theory

(Source Novak 1993 6)

Weil amp Calhoun 2004 Kwon amp Kim 2006) 이 밖에 여러

학자들이 제시하는 선행조직자의 종류를 보면 선행조직자의 제

시 유형에 따라 이야기형태의 조직자(narrative organizer) 그래

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 물고기뼈 다이어그램(fishbone

diagram) Know-Want-Learn chart(K-W-L) 흐름도(flow

chart) 개념도(concept map)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등으

로 구분한다

선행조직자의 효과는 선행조직자가 추상적이고 함축적인 형

태로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방법이라는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기 전에 생각해볼 수 있

도록 하여 학업성취도를 높여준다 선행조직자의 효과에 관한

연구(Lott 1983 Stone 1983)들은 선행지식을 활성화하는 것

이 훌륭한 학습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러한 측면

에서 선행조직자의 활용은 보다 높은 교육 효과를 가져 온다고

할 수 있다 Novak(1993)은 Asuble의 학습이론에 대한 전체적

인 흐름을 개념도로 나타내었는데 학습이론의 바탕이 되는 여

섯 가지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ltFigure 1gt)

2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Concept map)

1972년 Novak의 교육프로그램에서 Ausubel(1963 1968)의

이론을 근간으로 학습자의 개념적 이해를 표현하는 더 나은 방

법을 찾기 위해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Ausubel의 인지심리학에

서의 기본적인 생각은 학습자가 기존에 지니고 있는 개념과 명

제의 구조 속으로 새로운 명제와 개념이 동화(assimilation)됨으

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여기서 학습자가 지니는 지식

의 구조를 개인의 인지적 구조라고 한다(Novak amp Cantildeas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5

2006) 개념도는 개념과 개념을 연결하는 연결선에 의해 서로

간의 관계를 조직하고 표현하는 시각적 도구로 정의한다

(Novak amp Cantildeas 2007 Novak amp Gowin 1984) 대부분의 개

념은 하나의 단어이고 때로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개념-연

결선-개념의 세 갈래 명제를 형성하는데 개념간의 관계를 기술

한 연결어는 어떤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의미 있는 진술이며 때

로는 이것을 의미단위라고도 한다(Cantildeas et al 2003) 개념과

명제는 일반적으로 가장 포괄적인 것에서 가장 구체적인 것까

지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관련된 지식의 조직을 통해 개념도의

형태로 이해하려고 하는 상황이나 사건과 관련될 수 있기 때문

에 개념도를 위한 맥락이 제공되어야 한다(Novak amp Cantildeas

2007) 개념과 연결선들은 방향성이 없을 수도 일정한 방향성일

수도 양방향일수도 있으며 범주화될 수 있다 개념들과 연결선

들은 어떤 범주화 속에서 인과 관계나 논리적인 관계 등이 연상

적으로 연결되어 여러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이 외에도 개념도

는 개념과 그 연결어를 합치면 하나의 명제 형태의 완전한 문장

이 된다는 특성도 있다

Novak과 Gowin(1984)에 따르면 개념도의 제일 높은 위치에

가장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 위치해 있으며 아래로 더 구

체적인 개념들로 구성되어지며 이러한 위계적 구조뿐만 아니라

동등한 위치에서 개념간의 수평적인 조직 등 개념간의 상호관

계를 조직해 가는 과정이다 위계 관계는 포괄적인 현상을 설명

하는 상위개념 그보다 낮은 위치에서 한정된 현상을 설명하는

하위개념 동등한 위치에서 비슷한 현상을 설명하는 동위개념

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제가 변함에 따라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들의 관계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lsquo어떤 개념이 포함

되어야 하는가rsquo에 대하여 개념도의 바탕이 되는 Ausubel의 이

론에서 추론할 수 있다 단순 암기학습이 아닌 유의미학습이 이

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춰져야 한다

(Novak amp Cantildeas 2006) 첫째 학습할 내용은 개념적으로 명확

하게 학습이 되어야하며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관련 있는 언어

와 사례들로 제시되어야 한다 개념도는 더 구체적인 개념을 배

우기에 앞서 학습자가 가진 일반적인 개념을 확인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개념적인 구조를 개발하는데 정착할 수 있는 보다

명시적인 지식을 통해 학습과제의 계열성을 도움으로써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사전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조건은 주제의 모든 영역에서 충족될 수 있지만 다음

학습에서 어떤 분야의 구체적인 지식을 제시하고자 한다면 개

념구조를 구축하는데 신중하고 명확해야한다 셋째 학습자가

유의미한 학습을 선택해야 한다 교사가 단지 간접적인 통제를

받을 수 있는 한 가지 조건은 학생들이 개념 정의나 명제 진술

또는 계산 절차를 단순히 암기하기보다는 새로운 의미를 사전

지식에 통합하려고 시도함으로써 학습하도록 선택하려는 동기

이다

개념도의 특성은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로 이루어진 지식의

시각적 표현 가장 일반적인 개념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위계적

구조 교차 연결의 포함 사건 또는 대상의 구체적인 예시를 포

함하는 것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리고 개념도와 유사한 인

지도(cognitive map) 지식도(knowledge map) 마인드맵(mind

map) 등이 있는데 개념도의 특성에 비춰 볼 때 지식도는 연결

어가 한정되어 있고 인지도는 개념이 아닌 아이디어가 사각형

내에 제시되며 마인드맵은 연결어 자체가 없다는 점에서 개념

도와는 분명하게 구별된다(Cantildeas et al 2003)

3 관련 선행연구

개념도는 수업 혹은 교수학습 전략에서 의미 있는 학습과정

으로 만드는 효과적인 도구로서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평가

도구로서의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학습을 촉진하는 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습자 혹은 교사

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작성하

는 동안 개별적인 학습을 실천하고 스스로 학습을 구성해나갈

수 있다(Heo 2001 Jonassen Beissner amp Yacci 1993 Lim

2009) 선행연구들은 학습자가 직접 개념도를 개발할 경우 적극

적인 의미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지식구성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기조절력 문제해결과 같은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나

타낸다고 보았다 또한 협력적인 문제해결에서 여러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체계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이해정도나 문

제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공유하게 되며 이를 표출하기 위한 언

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에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Kim 2008 Ryu amp Kwon 2005) 또한 상황에

따라 사고 수준이 다름을 알 수 있는데 Kim(2008)은 학생들이

읽은 텍스트에 대한 지식수준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 개인일 때

16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는 개념도를 그리면서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 것이 합리적 토론 상황일 때는 설명이 제시되지 않은 학생

들이 효과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모형에

있어서도 개인적 상황일 때는 위계형을 사용하고 협력적 상황

일 때는 혼합형을 사용하였으며 이처럼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을

포함하여 개념도의 활용은 지식을 주제에 적합하도록 정교화하

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자기지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둘째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개념도는 학습의 도입자료로

시각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학습과정에서 제시된다면

학습자의 흥미와 주의를 이끌 수 있어 유의미한 학습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Heo amp Kim 2003 Novak Gowin amp

Johansen 1983) 선행조직자로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시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데 Harris와

Hodges(1995)는 사전 지식을 활성하기 위해서 특정 텍스트를

학습하기 전 새로운 읽기자료와 학습자가 가진 배경지식 사이

의 상호암시가 이루어지도록 진술된 텍스트를 제공하면 효과적

이라고 보았다 Lee와 Kang(2012)은 개념 구조가 반영된 조직

자의 유형에 따라 기존의 조직자를 분류함과 더불어 각 개념의

유형별 예시 자료로 나타낼 수 있는 조직자를 제시하였는데 선

행조직자의 제시 시기뿐만 아니라 개념의 구조와 특성에 따른

조직자의 선택과 활용에서 개념의 구조가 적절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서의 분석에 개념도를 활용한 Jeong Nam과

Kwon(2013)은 개념도의 활용이 내용 지식의 조직화 개념의

위계파악 개념간의 관계 파악에 보다 용이하고 학습이전에 학

습자의 사전지식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개개인의 능력수준에

따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개념도는 개념을 학습하

기 위해 필요로 하는 선수지식과의 관계를 보여주기보다 개념

을 습득한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서 관련된 다른 개념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서 작성되는데 수업설계에서 새로운 정보

를 가르치기 위한 도입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평가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생의 개념적인 지식을 보여

주기 위한 유용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학습자가 공통된 지식을 공유할지라도 그것을 표상하는

방법은 다르기 때문에 시각적인 방법 언어적인 방법으로 학습

과정을 평가할 수 있다(Heo 2002 Kim amp Kim 2013 Koh amp

Cho 2001 Novak amp Gowin 1984) 또한 과정을 표현하는 수

단으로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에 수업 후 표현되는 개념도를 통

해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이해정도를 파악하고 피드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Novak과 Gowin(1984)은 명제 위계

교차연결 예 등을 점수화하여 유효화할 수 있는 개수에 따라

개념도의 점수를 매기는 방법을 소개하고 학생들이 나타내는

구조적 복잡성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Heo(2002)는

인지구조의 수준을 진단하여 인지적 연속체로서 학생들의 수준

에서 위계적으로 개념도를 전개할수록 링크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되며 실제로 인지구조가 높은 학생

들은 형태의 차이를 보였지만 밀도 있게 전개하였다고 밝혔다

Kim과 Kim(2013)은 학습자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

표상 지식의 구조 등을 외현화하기 위해서 서술식보다 추가적

인 노력 지식 변형의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더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것은 단순한 개념이나 복잡한 개념에 상관없이 나

타나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거나 절차적인 안내를 제공하거나

부분적인 개념도를 제시하여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안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개념도는 이해를 위한 발판으

로 학습의 조건을 향상시키고 교육적 경험을 통합하는 도구로

전통적인 평가의 대안으로 가르치며 배우는 과정에 대한 지원

으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매개적인 표상으로 다

양한 학습전략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학습자들의 요구

와 관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접근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분석대상 및 준거

본 연구는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에서의 내용분석을 통하

여 학습자가 습득할 지식을 구조화하고 의미 있는 학습이 이뤄

질 수 있도록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

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내용분석을

위하여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교과서 10종1)이었으며 관련 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7

Revision Content area Achievement standard Key concept

2007 revised curriculum

가족의 생활

의복의 선택과 관리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와 고쳐 입기

⑵ 가족의 생활

옷의 기능을 알고 옷의 선택을 위한 계획과 구입 방법 등을

이해하며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한다⑶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를 통해 옷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옷의 변형과

수선 활동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옷을 활용하여 개성

있는 옷차림을 한다

기능

선택

계획

구입(구매)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

2009 revised curriculum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middot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5)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의복 선택 및 구입방법을 이해하고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

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하며 의복 구성의 원리

를 이해하여 옷 고쳐 입기와 의복의 재활용을 통해 친환경적

인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다

Table 1 Key concept of lsquoclothing life and reformrsquo in 2007 2009 revised curriculum

용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의생활 전공서적(Cho 2006 Kim

Yoo Lee amp Jeon 2005 Rhee 2003)을 참고하였다 2009 개

정 교육과정에서의 의생활영역은 중학교 1~3학년 가정생활 군

에서 대단원 청소년의 생활의 중단원 985172옷차림과 자기표현985173으로

의복의 의미와 기능 나를 표현하는 옷차림 상황에 맞는 옷차

림 올바른 한복옷차림으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

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에서 의복 마

련 계획과 구입 의복의 손질과 관리 옷 고쳐 입기와 재활용으

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대상은 중단원 영역인 lsquo친환경적 의생활

과 옷고쳐입기rsquo 단원으로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

계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에서의 소단원을 중심으로 상위 중심내

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으며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

분화하여 계층적인 내용요소를 파악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을 선택하기 위해 개정에 따라 대단원명

이 달라졌지만 다루고 있는 핵심내용들이 있는 2007 개정 교육

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기준과 성취기준을 살펴보았

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을 담고 있고 진술문을 통해

교과서의 내용체계의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ltTable1gt)

개념추출을 위해 교과서의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파악하였으며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고려

하여 중단원 소단원을 중심으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은

위에 두고 구체적인 개념을 아래에 두어 상위 중심내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다 구성상 상위개념은 소단원이나 소항목

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으나 상위개념으로 적합하지 않은 소

단원은 상위개념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의생활의 실천에 중점

을 두고 상위개념을 선택하였으며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빈도가

낮은 하위 개념은 배제하여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2 개발과정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념도 작성은 Novak과

Gowin(1984)의 절차를 참고로 하여 Institute for Human amp

Machine Cognition(IHMC)에서 개발된 Cmap Tools V 6022)

을 사용하였다 Cmap Tools은 아직까지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

으나 조작이 간편하며 개념간의 관계를 그리는 전 과정을 기록

할 수 있으며 사진 동영상 웹문서와 같은 시각적 자료를 첨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념도 개발과정은 내용분석에 따라 분류된 핵심개념을 파악

하고 이에 따라 예비개념도(연결선작성-연결어작성-교차선 찾

기) 검토수정 최종 개념도 작성 순으로 ltFigure 2gt와 같이

진행되었다 진행된 과정은 첫째 준거기준에 따라 개념이나 명

제로 표현될 일반적인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그 내용 영역의 중

요한 개념을 확인한 후 개념을 나열하여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

1) 교문사 교학사 금성 두산동아 미래엔컬쳐 삼양미디어 원교재사 지학사 천재교육(이) 천재(최)

2) httpcmapihmcus

16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Standard establishment

Content analysis

Key concept classification

Preliminary concept map

Add of linking phrases

Add of concept link

Look for crosslink

Review

Final concept map

Figure 2 Development process of concept map

적인 개념을 가장 높은 순위로 하여 특정 문제 또는 상황에서

가장 구체적인 개념을 가장 아래로 설정하였다 둘째 가장 중

요하고 포괄적인 개념을 시작으로 그 개념과 관련된 중요한 개

념을 두 번째 개념으로 선택하여 두 개념 사이의 연결선을 그렸

다 셋째 두 개념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그 내용영역으로부터

다른 개념을 골라 관련성을 고려하여 관련되는 개념 단어들 각

각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였다 넷째 학습내용에 대한 중요한

핵심 개념 모두가 포함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하여 전체적으

로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순환적으로 이루어졌

으며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이 적절하

게 전개되는지 각 개념들이 관련 있는 개념끼리 연결되어 있는

지 개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연결어가 잘 표현되었는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개념도를 반복검토하고 추가로 가정교육학

전공교수와 가정교육학 전공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

였다

Ⅳ 연구결과

1 lsquo의복의 선택과 관리rsquo 단원 내용요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생활 군에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은 각 교과서마다 단원명과 전개상에 있어 구성

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

과정 성취기준과 전공 서적을 참고하였지만 준거 설정에 있어

교과서의 내용체계를 고려하여 연관성을 우선시하였기 때문에

상위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올 수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포괄적인 개념은 의복선택 계획 구입(구매) 보관 세탁

의복구성 옷감특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의복선택은 구입 과정까지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의

복계획과 구입을 포함하였으며 의복계획은 의복마련계획으로

의복마련의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을 포함하였다 의

복선택은 의복구입 구입시 고려사항 품질표시로 의복재료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9

단원 범주 영역 세부개념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계획 의복마련계획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

의복선택

의복구입 구입 시기 장소 방법

고려사항기성복선택방법 품질체크 표시 디자인 맞음새 바느질 마름질

품질표시 치수 섬유조성 혼용율 취급상 주의 공인기호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재료 섬유와 옷감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

의복손질

관리방법 오염물제거 얼룩제거

세탁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취급표시

다림질 온도 방법 순서

의복보관보관방법 옷 종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

수납방법 가족별 용도별 계절별

의복수선과 재활용

옷 만들기 의복구성 원리디자인 및 소재 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

질하기 마무리와 평가하기

의복수선 옷 고쳐입기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기 염색 페인

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

재활용 리폼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

친환경패스트 패션 슬로우 패션 3R 운동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소비

Table 2 Content elements of unit

섬유와 옷감으로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으로 의복손질

은 관리방법 세탁 다림질로 나누었으며 관리방법은 오염물제

거 얼룩제거로 세탁은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

취급표시로 다림질은 온도방법 순서로 추출되었다 의복보관

은 보관방법 수납방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보관방법은 옷 종

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으로 수납방법은 가족별 용도별 계절

별로 추출하였다 의복수선과 재활용은 옷만들기 의복수선 재

활용으로 개념을 나눌 수 있었으며 옷 만들기는 의복 구성원리

디자인 및 소재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질하

기 의복수선은 고쳐입기 친환경은 재활용과 친환경으로 추출

하였다 고쳐입기는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

기 염색 페인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

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은 리폼(reform)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upcycle) 친환경은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슬로우 패션(slow fashion) 3R 운동

(reduce reuse recycle) 생산 가공 사용 폐기 과정의 문제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 소비로 추출할 수 있었다(ltTable 2gt)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라 각 내용간의 중복내용과 연결요소를

고려하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

택과 구입rsquo에서는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등 4개 lsquo의복손질과 관

리rsquo에서는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등 3개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

경적 의생활rsquo 등 3개의 개념도이며 각 개념의 내용요소들을 세

분화하여 연결하였다

2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 개념도

1)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개념도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중심개념은 의복마련 계획의 필요성과 의

복조사하기 계획표 작성하기 마련방법 정하기 등이다 의복 구

입 시 만족스러운 의생활을 위해 예산에 맞는 의복계획을 세워

낭비와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바람직한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에 의복마련계획이 필요하다 의복마련계획의 순서의 첫 번째

17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3 Clothing purchase plan

단계인 조사하기에서 의복구매가 필요한 옷과 수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신의 가진 의복의 계절 형태 디자인 사

용 상태 등에 따라 의복의 마련을 계획할 수 있는 의복목록표

를 작성하도록 한다 의복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코트 자켓

점퍼 셔츠 스웨터 스커트 바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계절

에 따라 봄가을 여름 겨울로 나눌 수 있으며 또 잘 입는 옷과

잘 입지 않는 옷들을 나누어 의복목록표로 나타낸다 의복목록

표를 통해 처리해야할 옷들과 마련방법을 결정하는데 잘 입지

않는 옷의 처리에는 기부하기 바꿔 입기 팔기 고쳐 입기 등이

있으며 마련방법으로는 물려입기 빌려입기 새로 구입하기 등

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 필요성을 포

함하여 우선순위 수량 구매비용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구매 장

소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복마련 계획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3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lsquo의복 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의 개념도

의복을 새로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은 구입 장소와 시

기 가격을 고려해야하는데 의복의 구입 장소는 소매점 도매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의복 구입비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입할 의복을

고를 때는 디자인 착용감 바느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디자인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2: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6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Ⅰ 서 론

1 연구배경과 목적

수업상황 속에서 학습을 해나간다는 것은 학습자와 교사 교

과서 교육환경이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자가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학습자가 지식을

연결해가는 과정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는데 Ausubel(1963)

은 설명식 학습을 기계적 학습 무의미 학습이라고 비판한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수 있는 많은

개념과 원리에 적용할 수 있는 유의미 학습을 강조한 바 있다

Ausubel(1963)의 유의미 학습은 학습자는 지식이 형성되는 인

지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학습을 통해 지식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체계와 위계를 이

룬다고 하였다 모든 학문 분야가 위계적으로 조직된 개념구조

를 지닌다고 보고 학문의 최상부에는 추상적 포괄적 일반적

개념들이 자리하고 있어 하부로 내려갈수록 구체적인 개념들이

자리 잡게 되는데 여기서 새로운 학습과제와 학습자의 인지구

조를 관련지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선행조직자를 강조하

였다 선행조직자는 학습과제를 제시하기 이전에 제시되는 일

종의 도입자료로 새로운 학습 내용이 보다 쉽게 기존의 인지 구

조 속에 통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학습보조 자료 혹은 학습의

연결을 돕는 징검다리 역할로 제공하는 자료로 정의할 수 있다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통해 새로운 내용을 받아들여

학습을 향상시키는 이러한 과정을 lsquo배경지식 활용하기rsquo

(Marzano Norford Paynter Pickering amp Gaddy 2005)라고도

할 수 있다 선행조직자의 활용은 이전에 이미 배웠던 내용과

학습내용을 연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단원 안의 각

단원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Ausubel(1963 1968)의 이론을 토대로 Novak과

Gowin(1984)은 학습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개념들 간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를 통하여 지식을 범주화하고 위계적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개념도는 개념과의 관계를 밝혀 속

성을 분류할 수 있고 개념을 깊이 있게 다룰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교과의 내용지식을 조직화할 수 있다 이것은 가장 일반적인

개념이 최상단에 위치하고 아래로 갈수록 구체적인 개념으로

위치하는 일종의 네트워크 또는 맵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네트

워크는 개념을 나타내는 노드(node)와 개념 간의 관계를 나타

내는 연결선들을 가지고 있어 중요한 개념들과 내용들을 간결

하면서도 위계구조를 시각적인 형태로 보여주는 특성이 있다

(Cantildeas et al 2003 Novak amp Gowin 1984)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학습자 혹은 교사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혹

은 언어적으로 개인적으로 혹은 협력적으로 지식을 이해하는

구조적인 흐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습을 스스로

실천해나갈 수 있고 주제를 보는 통찰력 이미 가지고 있던 유

효한 이해를 확인하고 획득된 오개념은 수정해 나갈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공통된 지식을 공유할지라도 그것을 표상하는

방법은 다르기 때문에 명제와 위계적인 관계 개념간의 연결 방

법 등을 파악하여 학습자가 이해정도를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학습을 촉진하는 도구로 고차원적인 사고를 활용하는 수

업전략으로 과정을 평가하는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교육 연구에서 선행되어온 개념도와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사회 과학 교과에서 연구되어 왔다 가정교과에서는 주생활 영

역에서 선행조직자를 수업지도안에 활용한 연구(Lee amp Cho

1996) 자원관리 영역에서 타 교과와의 중복성 분석에 기초한

개념도를 개발한 연구(Cho amp Chae 2007) 식생활 영역에서

그래픽 조직자의 개발한 연구(Koo amp Chae 2009)가 수행된 바

있으나 의생활 영역에서의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의생활 영역

은 교육요구와 선호하는 학습내용에 관련한 연구(Kim amp Lee

2010 Pak amp Lee 2002 Son amp Shin 2006)를 통해 의복의 선

택과 착용 의복재료와 관리 영역에 대한 교육적 요구와 관심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가 높은 단원으로 나타났다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Ministry of Education

2015)에서는 핵심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나타내어 그와 관련

한 내용요소를 학년군에 따라 제시하고 있어 지식과 관련한 내

용요소를 위계화하여 조직하고 있다 내용체계 영역을 크게 인

간발달과 가족 가정생활과 안전 자원 관리와 자립으로 나누고

그에 따른 핵심개념으로 발달 관계 생활문화 안전 관리 생애

설계 등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의생활 영역은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에서 생활문화 개념의 옷 입기와 의생활 예절로 안전

에서 안전한 옷차림으로 자원관리와 자립 영역의 관리개념에

서 옷의 정리와 보관으로 내용요소가 제시되어 있다 실제 생활

과 밀접하게 도움이 되는 의생활 단원의 수업에서 실제적으로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3

관심사는 높지만 수업의 만족도가 높지 않다고 관련 연구

(Moon amp Lee 2009 Park 2007)를 통해 나타나고 있어 지속

적으로 선호되어 온 의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높일 수 있도록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학습으

로 이끌 수 있는 교수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의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을 대상으로 내용요소를 분석하고

이러한 중심 개념에 따라 개념도를 개발하여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이미 2015 개정 교과서가 개발검토 중이기

에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요소를 반영하여 앞으로 의

생활 내용 영역에서 단원을 구성하는 내용요소 간의 관계와 학

습간의 위계를 파악하고 의생활 개념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자

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문제

연구문제 1 2009 개정 교과서별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rsquo 단원의 핵심 내용요소의 체계를 분석한다

연구문제 2 2009 개정 교과서에서 분석된 lsquo친환경적 의생활

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핵심 내용요소를 바탕으

로 개념도를 개발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유의미 학습에서의 선행조직자(advance organizer)

Asubel(1968)은 인간이 새로운 개념을 학습하게 되는 것은

개념과 동등한 표상 또는 이미지가 신경조직 속에 있어 거점 역

할을 하고 있으며 이 거점 역할을 하는 것이 인지구조라고 보았

다 이러한 인지구조가 학습자의 의식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조

직화된 개념이나 아이디어의 집합체로 개념이나 아이디어가 조

직되는 모양은 위계성을 띠고 있어 가장 포괄적인 개념이 상층

에 있고 아래로 갈수록 구체적인 개념이 놓여 있다고 보았다

Asubel은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수 있는 많은 개념과 법칙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유의미 수용학습을 강조하며 유의미한 학

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학습과제가 실사성과 구속성을 지니며

그것이 논리적이어서 학생의 인지구조에 의미 있게 관련지을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유의미 학습은 새로운 지

식이 학생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정착지식과 연결되거나 포섭

되는 과정을 통해서 일어나는데 새로운 학습과제와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관련지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선행조직자이다

선행조직자의 목적은 학습과제의 내용을 설명하고 통합하고

이전에 이미 학습된 내용과 상호연관 혹은 새로운 내용을 구별

해내는 것이다(Joyce Weil amp Calhoun 2004) 또 학생들에게

나중에 제시할 학습내용에 대하여 친숙성을 주고 보다 명확하

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해 주어 유의미한 학습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Mayer 1989) 선행조직자는 단순히 학습내용의

요약이나 개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

는 것과 학습자들이 공부하게 될 내용을 연결해주는 다리역할

을 하는 것이다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개념이나 원리 혹

은 지식을 보다 의미 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학습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특정 학습과제에 관한 지식의 상태를 미리 강화할

수 있는 도입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인

지구조의 기능을 확대하기 위해 적절한 실례 비유 용어 개념

명제 일반화 원리 법칙 등이 사용될 수 있다 Mayer(1979)는

선행조직자가 학습을 촉진하는 이유로 첫째 새로운 학습과제가

주어졌을 때 그 학습과제에 내포되어 있는 개념과 기존의 인지

구조의 개념을 연결시켜주는 유의미한 맥락을 제공해주기 때문

이며 둘째 후속하는 학습과제의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개요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동기를 증가시키고 활발한 부호화 맥락을 촉

진해 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선행조직자의 형태는 상호 관계에 따라 설명조직자(expository

organizer)와 비교조직자(comparative organizer)로 나눌 수 있

다 설명 조직자는 가장 추상적이고 기초적인 개념 그리고 적

은 수의 개념을 제공하며 학생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학습 과제

를 제시할 때 아이디어의 발판을 만들어 주기 위해 그 과제에

대한 개념적 근거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반면 비교 조직자는

상대적으로 친숙한 학습 과제를 학습할 때 사용되며 기존 개념

과 새로운 개념 간의 유사성으로 인한 흔동을방지하기 위하여

개념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기 위해 사용된다(Joyce

16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 Key Concepts and principles in Ausubels assimilation theory

(Source Novak 1993 6)

Weil amp Calhoun 2004 Kwon amp Kim 2006) 이 밖에 여러

학자들이 제시하는 선행조직자의 종류를 보면 선행조직자의 제

시 유형에 따라 이야기형태의 조직자(narrative organizer) 그래

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 물고기뼈 다이어그램(fishbone

diagram) Know-Want-Learn chart(K-W-L) 흐름도(flow

chart) 개념도(concept map)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등으

로 구분한다

선행조직자의 효과는 선행조직자가 추상적이고 함축적인 형

태로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방법이라는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기 전에 생각해볼 수 있

도록 하여 학업성취도를 높여준다 선행조직자의 효과에 관한

연구(Lott 1983 Stone 1983)들은 선행지식을 활성화하는 것

이 훌륭한 학습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러한 측면

에서 선행조직자의 활용은 보다 높은 교육 효과를 가져 온다고

할 수 있다 Novak(1993)은 Asuble의 학습이론에 대한 전체적

인 흐름을 개념도로 나타내었는데 학습이론의 바탕이 되는 여

섯 가지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ltFigure 1gt)

2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Concept map)

1972년 Novak의 교육프로그램에서 Ausubel(1963 1968)의

이론을 근간으로 학습자의 개념적 이해를 표현하는 더 나은 방

법을 찾기 위해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Ausubel의 인지심리학에

서의 기본적인 생각은 학습자가 기존에 지니고 있는 개념과 명

제의 구조 속으로 새로운 명제와 개념이 동화(assimilation)됨으

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여기서 학습자가 지니는 지식

의 구조를 개인의 인지적 구조라고 한다(Novak amp Cantildeas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5

2006) 개념도는 개념과 개념을 연결하는 연결선에 의해 서로

간의 관계를 조직하고 표현하는 시각적 도구로 정의한다

(Novak amp Cantildeas 2007 Novak amp Gowin 1984) 대부분의 개

념은 하나의 단어이고 때로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개념-연

결선-개념의 세 갈래 명제를 형성하는데 개념간의 관계를 기술

한 연결어는 어떤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의미 있는 진술이며 때

로는 이것을 의미단위라고도 한다(Cantildeas et al 2003) 개념과

명제는 일반적으로 가장 포괄적인 것에서 가장 구체적인 것까

지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관련된 지식의 조직을 통해 개념도의

형태로 이해하려고 하는 상황이나 사건과 관련될 수 있기 때문

에 개념도를 위한 맥락이 제공되어야 한다(Novak amp Cantildeas

2007) 개념과 연결선들은 방향성이 없을 수도 일정한 방향성일

수도 양방향일수도 있으며 범주화될 수 있다 개념들과 연결선

들은 어떤 범주화 속에서 인과 관계나 논리적인 관계 등이 연상

적으로 연결되어 여러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이 외에도 개념도

는 개념과 그 연결어를 합치면 하나의 명제 형태의 완전한 문장

이 된다는 특성도 있다

Novak과 Gowin(1984)에 따르면 개념도의 제일 높은 위치에

가장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 위치해 있으며 아래로 더 구

체적인 개념들로 구성되어지며 이러한 위계적 구조뿐만 아니라

동등한 위치에서 개념간의 수평적인 조직 등 개념간의 상호관

계를 조직해 가는 과정이다 위계 관계는 포괄적인 현상을 설명

하는 상위개념 그보다 낮은 위치에서 한정된 현상을 설명하는

하위개념 동등한 위치에서 비슷한 현상을 설명하는 동위개념

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제가 변함에 따라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들의 관계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lsquo어떤 개념이 포함

되어야 하는가rsquo에 대하여 개념도의 바탕이 되는 Ausubel의 이

론에서 추론할 수 있다 단순 암기학습이 아닌 유의미학습이 이

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춰져야 한다

(Novak amp Cantildeas 2006) 첫째 학습할 내용은 개념적으로 명확

하게 학습이 되어야하며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관련 있는 언어

와 사례들로 제시되어야 한다 개념도는 더 구체적인 개념을 배

우기에 앞서 학습자가 가진 일반적인 개념을 확인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개념적인 구조를 개발하는데 정착할 수 있는 보다

명시적인 지식을 통해 학습과제의 계열성을 도움으로써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사전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조건은 주제의 모든 영역에서 충족될 수 있지만 다음

학습에서 어떤 분야의 구체적인 지식을 제시하고자 한다면 개

념구조를 구축하는데 신중하고 명확해야한다 셋째 학습자가

유의미한 학습을 선택해야 한다 교사가 단지 간접적인 통제를

받을 수 있는 한 가지 조건은 학생들이 개념 정의나 명제 진술

또는 계산 절차를 단순히 암기하기보다는 새로운 의미를 사전

지식에 통합하려고 시도함으로써 학습하도록 선택하려는 동기

이다

개념도의 특성은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로 이루어진 지식의

시각적 표현 가장 일반적인 개념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위계적

구조 교차 연결의 포함 사건 또는 대상의 구체적인 예시를 포

함하는 것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리고 개념도와 유사한 인

지도(cognitive map) 지식도(knowledge map) 마인드맵(mind

map) 등이 있는데 개념도의 특성에 비춰 볼 때 지식도는 연결

어가 한정되어 있고 인지도는 개념이 아닌 아이디어가 사각형

내에 제시되며 마인드맵은 연결어 자체가 없다는 점에서 개념

도와는 분명하게 구별된다(Cantildeas et al 2003)

3 관련 선행연구

개념도는 수업 혹은 교수학습 전략에서 의미 있는 학습과정

으로 만드는 효과적인 도구로서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평가

도구로서의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학습을 촉진하는 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습자 혹은 교사

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작성하

는 동안 개별적인 학습을 실천하고 스스로 학습을 구성해나갈

수 있다(Heo 2001 Jonassen Beissner amp Yacci 1993 Lim

2009) 선행연구들은 학습자가 직접 개념도를 개발할 경우 적극

적인 의미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지식구성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기조절력 문제해결과 같은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나

타낸다고 보았다 또한 협력적인 문제해결에서 여러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체계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이해정도나 문

제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공유하게 되며 이를 표출하기 위한 언

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에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Kim 2008 Ryu amp Kwon 2005) 또한 상황에

따라 사고 수준이 다름을 알 수 있는데 Kim(2008)은 학생들이

읽은 텍스트에 대한 지식수준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 개인일 때

16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는 개념도를 그리면서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 것이 합리적 토론 상황일 때는 설명이 제시되지 않은 학생

들이 효과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모형에

있어서도 개인적 상황일 때는 위계형을 사용하고 협력적 상황

일 때는 혼합형을 사용하였으며 이처럼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을

포함하여 개념도의 활용은 지식을 주제에 적합하도록 정교화하

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자기지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둘째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개념도는 학습의 도입자료로

시각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학습과정에서 제시된다면

학습자의 흥미와 주의를 이끌 수 있어 유의미한 학습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Heo amp Kim 2003 Novak Gowin amp

Johansen 1983) 선행조직자로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시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데 Harris와

Hodges(1995)는 사전 지식을 활성하기 위해서 특정 텍스트를

학습하기 전 새로운 읽기자료와 학습자가 가진 배경지식 사이

의 상호암시가 이루어지도록 진술된 텍스트를 제공하면 효과적

이라고 보았다 Lee와 Kang(2012)은 개념 구조가 반영된 조직

자의 유형에 따라 기존의 조직자를 분류함과 더불어 각 개념의

유형별 예시 자료로 나타낼 수 있는 조직자를 제시하였는데 선

행조직자의 제시 시기뿐만 아니라 개념의 구조와 특성에 따른

조직자의 선택과 활용에서 개념의 구조가 적절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서의 분석에 개념도를 활용한 Jeong Nam과

Kwon(2013)은 개념도의 활용이 내용 지식의 조직화 개념의

위계파악 개념간의 관계 파악에 보다 용이하고 학습이전에 학

습자의 사전지식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개개인의 능력수준에

따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개념도는 개념을 학습하

기 위해 필요로 하는 선수지식과의 관계를 보여주기보다 개념

을 습득한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서 관련된 다른 개념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서 작성되는데 수업설계에서 새로운 정보

를 가르치기 위한 도입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평가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생의 개념적인 지식을 보여

주기 위한 유용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학습자가 공통된 지식을 공유할지라도 그것을 표상하는

방법은 다르기 때문에 시각적인 방법 언어적인 방법으로 학습

과정을 평가할 수 있다(Heo 2002 Kim amp Kim 2013 Koh amp

Cho 2001 Novak amp Gowin 1984) 또한 과정을 표현하는 수

단으로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에 수업 후 표현되는 개념도를 통

해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이해정도를 파악하고 피드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Novak과 Gowin(1984)은 명제 위계

교차연결 예 등을 점수화하여 유효화할 수 있는 개수에 따라

개념도의 점수를 매기는 방법을 소개하고 학생들이 나타내는

구조적 복잡성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Heo(2002)는

인지구조의 수준을 진단하여 인지적 연속체로서 학생들의 수준

에서 위계적으로 개념도를 전개할수록 링크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되며 실제로 인지구조가 높은 학생

들은 형태의 차이를 보였지만 밀도 있게 전개하였다고 밝혔다

Kim과 Kim(2013)은 학습자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

표상 지식의 구조 등을 외현화하기 위해서 서술식보다 추가적

인 노력 지식 변형의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더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것은 단순한 개념이나 복잡한 개념에 상관없이 나

타나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거나 절차적인 안내를 제공하거나

부분적인 개념도를 제시하여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안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개념도는 이해를 위한 발판으

로 학습의 조건을 향상시키고 교육적 경험을 통합하는 도구로

전통적인 평가의 대안으로 가르치며 배우는 과정에 대한 지원

으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매개적인 표상으로 다

양한 학습전략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학습자들의 요구

와 관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접근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분석대상 및 준거

본 연구는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에서의 내용분석을 통하

여 학습자가 습득할 지식을 구조화하고 의미 있는 학습이 이뤄

질 수 있도록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

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내용분석을

위하여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교과서 10종1)이었으며 관련 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7

Revision Content area Achievement standard Key concept

2007 revised curriculum

가족의 생활

의복의 선택과 관리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와 고쳐 입기

⑵ 가족의 생활

옷의 기능을 알고 옷의 선택을 위한 계획과 구입 방법 등을

이해하며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한다⑶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를 통해 옷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옷의 변형과

수선 활동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옷을 활용하여 개성

있는 옷차림을 한다

기능

선택

계획

구입(구매)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

2009 revised curriculum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middot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5)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의복 선택 및 구입방법을 이해하고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

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하며 의복 구성의 원리

를 이해하여 옷 고쳐 입기와 의복의 재활용을 통해 친환경적

인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다

Table 1 Key concept of lsquoclothing life and reformrsquo in 2007 2009 revised curriculum

용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의생활 전공서적(Cho 2006 Kim

Yoo Lee amp Jeon 2005 Rhee 2003)을 참고하였다 2009 개

정 교육과정에서의 의생활영역은 중학교 1~3학년 가정생활 군

에서 대단원 청소년의 생활의 중단원 985172옷차림과 자기표현985173으로

의복의 의미와 기능 나를 표현하는 옷차림 상황에 맞는 옷차

림 올바른 한복옷차림으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

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에서 의복 마

련 계획과 구입 의복의 손질과 관리 옷 고쳐 입기와 재활용으

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대상은 중단원 영역인 lsquo친환경적 의생활

과 옷고쳐입기rsquo 단원으로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

계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에서의 소단원을 중심으로 상위 중심내

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으며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

분화하여 계층적인 내용요소를 파악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을 선택하기 위해 개정에 따라 대단원명

이 달라졌지만 다루고 있는 핵심내용들이 있는 2007 개정 교육

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기준과 성취기준을 살펴보았

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을 담고 있고 진술문을 통해

교과서의 내용체계의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ltTable1gt)

개념추출을 위해 교과서의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파악하였으며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고려

하여 중단원 소단원을 중심으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은

위에 두고 구체적인 개념을 아래에 두어 상위 중심내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다 구성상 상위개념은 소단원이나 소항목

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으나 상위개념으로 적합하지 않은 소

단원은 상위개념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의생활의 실천에 중점

을 두고 상위개념을 선택하였으며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빈도가

낮은 하위 개념은 배제하여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2 개발과정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념도 작성은 Novak과

Gowin(1984)의 절차를 참고로 하여 Institute for Human amp

Machine Cognition(IHMC)에서 개발된 Cmap Tools V 6022)

을 사용하였다 Cmap Tools은 아직까지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

으나 조작이 간편하며 개념간의 관계를 그리는 전 과정을 기록

할 수 있으며 사진 동영상 웹문서와 같은 시각적 자료를 첨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념도 개발과정은 내용분석에 따라 분류된 핵심개념을 파악

하고 이에 따라 예비개념도(연결선작성-연결어작성-교차선 찾

기) 검토수정 최종 개념도 작성 순으로 ltFigure 2gt와 같이

진행되었다 진행된 과정은 첫째 준거기준에 따라 개념이나 명

제로 표현될 일반적인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그 내용 영역의 중

요한 개념을 확인한 후 개념을 나열하여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

1) 교문사 교학사 금성 두산동아 미래엔컬쳐 삼양미디어 원교재사 지학사 천재교육(이) 천재(최)

2) httpcmapihmcus

16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Standard establishment

Content analysis

Key concept classification

Preliminary concept map

Add of linking phrases

Add of concept link

Look for crosslink

Review

Final concept map

Figure 2 Development process of concept map

적인 개념을 가장 높은 순위로 하여 특정 문제 또는 상황에서

가장 구체적인 개념을 가장 아래로 설정하였다 둘째 가장 중

요하고 포괄적인 개념을 시작으로 그 개념과 관련된 중요한 개

념을 두 번째 개념으로 선택하여 두 개념 사이의 연결선을 그렸

다 셋째 두 개념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그 내용영역으로부터

다른 개념을 골라 관련성을 고려하여 관련되는 개념 단어들 각

각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였다 넷째 학습내용에 대한 중요한

핵심 개념 모두가 포함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하여 전체적으

로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순환적으로 이루어졌

으며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이 적절하

게 전개되는지 각 개념들이 관련 있는 개념끼리 연결되어 있는

지 개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연결어가 잘 표현되었는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개념도를 반복검토하고 추가로 가정교육학

전공교수와 가정교육학 전공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

였다

Ⅳ 연구결과

1 lsquo의복의 선택과 관리rsquo 단원 내용요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생활 군에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은 각 교과서마다 단원명과 전개상에 있어 구성

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

과정 성취기준과 전공 서적을 참고하였지만 준거 설정에 있어

교과서의 내용체계를 고려하여 연관성을 우선시하였기 때문에

상위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올 수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포괄적인 개념은 의복선택 계획 구입(구매) 보관 세탁

의복구성 옷감특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의복선택은 구입 과정까지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의

복계획과 구입을 포함하였으며 의복계획은 의복마련계획으로

의복마련의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을 포함하였다 의

복선택은 의복구입 구입시 고려사항 품질표시로 의복재료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9

단원 범주 영역 세부개념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계획 의복마련계획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

의복선택

의복구입 구입 시기 장소 방법

고려사항기성복선택방법 품질체크 표시 디자인 맞음새 바느질 마름질

품질표시 치수 섬유조성 혼용율 취급상 주의 공인기호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재료 섬유와 옷감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

의복손질

관리방법 오염물제거 얼룩제거

세탁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취급표시

다림질 온도 방법 순서

의복보관보관방법 옷 종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

수납방법 가족별 용도별 계절별

의복수선과 재활용

옷 만들기 의복구성 원리디자인 및 소재 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

질하기 마무리와 평가하기

의복수선 옷 고쳐입기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기 염색 페인

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

재활용 리폼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

친환경패스트 패션 슬로우 패션 3R 운동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소비

Table 2 Content elements of unit

섬유와 옷감으로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으로 의복손질

은 관리방법 세탁 다림질로 나누었으며 관리방법은 오염물제

거 얼룩제거로 세탁은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

취급표시로 다림질은 온도방법 순서로 추출되었다 의복보관

은 보관방법 수납방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보관방법은 옷 종

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으로 수납방법은 가족별 용도별 계절

별로 추출하였다 의복수선과 재활용은 옷만들기 의복수선 재

활용으로 개념을 나눌 수 있었으며 옷 만들기는 의복 구성원리

디자인 및 소재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질하

기 의복수선은 고쳐입기 친환경은 재활용과 친환경으로 추출

하였다 고쳐입기는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

기 염색 페인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

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은 리폼(reform)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upcycle) 친환경은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슬로우 패션(slow fashion) 3R 운동

(reduce reuse recycle) 생산 가공 사용 폐기 과정의 문제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 소비로 추출할 수 있었다(ltTable 2gt)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라 각 내용간의 중복내용과 연결요소를

고려하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

택과 구입rsquo에서는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등 4개 lsquo의복손질과 관

리rsquo에서는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등 3개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

경적 의생활rsquo 등 3개의 개념도이며 각 개념의 내용요소들을 세

분화하여 연결하였다

2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 개념도

1)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개념도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중심개념은 의복마련 계획의 필요성과 의

복조사하기 계획표 작성하기 마련방법 정하기 등이다 의복 구

입 시 만족스러운 의생활을 위해 예산에 맞는 의복계획을 세워

낭비와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바람직한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에 의복마련계획이 필요하다 의복마련계획의 순서의 첫 번째

17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3 Clothing purchase plan

단계인 조사하기에서 의복구매가 필요한 옷과 수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신의 가진 의복의 계절 형태 디자인 사

용 상태 등에 따라 의복의 마련을 계획할 수 있는 의복목록표

를 작성하도록 한다 의복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코트 자켓

점퍼 셔츠 스웨터 스커트 바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계절

에 따라 봄가을 여름 겨울로 나눌 수 있으며 또 잘 입는 옷과

잘 입지 않는 옷들을 나누어 의복목록표로 나타낸다 의복목록

표를 통해 처리해야할 옷들과 마련방법을 결정하는데 잘 입지

않는 옷의 처리에는 기부하기 바꿔 입기 팔기 고쳐 입기 등이

있으며 마련방법으로는 물려입기 빌려입기 새로 구입하기 등

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 필요성을 포

함하여 우선순위 수량 구매비용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구매 장

소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복마련 계획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3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lsquo의복 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의 개념도

의복을 새로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은 구입 장소와 시

기 가격을 고려해야하는데 의복의 구입 장소는 소매점 도매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의복 구입비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입할 의복을

고를 때는 디자인 착용감 바느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디자인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3: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3

관심사는 높지만 수업의 만족도가 높지 않다고 관련 연구

(Moon amp Lee 2009 Park 2007)를 통해 나타나고 있어 지속

적으로 선호되어 온 의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높일 수 있도록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학습으

로 이끌 수 있는 교수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의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을 대상으로 내용요소를 분석하고

이러한 중심 개념에 따라 개념도를 개발하여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이미 2015 개정 교과서가 개발검토 중이기

에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요소를 반영하여 앞으로 의

생활 내용 영역에서 단원을 구성하는 내용요소 간의 관계와 학

습간의 위계를 파악하고 의생활 개념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자

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문제

연구문제 1 2009 개정 교과서별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rsquo 단원의 핵심 내용요소의 체계를 분석한다

연구문제 2 2009 개정 교과서에서 분석된 lsquo친환경적 의생활

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핵심 내용요소를 바탕으

로 개념도를 개발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유의미 학습에서의 선행조직자(advance organizer)

Asubel(1968)은 인간이 새로운 개념을 학습하게 되는 것은

개념과 동등한 표상 또는 이미지가 신경조직 속에 있어 거점 역

할을 하고 있으며 이 거점 역할을 하는 것이 인지구조라고 보았

다 이러한 인지구조가 학습자의 의식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조

직화된 개념이나 아이디어의 집합체로 개념이나 아이디어가 조

직되는 모양은 위계성을 띠고 있어 가장 포괄적인 개념이 상층

에 있고 아래로 갈수록 구체적인 개념이 놓여 있다고 보았다

Asubel은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수 있는 많은 개념과 법칙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유의미 수용학습을 강조하며 유의미한 학

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학습과제가 실사성과 구속성을 지니며

그것이 논리적이어서 학생의 인지구조에 의미 있게 관련지을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유의미 학습은 새로운 지

식이 학생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정착지식과 연결되거나 포섭

되는 과정을 통해서 일어나는데 새로운 학습과제와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관련지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선행조직자이다

선행조직자의 목적은 학습과제의 내용을 설명하고 통합하고

이전에 이미 학습된 내용과 상호연관 혹은 새로운 내용을 구별

해내는 것이다(Joyce Weil amp Calhoun 2004) 또 학생들에게

나중에 제시할 학습내용에 대하여 친숙성을 주고 보다 명확하

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해 주어 유의미한 학습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Mayer 1989) 선행조직자는 단순히 학습내용의

요약이나 개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

는 것과 학습자들이 공부하게 될 내용을 연결해주는 다리역할

을 하는 것이다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개념이나 원리 혹

은 지식을 보다 의미 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학습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특정 학습과제에 관한 지식의 상태를 미리 강화할

수 있는 도입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인

지구조의 기능을 확대하기 위해 적절한 실례 비유 용어 개념

명제 일반화 원리 법칙 등이 사용될 수 있다 Mayer(1979)는

선행조직자가 학습을 촉진하는 이유로 첫째 새로운 학습과제가

주어졌을 때 그 학습과제에 내포되어 있는 개념과 기존의 인지

구조의 개념을 연결시켜주는 유의미한 맥락을 제공해주기 때문

이며 둘째 후속하는 학습과제의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개요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동기를 증가시키고 활발한 부호화 맥락을 촉

진해 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선행조직자의 형태는 상호 관계에 따라 설명조직자(expository

organizer)와 비교조직자(comparative organizer)로 나눌 수 있

다 설명 조직자는 가장 추상적이고 기초적인 개념 그리고 적

은 수의 개념을 제공하며 학생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학습 과제

를 제시할 때 아이디어의 발판을 만들어 주기 위해 그 과제에

대한 개념적 근거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반면 비교 조직자는

상대적으로 친숙한 학습 과제를 학습할 때 사용되며 기존 개념

과 새로운 개념 간의 유사성으로 인한 흔동을방지하기 위하여

개념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기 위해 사용된다(Joyce

16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 Key Concepts and principles in Ausubels assimilation theory

(Source Novak 1993 6)

Weil amp Calhoun 2004 Kwon amp Kim 2006) 이 밖에 여러

학자들이 제시하는 선행조직자의 종류를 보면 선행조직자의 제

시 유형에 따라 이야기형태의 조직자(narrative organizer) 그래

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 물고기뼈 다이어그램(fishbone

diagram) Know-Want-Learn chart(K-W-L) 흐름도(flow

chart) 개념도(concept map)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등으

로 구분한다

선행조직자의 효과는 선행조직자가 추상적이고 함축적인 형

태로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방법이라는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기 전에 생각해볼 수 있

도록 하여 학업성취도를 높여준다 선행조직자의 효과에 관한

연구(Lott 1983 Stone 1983)들은 선행지식을 활성화하는 것

이 훌륭한 학습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러한 측면

에서 선행조직자의 활용은 보다 높은 교육 효과를 가져 온다고

할 수 있다 Novak(1993)은 Asuble의 학습이론에 대한 전체적

인 흐름을 개념도로 나타내었는데 학습이론의 바탕이 되는 여

섯 가지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ltFigure 1gt)

2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Concept map)

1972년 Novak의 교육프로그램에서 Ausubel(1963 1968)의

이론을 근간으로 학습자의 개념적 이해를 표현하는 더 나은 방

법을 찾기 위해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Ausubel의 인지심리학에

서의 기본적인 생각은 학습자가 기존에 지니고 있는 개념과 명

제의 구조 속으로 새로운 명제와 개념이 동화(assimilation)됨으

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여기서 학습자가 지니는 지식

의 구조를 개인의 인지적 구조라고 한다(Novak amp Cantildeas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5

2006) 개념도는 개념과 개념을 연결하는 연결선에 의해 서로

간의 관계를 조직하고 표현하는 시각적 도구로 정의한다

(Novak amp Cantildeas 2007 Novak amp Gowin 1984) 대부분의 개

념은 하나의 단어이고 때로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개념-연

결선-개념의 세 갈래 명제를 형성하는데 개념간의 관계를 기술

한 연결어는 어떤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의미 있는 진술이며 때

로는 이것을 의미단위라고도 한다(Cantildeas et al 2003) 개념과

명제는 일반적으로 가장 포괄적인 것에서 가장 구체적인 것까

지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관련된 지식의 조직을 통해 개념도의

형태로 이해하려고 하는 상황이나 사건과 관련될 수 있기 때문

에 개념도를 위한 맥락이 제공되어야 한다(Novak amp Cantildeas

2007) 개념과 연결선들은 방향성이 없을 수도 일정한 방향성일

수도 양방향일수도 있으며 범주화될 수 있다 개념들과 연결선

들은 어떤 범주화 속에서 인과 관계나 논리적인 관계 등이 연상

적으로 연결되어 여러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이 외에도 개념도

는 개념과 그 연결어를 합치면 하나의 명제 형태의 완전한 문장

이 된다는 특성도 있다

Novak과 Gowin(1984)에 따르면 개념도의 제일 높은 위치에

가장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 위치해 있으며 아래로 더 구

체적인 개념들로 구성되어지며 이러한 위계적 구조뿐만 아니라

동등한 위치에서 개념간의 수평적인 조직 등 개념간의 상호관

계를 조직해 가는 과정이다 위계 관계는 포괄적인 현상을 설명

하는 상위개념 그보다 낮은 위치에서 한정된 현상을 설명하는

하위개념 동등한 위치에서 비슷한 현상을 설명하는 동위개념

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제가 변함에 따라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들의 관계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lsquo어떤 개념이 포함

되어야 하는가rsquo에 대하여 개념도의 바탕이 되는 Ausubel의 이

론에서 추론할 수 있다 단순 암기학습이 아닌 유의미학습이 이

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춰져야 한다

(Novak amp Cantildeas 2006) 첫째 학습할 내용은 개념적으로 명확

하게 학습이 되어야하며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관련 있는 언어

와 사례들로 제시되어야 한다 개념도는 더 구체적인 개념을 배

우기에 앞서 학습자가 가진 일반적인 개념을 확인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개념적인 구조를 개발하는데 정착할 수 있는 보다

명시적인 지식을 통해 학습과제의 계열성을 도움으로써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사전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조건은 주제의 모든 영역에서 충족될 수 있지만 다음

학습에서 어떤 분야의 구체적인 지식을 제시하고자 한다면 개

념구조를 구축하는데 신중하고 명확해야한다 셋째 학습자가

유의미한 학습을 선택해야 한다 교사가 단지 간접적인 통제를

받을 수 있는 한 가지 조건은 학생들이 개념 정의나 명제 진술

또는 계산 절차를 단순히 암기하기보다는 새로운 의미를 사전

지식에 통합하려고 시도함으로써 학습하도록 선택하려는 동기

이다

개념도의 특성은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로 이루어진 지식의

시각적 표현 가장 일반적인 개념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위계적

구조 교차 연결의 포함 사건 또는 대상의 구체적인 예시를 포

함하는 것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리고 개념도와 유사한 인

지도(cognitive map) 지식도(knowledge map) 마인드맵(mind

map) 등이 있는데 개념도의 특성에 비춰 볼 때 지식도는 연결

어가 한정되어 있고 인지도는 개념이 아닌 아이디어가 사각형

내에 제시되며 마인드맵은 연결어 자체가 없다는 점에서 개념

도와는 분명하게 구별된다(Cantildeas et al 2003)

3 관련 선행연구

개념도는 수업 혹은 교수학습 전략에서 의미 있는 학습과정

으로 만드는 효과적인 도구로서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평가

도구로서의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학습을 촉진하는 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습자 혹은 교사

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작성하

는 동안 개별적인 학습을 실천하고 스스로 학습을 구성해나갈

수 있다(Heo 2001 Jonassen Beissner amp Yacci 1993 Lim

2009) 선행연구들은 학습자가 직접 개념도를 개발할 경우 적극

적인 의미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지식구성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기조절력 문제해결과 같은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나

타낸다고 보았다 또한 협력적인 문제해결에서 여러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체계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이해정도나 문

제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공유하게 되며 이를 표출하기 위한 언

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에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Kim 2008 Ryu amp Kwon 2005) 또한 상황에

따라 사고 수준이 다름을 알 수 있는데 Kim(2008)은 학생들이

읽은 텍스트에 대한 지식수준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 개인일 때

16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는 개념도를 그리면서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 것이 합리적 토론 상황일 때는 설명이 제시되지 않은 학생

들이 효과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모형에

있어서도 개인적 상황일 때는 위계형을 사용하고 협력적 상황

일 때는 혼합형을 사용하였으며 이처럼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을

포함하여 개념도의 활용은 지식을 주제에 적합하도록 정교화하

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자기지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둘째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개념도는 학습의 도입자료로

시각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학습과정에서 제시된다면

학습자의 흥미와 주의를 이끌 수 있어 유의미한 학습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Heo amp Kim 2003 Novak Gowin amp

Johansen 1983) 선행조직자로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시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데 Harris와

Hodges(1995)는 사전 지식을 활성하기 위해서 특정 텍스트를

학습하기 전 새로운 읽기자료와 학습자가 가진 배경지식 사이

의 상호암시가 이루어지도록 진술된 텍스트를 제공하면 효과적

이라고 보았다 Lee와 Kang(2012)은 개념 구조가 반영된 조직

자의 유형에 따라 기존의 조직자를 분류함과 더불어 각 개념의

유형별 예시 자료로 나타낼 수 있는 조직자를 제시하였는데 선

행조직자의 제시 시기뿐만 아니라 개념의 구조와 특성에 따른

조직자의 선택과 활용에서 개념의 구조가 적절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서의 분석에 개념도를 활용한 Jeong Nam과

Kwon(2013)은 개념도의 활용이 내용 지식의 조직화 개념의

위계파악 개념간의 관계 파악에 보다 용이하고 학습이전에 학

습자의 사전지식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개개인의 능력수준에

따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개념도는 개념을 학습하

기 위해 필요로 하는 선수지식과의 관계를 보여주기보다 개념

을 습득한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서 관련된 다른 개념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서 작성되는데 수업설계에서 새로운 정보

를 가르치기 위한 도입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평가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생의 개념적인 지식을 보여

주기 위한 유용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학습자가 공통된 지식을 공유할지라도 그것을 표상하는

방법은 다르기 때문에 시각적인 방법 언어적인 방법으로 학습

과정을 평가할 수 있다(Heo 2002 Kim amp Kim 2013 Koh amp

Cho 2001 Novak amp Gowin 1984) 또한 과정을 표현하는 수

단으로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에 수업 후 표현되는 개념도를 통

해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이해정도를 파악하고 피드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Novak과 Gowin(1984)은 명제 위계

교차연결 예 등을 점수화하여 유효화할 수 있는 개수에 따라

개념도의 점수를 매기는 방법을 소개하고 학생들이 나타내는

구조적 복잡성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Heo(2002)는

인지구조의 수준을 진단하여 인지적 연속체로서 학생들의 수준

에서 위계적으로 개념도를 전개할수록 링크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되며 실제로 인지구조가 높은 학생

들은 형태의 차이를 보였지만 밀도 있게 전개하였다고 밝혔다

Kim과 Kim(2013)은 학습자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

표상 지식의 구조 등을 외현화하기 위해서 서술식보다 추가적

인 노력 지식 변형의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더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것은 단순한 개념이나 복잡한 개념에 상관없이 나

타나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거나 절차적인 안내를 제공하거나

부분적인 개념도를 제시하여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안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개념도는 이해를 위한 발판으

로 학습의 조건을 향상시키고 교육적 경험을 통합하는 도구로

전통적인 평가의 대안으로 가르치며 배우는 과정에 대한 지원

으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매개적인 표상으로 다

양한 학습전략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학습자들의 요구

와 관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접근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분석대상 및 준거

본 연구는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에서의 내용분석을 통하

여 학습자가 습득할 지식을 구조화하고 의미 있는 학습이 이뤄

질 수 있도록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

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내용분석을

위하여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교과서 10종1)이었으며 관련 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7

Revision Content area Achievement standard Key concept

2007 revised curriculum

가족의 생활

의복의 선택과 관리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와 고쳐 입기

⑵ 가족의 생활

옷의 기능을 알고 옷의 선택을 위한 계획과 구입 방법 등을

이해하며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한다⑶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를 통해 옷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옷의 변형과

수선 활동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옷을 활용하여 개성

있는 옷차림을 한다

기능

선택

계획

구입(구매)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

2009 revised curriculum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middot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5)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의복 선택 및 구입방법을 이해하고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

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하며 의복 구성의 원리

를 이해하여 옷 고쳐 입기와 의복의 재활용을 통해 친환경적

인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다

Table 1 Key concept of lsquoclothing life and reformrsquo in 2007 2009 revised curriculum

용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의생활 전공서적(Cho 2006 Kim

Yoo Lee amp Jeon 2005 Rhee 2003)을 참고하였다 2009 개

정 교육과정에서의 의생활영역은 중학교 1~3학년 가정생활 군

에서 대단원 청소년의 생활의 중단원 985172옷차림과 자기표현985173으로

의복의 의미와 기능 나를 표현하는 옷차림 상황에 맞는 옷차

림 올바른 한복옷차림으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

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에서 의복 마

련 계획과 구입 의복의 손질과 관리 옷 고쳐 입기와 재활용으

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대상은 중단원 영역인 lsquo친환경적 의생활

과 옷고쳐입기rsquo 단원으로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

계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에서의 소단원을 중심으로 상위 중심내

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으며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

분화하여 계층적인 내용요소를 파악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을 선택하기 위해 개정에 따라 대단원명

이 달라졌지만 다루고 있는 핵심내용들이 있는 2007 개정 교육

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기준과 성취기준을 살펴보았

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을 담고 있고 진술문을 통해

교과서의 내용체계의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ltTable1gt)

개념추출을 위해 교과서의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파악하였으며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고려

하여 중단원 소단원을 중심으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은

위에 두고 구체적인 개념을 아래에 두어 상위 중심내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다 구성상 상위개념은 소단원이나 소항목

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으나 상위개념으로 적합하지 않은 소

단원은 상위개념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의생활의 실천에 중점

을 두고 상위개념을 선택하였으며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빈도가

낮은 하위 개념은 배제하여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2 개발과정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념도 작성은 Novak과

Gowin(1984)의 절차를 참고로 하여 Institute for Human amp

Machine Cognition(IHMC)에서 개발된 Cmap Tools V 6022)

을 사용하였다 Cmap Tools은 아직까지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

으나 조작이 간편하며 개념간의 관계를 그리는 전 과정을 기록

할 수 있으며 사진 동영상 웹문서와 같은 시각적 자료를 첨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념도 개발과정은 내용분석에 따라 분류된 핵심개념을 파악

하고 이에 따라 예비개념도(연결선작성-연결어작성-교차선 찾

기) 검토수정 최종 개념도 작성 순으로 ltFigure 2gt와 같이

진행되었다 진행된 과정은 첫째 준거기준에 따라 개념이나 명

제로 표현될 일반적인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그 내용 영역의 중

요한 개념을 확인한 후 개념을 나열하여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

1) 교문사 교학사 금성 두산동아 미래엔컬쳐 삼양미디어 원교재사 지학사 천재교육(이) 천재(최)

2) httpcmapihmcus

16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Standard establishment

Content analysis

Key concept classification

Preliminary concept map

Add of linking phrases

Add of concept link

Look for crosslink

Review

Final concept map

Figure 2 Development process of concept map

적인 개념을 가장 높은 순위로 하여 특정 문제 또는 상황에서

가장 구체적인 개념을 가장 아래로 설정하였다 둘째 가장 중

요하고 포괄적인 개념을 시작으로 그 개념과 관련된 중요한 개

념을 두 번째 개념으로 선택하여 두 개념 사이의 연결선을 그렸

다 셋째 두 개념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그 내용영역으로부터

다른 개념을 골라 관련성을 고려하여 관련되는 개념 단어들 각

각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였다 넷째 학습내용에 대한 중요한

핵심 개념 모두가 포함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하여 전체적으

로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순환적으로 이루어졌

으며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이 적절하

게 전개되는지 각 개념들이 관련 있는 개념끼리 연결되어 있는

지 개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연결어가 잘 표현되었는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개념도를 반복검토하고 추가로 가정교육학

전공교수와 가정교육학 전공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

였다

Ⅳ 연구결과

1 lsquo의복의 선택과 관리rsquo 단원 내용요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생활 군에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은 각 교과서마다 단원명과 전개상에 있어 구성

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

과정 성취기준과 전공 서적을 참고하였지만 준거 설정에 있어

교과서의 내용체계를 고려하여 연관성을 우선시하였기 때문에

상위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올 수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포괄적인 개념은 의복선택 계획 구입(구매) 보관 세탁

의복구성 옷감특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의복선택은 구입 과정까지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의

복계획과 구입을 포함하였으며 의복계획은 의복마련계획으로

의복마련의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을 포함하였다 의

복선택은 의복구입 구입시 고려사항 품질표시로 의복재료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9

단원 범주 영역 세부개념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계획 의복마련계획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

의복선택

의복구입 구입 시기 장소 방법

고려사항기성복선택방법 품질체크 표시 디자인 맞음새 바느질 마름질

품질표시 치수 섬유조성 혼용율 취급상 주의 공인기호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재료 섬유와 옷감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

의복손질

관리방법 오염물제거 얼룩제거

세탁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취급표시

다림질 온도 방법 순서

의복보관보관방법 옷 종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

수납방법 가족별 용도별 계절별

의복수선과 재활용

옷 만들기 의복구성 원리디자인 및 소재 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

질하기 마무리와 평가하기

의복수선 옷 고쳐입기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기 염색 페인

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

재활용 리폼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

친환경패스트 패션 슬로우 패션 3R 운동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소비

Table 2 Content elements of unit

섬유와 옷감으로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으로 의복손질

은 관리방법 세탁 다림질로 나누었으며 관리방법은 오염물제

거 얼룩제거로 세탁은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

취급표시로 다림질은 온도방법 순서로 추출되었다 의복보관

은 보관방법 수납방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보관방법은 옷 종

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으로 수납방법은 가족별 용도별 계절

별로 추출하였다 의복수선과 재활용은 옷만들기 의복수선 재

활용으로 개념을 나눌 수 있었으며 옷 만들기는 의복 구성원리

디자인 및 소재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질하

기 의복수선은 고쳐입기 친환경은 재활용과 친환경으로 추출

하였다 고쳐입기는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

기 염색 페인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

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은 리폼(reform)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upcycle) 친환경은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슬로우 패션(slow fashion) 3R 운동

(reduce reuse recycle) 생산 가공 사용 폐기 과정의 문제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 소비로 추출할 수 있었다(ltTable 2gt)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라 각 내용간의 중복내용과 연결요소를

고려하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

택과 구입rsquo에서는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등 4개 lsquo의복손질과 관

리rsquo에서는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등 3개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

경적 의생활rsquo 등 3개의 개념도이며 각 개념의 내용요소들을 세

분화하여 연결하였다

2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 개념도

1)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개념도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중심개념은 의복마련 계획의 필요성과 의

복조사하기 계획표 작성하기 마련방법 정하기 등이다 의복 구

입 시 만족스러운 의생활을 위해 예산에 맞는 의복계획을 세워

낭비와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바람직한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에 의복마련계획이 필요하다 의복마련계획의 순서의 첫 번째

17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3 Clothing purchase plan

단계인 조사하기에서 의복구매가 필요한 옷과 수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신의 가진 의복의 계절 형태 디자인 사

용 상태 등에 따라 의복의 마련을 계획할 수 있는 의복목록표

를 작성하도록 한다 의복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코트 자켓

점퍼 셔츠 스웨터 스커트 바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계절

에 따라 봄가을 여름 겨울로 나눌 수 있으며 또 잘 입는 옷과

잘 입지 않는 옷들을 나누어 의복목록표로 나타낸다 의복목록

표를 통해 처리해야할 옷들과 마련방법을 결정하는데 잘 입지

않는 옷의 처리에는 기부하기 바꿔 입기 팔기 고쳐 입기 등이

있으며 마련방법으로는 물려입기 빌려입기 새로 구입하기 등

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 필요성을 포

함하여 우선순위 수량 구매비용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구매 장

소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복마련 계획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3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lsquo의복 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의 개념도

의복을 새로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은 구입 장소와 시

기 가격을 고려해야하는데 의복의 구입 장소는 소매점 도매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의복 구입비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입할 의복을

고를 때는 디자인 착용감 바느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디자인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4: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6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 Key Concepts and principles in Ausubels assimilation theory

(Source Novak 1993 6)

Weil amp Calhoun 2004 Kwon amp Kim 2006) 이 밖에 여러

학자들이 제시하는 선행조직자의 종류를 보면 선행조직자의 제

시 유형에 따라 이야기형태의 조직자(narrative organizer) 그래

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 물고기뼈 다이어그램(fishbone

diagram) Know-Want-Learn chart(K-W-L) 흐름도(flow

chart) 개념도(concept map)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등으

로 구분한다

선행조직자의 효과는 선행조직자가 추상적이고 함축적인 형

태로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방법이라는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기 전에 생각해볼 수 있

도록 하여 학업성취도를 높여준다 선행조직자의 효과에 관한

연구(Lott 1983 Stone 1983)들은 선행지식을 활성화하는 것

이 훌륭한 학습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러한 측면

에서 선행조직자의 활용은 보다 높은 교육 효과를 가져 온다고

할 수 있다 Novak(1993)은 Asuble의 학습이론에 대한 전체적

인 흐름을 개념도로 나타내었는데 학습이론의 바탕이 되는 여

섯 가지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ltFigure 1gt)

2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Concept map)

1972년 Novak의 교육프로그램에서 Ausubel(1963 1968)의

이론을 근간으로 학습자의 개념적 이해를 표현하는 더 나은 방

법을 찾기 위해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Ausubel의 인지심리학에

서의 기본적인 생각은 학습자가 기존에 지니고 있는 개념과 명

제의 구조 속으로 새로운 명제와 개념이 동화(assimilation)됨으

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여기서 학습자가 지니는 지식

의 구조를 개인의 인지적 구조라고 한다(Novak amp Cantildeas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5

2006) 개념도는 개념과 개념을 연결하는 연결선에 의해 서로

간의 관계를 조직하고 표현하는 시각적 도구로 정의한다

(Novak amp Cantildeas 2007 Novak amp Gowin 1984) 대부분의 개

념은 하나의 단어이고 때로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개념-연

결선-개념의 세 갈래 명제를 형성하는데 개념간의 관계를 기술

한 연결어는 어떤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의미 있는 진술이며 때

로는 이것을 의미단위라고도 한다(Cantildeas et al 2003) 개념과

명제는 일반적으로 가장 포괄적인 것에서 가장 구체적인 것까

지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관련된 지식의 조직을 통해 개념도의

형태로 이해하려고 하는 상황이나 사건과 관련될 수 있기 때문

에 개념도를 위한 맥락이 제공되어야 한다(Novak amp Cantildeas

2007) 개념과 연결선들은 방향성이 없을 수도 일정한 방향성일

수도 양방향일수도 있으며 범주화될 수 있다 개념들과 연결선

들은 어떤 범주화 속에서 인과 관계나 논리적인 관계 등이 연상

적으로 연결되어 여러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이 외에도 개념도

는 개념과 그 연결어를 합치면 하나의 명제 형태의 완전한 문장

이 된다는 특성도 있다

Novak과 Gowin(1984)에 따르면 개념도의 제일 높은 위치에

가장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 위치해 있으며 아래로 더 구

체적인 개념들로 구성되어지며 이러한 위계적 구조뿐만 아니라

동등한 위치에서 개념간의 수평적인 조직 등 개념간의 상호관

계를 조직해 가는 과정이다 위계 관계는 포괄적인 현상을 설명

하는 상위개념 그보다 낮은 위치에서 한정된 현상을 설명하는

하위개념 동등한 위치에서 비슷한 현상을 설명하는 동위개념

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제가 변함에 따라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들의 관계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lsquo어떤 개념이 포함

되어야 하는가rsquo에 대하여 개념도의 바탕이 되는 Ausubel의 이

론에서 추론할 수 있다 단순 암기학습이 아닌 유의미학습이 이

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춰져야 한다

(Novak amp Cantildeas 2006) 첫째 학습할 내용은 개념적으로 명확

하게 학습이 되어야하며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관련 있는 언어

와 사례들로 제시되어야 한다 개념도는 더 구체적인 개념을 배

우기에 앞서 학습자가 가진 일반적인 개념을 확인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개념적인 구조를 개발하는데 정착할 수 있는 보다

명시적인 지식을 통해 학습과제의 계열성을 도움으로써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사전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조건은 주제의 모든 영역에서 충족될 수 있지만 다음

학습에서 어떤 분야의 구체적인 지식을 제시하고자 한다면 개

념구조를 구축하는데 신중하고 명확해야한다 셋째 학습자가

유의미한 학습을 선택해야 한다 교사가 단지 간접적인 통제를

받을 수 있는 한 가지 조건은 학생들이 개념 정의나 명제 진술

또는 계산 절차를 단순히 암기하기보다는 새로운 의미를 사전

지식에 통합하려고 시도함으로써 학습하도록 선택하려는 동기

이다

개념도의 특성은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로 이루어진 지식의

시각적 표현 가장 일반적인 개념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위계적

구조 교차 연결의 포함 사건 또는 대상의 구체적인 예시를 포

함하는 것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리고 개념도와 유사한 인

지도(cognitive map) 지식도(knowledge map) 마인드맵(mind

map) 등이 있는데 개념도의 특성에 비춰 볼 때 지식도는 연결

어가 한정되어 있고 인지도는 개념이 아닌 아이디어가 사각형

내에 제시되며 마인드맵은 연결어 자체가 없다는 점에서 개념

도와는 분명하게 구별된다(Cantildeas et al 2003)

3 관련 선행연구

개념도는 수업 혹은 교수학습 전략에서 의미 있는 학습과정

으로 만드는 효과적인 도구로서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평가

도구로서의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학습을 촉진하는 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습자 혹은 교사

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작성하

는 동안 개별적인 학습을 실천하고 스스로 학습을 구성해나갈

수 있다(Heo 2001 Jonassen Beissner amp Yacci 1993 Lim

2009) 선행연구들은 학습자가 직접 개념도를 개발할 경우 적극

적인 의미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지식구성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기조절력 문제해결과 같은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나

타낸다고 보았다 또한 협력적인 문제해결에서 여러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체계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이해정도나 문

제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공유하게 되며 이를 표출하기 위한 언

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에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Kim 2008 Ryu amp Kwon 2005) 또한 상황에

따라 사고 수준이 다름을 알 수 있는데 Kim(2008)은 학생들이

읽은 텍스트에 대한 지식수준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 개인일 때

16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는 개념도를 그리면서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 것이 합리적 토론 상황일 때는 설명이 제시되지 않은 학생

들이 효과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모형에

있어서도 개인적 상황일 때는 위계형을 사용하고 협력적 상황

일 때는 혼합형을 사용하였으며 이처럼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을

포함하여 개념도의 활용은 지식을 주제에 적합하도록 정교화하

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자기지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둘째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개념도는 학습의 도입자료로

시각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학습과정에서 제시된다면

학습자의 흥미와 주의를 이끌 수 있어 유의미한 학습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Heo amp Kim 2003 Novak Gowin amp

Johansen 1983) 선행조직자로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시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데 Harris와

Hodges(1995)는 사전 지식을 활성하기 위해서 특정 텍스트를

학습하기 전 새로운 읽기자료와 학습자가 가진 배경지식 사이

의 상호암시가 이루어지도록 진술된 텍스트를 제공하면 효과적

이라고 보았다 Lee와 Kang(2012)은 개념 구조가 반영된 조직

자의 유형에 따라 기존의 조직자를 분류함과 더불어 각 개념의

유형별 예시 자료로 나타낼 수 있는 조직자를 제시하였는데 선

행조직자의 제시 시기뿐만 아니라 개념의 구조와 특성에 따른

조직자의 선택과 활용에서 개념의 구조가 적절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서의 분석에 개념도를 활용한 Jeong Nam과

Kwon(2013)은 개념도의 활용이 내용 지식의 조직화 개념의

위계파악 개념간의 관계 파악에 보다 용이하고 학습이전에 학

습자의 사전지식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개개인의 능력수준에

따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개념도는 개념을 학습하

기 위해 필요로 하는 선수지식과의 관계를 보여주기보다 개념

을 습득한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서 관련된 다른 개념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서 작성되는데 수업설계에서 새로운 정보

를 가르치기 위한 도입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평가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생의 개념적인 지식을 보여

주기 위한 유용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학습자가 공통된 지식을 공유할지라도 그것을 표상하는

방법은 다르기 때문에 시각적인 방법 언어적인 방법으로 학습

과정을 평가할 수 있다(Heo 2002 Kim amp Kim 2013 Koh amp

Cho 2001 Novak amp Gowin 1984) 또한 과정을 표현하는 수

단으로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에 수업 후 표현되는 개념도를 통

해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이해정도를 파악하고 피드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Novak과 Gowin(1984)은 명제 위계

교차연결 예 등을 점수화하여 유효화할 수 있는 개수에 따라

개념도의 점수를 매기는 방법을 소개하고 학생들이 나타내는

구조적 복잡성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Heo(2002)는

인지구조의 수준을 진단하여 인지적 연속체로서 학생들의 수준

에서 위계적으로 개념도를 전개할수록 링크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되며 실제로 인지구조가 높은 학생

들은 형태의 차이를 보였지만 밀도 있게 전개하였다고 밝혔다

Kim과 Kim(2013)은 학습자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

표상 지식의 구조 등을 외현화하기 위해서 서술식보다 추가적

인 노력 지식 변형의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더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것은 단순한 개념이나 복잡한 개념에 상관없이 나

타나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거나 절차적인 안내를 제공하거나

부분적인 개념도를 제시하여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안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개념도는 이해를 위한 발판으

로 학습의 조건을 향상시키고 교육적 경험을 통합하는 도구로

전통적인 평가의 대안으로 가르치며 배우는 과정에 대한 지원

으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매개적인 표상으로 다

양한 학습전략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학습자들의 요구

와 관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접근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분석대상 및 준거

본 연구는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에서의 내용분석을 통하

여 학습자가 습득할 지식을 구조화하고 의미 있는 학습이 이뤄

질 수 있도록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

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내용분석을

위하여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교과서 10종1)이었으며 관련 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7

Revision Content area Achievement standard Key concept

2007 revised curriculum

가족의 생활

의복의 선택과 관리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와 고쳐 입기

⑵ 가족의 생활

옷의 기능을 알고 옷의 선택을 위한 계획과 구입 방법 등을

이해하며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한다⑶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를 통해 옷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옷의 변형과

수선 활동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옷을 활용하여 개성

있는 옷차림을 한다

기능

선택

계획

구입(구매)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

2009 revised curriculum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middot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5)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의복 선택 및 구입방법을 이해하고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

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하며 의복 구성의 원리

를 이해하여 옷 고쳐 입기와 의복의 재활용을 통해 친환경적

인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다

Table 1 Key concept of lsquoclothing life and reformrsquo in 2007 2009 revised curriculum

용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의생활 전공서적(Cho 2006 Kim

Yoo Lee amp Jeon 2005 Rhee 2003)을 참고하였다 2009 개

정 교육과정에서의 의생활영역은 중학교 1~3학년 가정생활 군

에서 대단원 청소년의 생활의 중단원 985172옷차림과 자기표현985173으로

의복의 의미와 기능 나를 표현하는 옷차림 상황에 맞는 옷차

림 올바른 한복옷차림으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

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에서 의복 마

련 계획과 구입 의복의 손질과 관리 옷 고쳐 입기와 재활용으

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대상은 중단원 영역인 lsquo친환경적 의생활

과 옷고쳐입기rsquo 단원으로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

계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에서의 소단원을 중심으로 상위 중심내

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으며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

분화하여 계층적인 내용요소를 파악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을 선택하기 위해 개정에 따라 대단원명

이 달라졌지만 다루고 있는 핵심내용들이 있는 2007 개정 교육

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기준과 성취기준을 살펴보았

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을 담고 있고 진술문을 통해

교과서의 내용체계의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ltTable1gt)

개념추출을 위해 교과서의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파악하였으며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고려

하여 중단원 소단원을 중심으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은

위에 두고 구체적인 개념을 아래에 두어 상위 중심내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다 구성상 상위개념은 소단원이나 소항목

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으나 상위개념으로 적합하지 않은 소

단원은 상위개념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의생활의 실천에 중점

을 두고 상위개념을 선택하였으며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빈도가

낮은 하위 개념은 배제하여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2 개발과정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념도 작성은 Novak과

Gowin(1984)의 절차를 참고로 하여 Institute for Human amp

Machine Cognition(IHMC)에서 개발된 Cmap Tools V 6022)

을 사용하였다 Cmap Tools은 아직까지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

으나 조작이 간편하며 개념간의 관계를 그리는 전 과정을 기록

할 수 있으며 사진 동영상 웹문서와 같은 시각적 자료를 첨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념도 개발과정은 내용분석에 따라 분류된 핵심개념을 파악

하고 이에 따라 예비개념도(연결선작성-연결어작성-교차선 찾

기) 검토수정 최종 개념도 작성 순으로 ltFigure 2gt와 같이

진행되었다 진행된 과정은 첫째 준거기준에 따라 개념이나 명

제로 표현될 일반적인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그 내용 영역의 중

요한 개념을 확인한 후 개념을 나열하여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

1) 교문사 교학사 금성 두산동아 미래엔컬쳐 삼양미디어 원교재사 지학사 천재교육(이) 천재(최)

2) httpcmapihmcus

16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Standard establishment

Content analysis

Key concept classification

Preliminary concept map

Add of linking phrases

Add of concept link

Look for crosslink

Review

Final concept map

Figure 2 Development process of concept map

적인 개념을 가장 높은 순위로 하여 특정 문제 또는 상황에서

가장 구체적인 개념을 가장 아래로 설정하였다 둘째 가장 중

요하고 포괄적인 개념을 시작으로 그 개념과 관련된 중요한 개

념을 두 번째 개념으로 선택하여 두 개념 사이의 연결선을 그렸

다 셋째 두 개념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그 내용영역으로부터

다른 개념을 골라 관련성을 고려하여 관련되는 개념 단어들 각

각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였다 넷째 학습내용에 대한 중요한

핵심 개념 모두가 포함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하여 전체적으

로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순환적으로 이루어졌

으며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이 적절하

게 전개되는지 각 개념들이 관련 있는 개념끼리 연결되어 있는

지 개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연결어가 잘 표현되었는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개념도를 반복검토하고 추가로 가정교육학

전공교수와 가정교육학 전공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

였다

Ⅳ 연구결과

1 lsquo의복의 선택과 관리rsquo 단원 내용요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생활 군에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은 각 교과서마다 단원명과 전개상에 있어 구성

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

과정 성취기준과 전공 서적을 참고하였지만 준거 설정에 있어

교과서의 내용체계를 고려하여 연관성을 우선시하였기 때문에

상위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올 수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포괄적인 개념은 의복선택 계획 구입(구매) 보관 세탁

의복구성 옷감특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의복선택은 구입 과정까지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의

복계획과 구입을 포함하였으며 의복계획은 의복마련계획으로

의복마련의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을 포함하였다 의

복선택은 의복구입 구입시 고려사항 품질표시로 의복재료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9

단원 범주 영역 세부개념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계획 의복마련계획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

의복선택

의복구입 구입 시기 장소 방법

고려사항기성복선택방법 품질체크 표시 디자인 맞음새 바느질 마름질

품질표시 치수 섬유조성 혼용율 취급상 주의 공인기호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재료 섬유와 옷감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

의복손질

관리방법 오염물제거 얼룩제거

세탁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취급표시

다림질 온도 방법 순서

의복보관보관방법 옷 종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

수납방법 가족별 용도별 계절별

의복수선과 재활용

옷 만들기 의복구성 원리디자인 및 소재 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

질하기 마무리와 평가하기

의복수선 옷 고쳐입기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기 염색 페인

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

재활용 리폼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

친환경패스트 패션 슬로우 패션 3R 운동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소비

Table 2 Content elements of unit

섬유와 옷감으로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으로 의복손질

은 관리방법 세탁 다림질로 나누었으며 관리방법은 오염물제

거 얼룩제거로 세탁은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

취급표시로 다림질은 온도방법 순서로 추출되었다 의복보관

은 보관방법 수납방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보관방법은 옷 종

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으로 수납방법은 가족별 용도별 계절

별로 추출하였다 의복수선과 재활용은 옷만들기 의복수선 재

활용으로 개념을 나눌 수 있었으며 옷 만들기는 의복 구성원리

디자인 및 소재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질하

기 의복수선은 고쳐입기 친환경은 재활용과 친환경으로 추출

하였다 고쳐입기는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

기 염색 페인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

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은 리폼(reform)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upcycle) 친환경은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슬로우 패션(slow fashion) 3R 운동

(reduce reuse recycle) 생산 가공 사용 폐기 과정의 문제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 소비로 추출할 수 있었다(ltTable 2gt)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라 각 내용간의 중복내용과 연결요소를

고려하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

택과 구입rsquo에서는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등 4개 lsquo의복손질과 관

리rsquo에서는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등 3개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

경적 의생활rsquo 등 3개의 개념도이며 각 개념의 내용요소들을 세

분화하여 연결하였다

2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 개념도

1)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개념도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중심개념은 의복마련 계획의 필요성과 의

복조사하기 계획표 작성하기 마련방법 정하기 등이다 의복 구

입 시 만족스러운 의생활을 위해 예산에 맞는 의복계획을 세워

낭비와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바람직한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에 의복마련계획이 필요하다 의복마련계획의 순서의 첫 번째

17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3 Clothing purchase plan

단계인 조사하기에서 의복구매가 필요한 옷과 수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신의 가진 의복의 계절 형태 디자인 사

용 상태 등에 따라 의복의 마련을 계획할 수 있는 의복목록표

를 작성하도록 한다 의복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코트 자켓

점퍼 셔츠 스웨터 스커트 바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계절

에 따라 봄가을 여름 겨울로 나눌 수 있으며 또 잘 입는 옷과

잘 입지 않는 옷들을 나누어 의복목록표로 나타낸다 의복목록

표를 통해 처리해야할 옷들과 마련방법을 결정하는데 잘 입지

않는 옷의 처리에는 기부하기 바꿔 입기 팔기 고쳐 입기 등이

있으며 마련방법으로는 물려입기 빌려입기 새로 구입하기 등

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 필요성을 포

함하여 우선순위 수량 구매비용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구매 장

소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복마련 계획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3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lsquo의복 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의 개념도

의복을 새로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은 구입 장소와 시

기 가격을 고려해야하는데 의복의 구입 장소는 소매점 도매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의복 구입비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입할 의복을

고를 때는 디자인 착용감 바느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디자인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5: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5

2006) 개념도는 개념과 개념을 연결하는 연결선에 의해 서로

간의 관계를 조직하고 표현하는 시각적 도구로 정의한다

(Novak amp Cantildeas 2007 Novak amp Gowin 1984) 대부분의 개

념은 하나의 단어이고 때로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개념-연

결선-개념의 세 갈래 명제를 형성하는데 개념간의 관계를 기술

한 연결어는 어떤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의미 있는 진술이며 때

로는 이것을 의미단위라고도 한다(Cantildeas et al 2003) 개념과

명제는 일반적으로 가장 포괄적인 것에서 가장 구체적인 것까

지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관련된 지식의 조직을 통해 개념도의

형태로 이해하려고 하는 상황이나 사건과 관련될 수 있기 때문

에 개념도를 위한 맥락이 제공되어야 한다(Novak amp Cantildeas

2007) 개념과 연결선들은 방향성이 없을 수도 일정한 방향성일

수도 양방향일수도 있으며 범주화될 수 있다 개념들과 연결선

들은 어떤 범주화 속에서 인과 관계나 논리적인 관계 등이 연상

적으로 연결되어 여러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이 외에도 개념도

는 개념과 그 연결어를 합치면 하나의 명제 형태의 완전한 문장

이 된다는 특성도 있다

Novak과 Gowin(1984)에 따르면 개념도의 제일 높은 위치에

가장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 위치해 있으며 아래로 더 구

체적인 개념들로 구성되어지며 이러한 위계적 구조뿐만 아니라

동등한 위치에서 개념간의 수평적인 조직 등 개념간의 상호관

계를 조직해 가는 과정이다 위계 관계는 포괄적인 현상을 설명

하는 상위개념 그보다 낮은 위치에서 한정된 현상을 설명하는

하위개념 동등한 위치에서 비슷한 현상을 설명하는 동위개념

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제가 변함에 따라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들의 관계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lsquo어떤 개념이 포함

되어야 하는가rsquo에 대하여 개념도의 바탕이 되는 Ausubel의 이

론에서 추론할 수 있다 단순 암기학습이 아닌 유의미학습이 이

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조건을 갖춰져야 한다

(Novak amp Cantildeas 2006) 첫째 학습할 내용은 개념적으로 명확

하게 학습이 되어야하며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관련 있는 언어

와 사례들로 제시되어야 한다 개념도는 더 구체적인 개념을 배

우기에 앞서 학습자가 가진 일반적인 개념을 확인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개념적인 구조를 개발하는데 정착할 수 있는 보다

명시적인 지식을 통해 학습과제의 계열성을 도움으로써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사전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조건은 주제의 모든 영역에서 충족될 수 있지만 다음

학습에서 어떤 분야의 구체적인 지식을 제시하고자 한다면 개

념구조를 구축하는데 신중하고 명확해야한다 셋째 학습자가

유의미한 학습을 선택해야 한다 교사가 단지 간접적인 통제를

받을 수 있는 한 가지 조건은 학생들이 개념 정의나 명제 진술

또는 계산 절차를 단순히 암기하기보다는 새로운 의미를 사전

지식에 통합하려고 시도함으로써 학습하도록 선택하려는 동기

이다

개념도의 특성은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로 이루어진 지식의

시각적 표현 가장 일반적인 개념이 최상단에 위치하는 위계적

구조 교차 연결의 포함 사건 또는 대상의 구체적인 예시를 포

함하는 것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리고 개념도와 유사한 인

지도(cognitive map) 지식도(knowledge map) 마인드맵(mind

map) 등이 있는데 개념도의 특성에 비춰 볼 때 지식도는 연결

어가 한정되어 있고 인지도는 개념이 아닌 아이디어가 사각형

내에 제시되며 마인드맵은 연결어 자체가 없다는 점에서 개념

도와는 분명하게 구별된다(Cantildeas et al 2003)

3 관련 선행연구

개념도는 수업 혹은 교수학습 전략에서 의미 있는 학습과정

으로 만드는 효과적인 도구로서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평가

도구로서의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학습을 촉진하는 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습자 혹은 교사

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작성하

는 동안 개별적인 학습을 실천하고 스스로 학습을 구성해나갈

수 있다(Heo 2001 Jonassen Beissner amp Yacci 1993 Lim

2009) 선행연구들은 학습자가 직접 개념도를 개발할 경우 적극

적인 의미 형성에 참여함으로써 지식구성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기조절력 문제해결과 같은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나

타낸다고 보았다 또한 협력적인 문제해결에서 여러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체계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이해정도나 문

제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공유하게 되며 이를 표출하기 위한 언

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에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Kim 2008 Ryu amp Kwon 2005) 또한 상황에

따라 사고 수준이 다름을 알 수 있는데 Kim(2008)은 학생들이

읽은 텍스트에 대한 지식수준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 개인일 때

16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는 개념도를 그리면서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 것이 합리적 토론 상황일 때는 설명이 제시되지 않은 학생

들이 효과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모형에

있어서도 개인적 상황일 때는 위계형을 사용하고 협력적 상황

일 때는 혼합형을 사용하였으며 이처럼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을

포함하여 개념도의 활용은 지식을 주제에 적합하도록 정교화하

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자기지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둘째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개념도는 학습의 도입자료로

시각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학습과정에서 제시된다면

학습자의 흥미와 주의를 이끌 수 있어 유의미한 학습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Heo amp Kim 2003 Novak Gowin amp

Johansen 1983) 선행조직자로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시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데 Harris와

Hodges(1995)는 사전 지식을 활성하기 위해서 특정 텍스트를

학습하기 전 새로운 읽기자료와 학습자가 가진 배경지식 사이

의 상호암시가 이루어지도록 진술된 텍스트를 제공하면 효과적

이라고 보았다 Lee와 Kang(2012)은 개념 구조가 반영된 조직

자의 유형에 따라 기존의 조직자를 분류함과 더불어 각 개념의

유형별 예시 자료로 나타낼 수 있는 조직자를 제시하였는데 선

행조직자의 제시 시기뿐만 아니라 개념의 구조와 특성에 따른

조직자의 선택과 활용에서 개념의 구조가 적절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서의 분석에 개념도를 활용한 Jeong Nam과

Kwon(2013)은 개념도의 활용이 내용 지식의 조직화 개념의

위계파악 개념간의 관계 파악에 보다 용이하고 학습이전에 학

습자의 사전지식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개개인의 능력수준에

따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개념도는 개념을 학습하

기 위해 필요로 하는 선수지식과의 관계를 보여주기보다 개념

을 습득한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서 관련된 다른 개념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서 작성되는데 수업설계에서 새로운 정보

를 가르치기 위한 도입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평가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생의 개념적인 지식을 보여

주기 위한 유용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학습자가 공통된 지식을 공유할지라도 그것을 표상하는

방법은 다르기 때문에 시각적인 방법 언어적인 방법으로 학습

과정을 평가할 수 있다(Heo 2002 Kim amp Kim 2013 Koh amp

Cho 2001 Novak amp Gowin 1984) 또한 과정을 표현하는 수

단으로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에 수업 후 표현되는 개념도를 통

해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이해정도를 파악하고 피드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Novak과 Gowin(1984)은 명제 위계

교차연결 예 등을 점수화하여 유효화할 수 있는 개수에 따라

개념도의 점수를 매기는 방법을 소개하고 학생들이 나타내는

구조적 복잡성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Heo(2002)는

인지구조의 수준을 진단하여 인지적 연속체로서 학생들의 수준

에서 위계적으로 개념도를 전개할수록 링크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되며 실제로 인지구조가 높은 학생

들은 형태의 차이를 보였지만 밀도 있게 전개하였다고 밝혔다

Kim과 Kim(2013)은 학습자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

표상 지식의 구조 등을 외현화하기 위해서 서술식보다 추가적

인 노력 지식 변형의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더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것은 단순한 개념이나 복잡한 개념에 상관없이 나

타나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거나 절차적인 안내를 제공하거나

부분적인 개념도를 제시하여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안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개념도는 이해를 위한 발판으

로 학습의 조건을 향상시키고 교육적 경험을 통합하는 도구로

전통적인 평가의 대안으로 가르치며 배우는 과정에 대한 지원

으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매개적인 표상으로 다

양한 학습전략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학습자들의 요구

와 관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접근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분석대상 및 준거

본 연구는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에서의 내용분석을 통하

여 학습자가 습득할 지식을 구조화하고 의미 있는 학습이 이뤄

질 수 있도록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

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내용분석을

위하여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교과서 10종1)이었으며 관련 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7

Revision Content area Achievement standard Key concept

2007 revised curriculum

가족의 생활

의복의 선택과 관리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와 고쳐 입기

⑵ 가족의 생활

옷의 기능을 알고 옷의 선택을 위한 계획과 구입 방법 등을

이해하며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한다⑶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를 통해 옷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옷의 변형과

수선 활동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옷을 활용하여 개성

있는 옷차림을 한다

기능

선택

계획

구입(구매)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

2009 revised curriculum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middot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5)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의복 선택 및 구입방법을 이해하고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

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하며 의복 구성의 원리

를 이해하여 옷 고쳐 입기와 의복의 재활용을 통해 친환경적

인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다

Table 1 Key concept of lsquoclothing life and reformrsquo in 2007 2009 revised curriculum

용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의생활 전공서적(Cho 2006 Kim

Yoo Lee amp Jeon 2005 Rhee 2003)을 참고하였다 2009 개

정 교육과정에서의 의생활영역은 중학교 1~3학년 가정생활 군

에서 대단원 청소년의 생활의 중단원 985172옷차림과 자기표현985173으로

의복의 의미와 기능 나를 표현하는 옷차림 상황에 맞는 옷차

림 올바른 한복옷차림으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

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에서 의복 마

련 계획과 구입 의복의 손질과 관리 옷 고쳐 입기와 재활용으

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대상은 중단원 영역인 lsquo친환경적 의생활

과 옷고쳐입기rsquo 단원으로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

계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에서의 소단원을 중심으로 상위 중심내

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으며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

분화하여 계층적인 내용요소를 파악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을 선택하기 위해 개정에 따라 대단원명

이 달라졌지만 다루고 있는 핵심내용들이 있는 2007 개정 교육

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기준과 성취기준을 살펴보았

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을 담고 있고 진술문을 통해

교과서의 내용체계의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ltTable1gt)

개념추출을 위해 교과서의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파악하였으며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고려

하여 중단원 소단원을 중심으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은

위에 두고 구체적인 개념을 아래에 두어 상위 중심내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다 구성상 상위개념은 소단원이나 소항목

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으나 상위개념으로 적합하지 않은 소

단원은 상위개념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의생활의 실천에 중점

을 두고 상위개념을 선택하였으며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빈도가

낮은 하위 개념은 배제하여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2 개발과정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념도 작성은 Novak과

Gowin(1984)의 절차를 참고로 하여 Institute for Human amp

Machine Cognition(IHMC)에서 개발된 Cmap Tools V 6022)

을 사용하였다 Cmap Tools은 아직까지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

으나 조작이 간편하며 개념간의 관계를 그리는 전 과정을 기록

할 수 있으며 사진 동영상 웹문서와 같은 시각적 자료를 첨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념도 개발과정은 내용분석에 따라 분류된 핵심개념을 파악

하고 이에 따라 예비개념도(연결선작성-연결어작성-교차선 찾

기) 검토수정 최종 개념도 작성 순으로 ltFigure 2gt와 같이

진행되었다 진행된 과정은 첫째 준거기준에 따라 개념이나 명

제로 표현될 일반적인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그 내용 영역의 중

요한 개념을 확인한 후 개념을 나열하여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

1) 교문사 교학사 금성 두산동아 미래엔컬쳐 삼양미디어 원교재사 지학사 천재교육(이) 천재(최)

2) httpcmapihmcus

16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Standard establishment

Content analysis

Key concept classification

Preliminary concept map

Add of linking phrases

Add of concept link

Look for crosslink

Review

Final concept map

Figure 2 Development process of concept map

적인 개념을 가장 높은 순위로 하여 특정 문제 또는 상황에서

가장 구체적인 개념을 가장 아래로 설정하였다 둘째 가장 중

요하고 포괄적인 개념을 시작으로 그 개념과 관련된 중요한 개

념을 두 번째 개념으로 선택하여 두 개념 사이의 연결선을 그렸

다 셋째 두 개념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그 내용영역으로부터

다른 개념을 골라 관련성을 고려하여 관련되는 개념 단어들 각

각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였다 넷째 학습내용에 대한 중요한

핵심 개념 모두가 포함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하여 전체적으

로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순환적으로 이루어졌

으며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이 적절하

게 전개되는지 각 개념들이 관련 있는 개념끼리 연결되어 있는

지 개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연결어가 잘 표현되었는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개념도를 반복검토하고 추가로 가정교육학

전공교수와 가정교육학 전공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

였다

Ⅳ 연구결과

1 lsquo의복의 선택과 관리rsquo 단원 내용요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생활 군에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은 각 교과서마다 단원명과 전개상에 있어 구성

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

과정 성취기준과 전공 서적을 참고하였지만 준거 설정에 있어

교과서의 내용체계를 고려하여 연관성을 우선시하였기 때문에

상위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올 수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포괄적인 개념은 의복선택 계획 구입(구매) 보관 세탁

의복구성 옷감특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의복선택은 구입 과정까지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의

복계획과 구입을 포함하였으며 의복계획은 의복마련계획으로

의복마련의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을 포함하였다 의

복선택은 의복구입 구입시 고려사항 품질표시로 의복재료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9

단원 범주 영역 세부개념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계획 의복마련계획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

의복선택

의복구입 구입 시기 장소 방법

고려사항기성복선택방법 품질체크 표시 디자인 맞음새 바느질 마름질

품질표시 치수 섬유조성 혼용율 취급상 주의 공인기호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재료 섬유와 옷감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

의복손질

관리방법 오염물제거 얼룩제거

세탁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취급표시

다림질 온도 방법 순서

의복보관보관방법 옷 종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

수납방법 가족별 용도별 계절별

의복수선과 재활용

옷 만들기 의복구성 원리디자인 및 소재 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

질하기 마무리와 평가하기

의복수선 옷 고쳐입기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기 염색 페인

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

재활용 리폼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

친환경패스트 패션 슬로우 패션 3R 운동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소비

Table 2 Content elements of unit

섬유와 옷감으로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으로 의복손질

은 관리방법 세탁 다림질로 나누었으며 관리방법은 오염물제

거 얼룩제거로 세탁은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

취급표시로 다림질은 온도방법 순서로 추출되었다 의복보관

은 보관방법 수납방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보관방법은 옷 종

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으로 수납방법은 가족별 용도별 계절

별로 추출하였다 의복수선과 재활용은 옷만들기 의복수선 재

활용으로 개념을 나눌 수 있었으며 옷 만들기는 의복 구성원리

디자인 및 소재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질하

기 의복수선은 고쳐입기 친환경은 재활용과 친환경으로 추출

하였다 고쳐입기는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

기 염색 페인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

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은 리폼(reform)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upcycle) 친환경은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슬로우 패션(slow fashion) 3R 운동

(reduce reuse recycle) 생산 가공 사용 폐기 과정의 문제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 소비로 추출할 수 있었다(ltTable 2gt)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라 각 내용간의 중복내용과 연결요소를

고려하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

택과 구입rsquo에서는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등 4개 lsquo의복손질과 관

리rsquo에서는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등 3개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

경적 의생활rsquo 등 3개의 개념도이며 각 개념의 내용요소들을 세

분화하여 연결하였다

2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 개념도

1)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개념도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중심개념은 의복마련 계획의 필요성과 의

복조사하기 계획표 작성하기 마련방법 정하기 등이다 의복 구

입 시 만족스러운 의생활을 위해 예산에 맞는 의복계획을 세워

낭비와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바람직한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에 의복마련계획이 필요하다 의복마련계획의 순서의 첫 번째

17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3 Clothing purchase plan

단계인 조사하기에서 의복구매가 필요한 옷과 수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신의 가진 의복의 계절 형태 디자인 사

용 상태 등에 따라 의복의 마련을 계획할 수 있는 의복목록표

를 작성하도록 한다 의복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코트 자켓

점퍼 셔츠 스웨터 스커트 바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계절

에 따라 봄가을 여름 겨울로 나눌 수 있으며 또 잘 입는 옷과

잘 입지 않는 옷들을 나누어 의복목록표로 나타낸다 의복목록

표를 통해 처리해야할 옷들과 마련방법을 결정하는데 잘 입지

않는 옷의 처리에는 기부하기 바꿔 입기 팔기 고쳐 입기 등이

있으며 마련방법으로는 물려입기 빌려입기 새로 구입하기 등

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 필요성을 포

함하여 우선순위 수량 구매비용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구매 장

소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복마련 계획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3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lsquo의복 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의 개념도

의복을 새로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은 구입 장소와 시

기 가격을 고려해야하는데 의복의 구입 장소는 소매점 도매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의복 구입비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입할 의복을

고를 때는 디자인 착용감 바느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디자인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6: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6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는 개념도를 그리면서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 것이 합리적 토론 상황일 때는 설명이 제시되지 않은 학생

들이 효과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모형에

있어서도 개인적 상황일 때는 위계형을 사용하고 협력적 상황

일 때는 혼합형을 사용하였으며 이처럼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을

포함하여 개념도의 활용은 지식을 주제에 적합하도록 정교화하

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자기지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둘째 선행조직자의 역할로서 개념도는 학습의 도입자료로

시각적인 효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학습과정에서 제시된다면

학습자의 흥미와 주의를 이끌 수 있어 유의미한 학습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Heo amp Kim 2003 Novak Gowin amp

Johansen 1983) 선행조직자로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시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데 Harris와

Hodges(1995)는 사전 지식을 활성하기 위해서 특정 텍스트를

학습하기 전 새로운 읽기자료와 학습자가 가진 배경지식 사이

의 상호암시가 이루어지도록 진술된 텍스트를 제공하면 효과적

이라고 보았다 Lee와 Kang(2012)은 개념 구조가 반영된 조직

자의 유형에 따라 기존의 조직자를 분류함과 더불어 각 개념의

유형별 예시 자료로 나타낼 수 있는 조직자를 제시하였는데 선

행조직자의 제시 시기뿐만 아니라 개념의 구조와 특성에 따른

조직자의 선택과 활용에서 개념의 구조가 적절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교과서의 분석에 개념도를 활용한 Jeong Nam과

Kwon(2013)은 개념도의 활용이 내용 지식의 조직화 개념의

위계파악 개념간의 관계 파악에 보다 용이하고 학습이전에 학

습자의 사전지식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개개인의 능력수준에

따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개념도는 개념을 학습하

기 위해 필요로 하는 선수지식과의 관계를 보여주기보다 개념

을 습득한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에서 관련된 다른 개념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서 작성되는데 수업설계에서 새로운 정보

를 가르치기 위한 도입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평가도구로서 개념도는 학생의 개념적인 지식을 보여

주기 위한 유용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학습자가 공통된 지식을 공유할지라도 그것을 표상하는

방법은 다르기 때문에 시각적인 방법 언어적인 방법으로 학습

과정을 평가할 수 있다(Heo 2002 Kim amp Kim 2013 Koh amp

Cho 2001 Novak amp Gowin 1984) 또한 과정을 표현하는 수

단으로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에 수업 후 표현되는 개념도를 통

해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이해정도를 파악하고 피드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Novak과 Gowin(1984)은 명제 위계

교차연결 예 등을 점수화하여 유효화할 수 있는 개수에 따라

개념도의 점수를 매기는 방법을 소개하고 학생들이 나타내는

구조적 복잡성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Heo(2002)는

인지구조의 수준을 진단하여 인지적 연속체로서 학생들의 수준

에서 위계적으로 개념도를 전개할수록 링크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더 높은 평가를 받게 되며 실제로 인지구조가 높은 학생

들은 형태의 차이를 보였지만 밀도 있게 전개하였다고 밝혔다

Kim과 Kim(2013)은 학습자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

표상 지식의 구조 등을 외현화하기 위해서 서술식보다 추가적

인 노력 지식 변형의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더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것은 단순한 개념이나 복잡한 개념에 상관없이 나

타나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거나 절차적인 안내를 제공하거나

부분적인 개념도를 제시하여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안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개념도는 이해를 위한 발판으

로 학습의 조건을 향상시키고 교육적 경험을 통합하는 도구로

전통적인 평가의 대안으로 가르치며 배우는 과정에 대한 지원

으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매개적인 표상으로 다

양한 학습전략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학습자들의 요구

와 관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접근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분석대상 및 준거

본 연구는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에서의 내용분석을 통하

여 학습자가 습득할 지식을 구조화하고 의미 있는 학습이 이뤄

질 수 있도록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

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내용분석을

위하여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교과서 10종1)이었으며 관련 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7

Revision Content area Achievement standard Key concept

2007 revised curriculum

가족의 생활

의복의 선택과 관리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와 고쳐 입기

⑵ 가족의 생활

옷의 기능을 알고 옷의 선택을 위한 계획과 구입 방법 등을

이해하며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한다⑶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를 통해 옷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옷의 변형과

수선 활동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옷을 활용하여 개성

있는 옷차림을 한다

기능

선택

계획

구입(구매)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

2009 revised curriculum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middot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5)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의복 선택 및 구입방법을 이해하고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

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하며 의복 구성의 원리

를 이해하여 옷 고쳐 입기와 의복의 재활용을 통해 친환경적

인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다

Table 1 Key concept of lsquoclothing life and reformrsquo in 2007 2009 revised curriculum

용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의생활 전공서적(Cho 2006 Kim

Yoo Lee amp Jeon 2005 Rhee 2003)을 참고하였다 2009 개

정 교육과정에서의 의생활영역은 중학교 1~3학년 가정생활 군

에서 대단원 청소년의 생활의 중단원 985172옷차림과 자기표현985173으로

의복의 의미와 기능 나를 표현하는 옷차림 상황에 맞는 옷차

림 올바른 한복옷차림으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

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에서 의복 마

련 계획과 구입 의복의 손질과 관리 옷 고쳐 입기와 재활용으

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대상은 중단원 영역인 lsquo친환경적 의생활

과 옷고쳐입기rsquo 단원으로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

계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에서의 소단원을 중심으로 상위 중심내

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으며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

분화하여 계층적인 내용요소를 파악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을 선택하기 위해 개정에 따라 대단원명

이 달라졌지만 다루고 있는 핵심내용들이 있는 2007 개정 교육

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기준과 성취기준을 살펴보았

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을 담고 있고 진술문을 통해

교과서의 내용체계의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ltTable1gt)

개념추출을 위해 교과서의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파악하였으며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고려

하여 중단원 소단원을 중심으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은

위에 두고 구체적인 개념을 아래에 두어 상위 중심내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다 구성상 상위개념은 소단원이나 소항목

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으나 상위개념으로 적합하지 않은 소

단원은 상위개념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의생활의 실천에 중점

을 두고 상위개념을 선택하였으며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빈도가

낮은 하위 개념은 배제하여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2 개발과정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념도 작성은 Novak과

Gowin(1984)의 절차를 참고로 하여 Institute for Human amp

Machine Cognition(IHMC)에서 개발된 Cmap Tools V 6022)

을 사용하였다 Cmap Tools은 아직까지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

으나 조작이 간편하며 개념간의 관계를 그리는 전 과정을 기록

할 수 있으며 사진 동영상 웹문서와 같은 시각적 자료를 첨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념도 개발과정은 내용분석에 따라 분류된 핵심개념을 파악

하고 이에 따라 예비개념도(연결선작성-연결어작성-교차선 찾

기) 검토수정 최종 개념도 작성 순으로 ltFigure 2gt와 같이

진행되었다 진행된 과정은 첫째 준거기준에 따라 개념이나 명

제로 표현될 일반적인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그 내용 영역의 중

요한 개념을 확인한 후 개념을 나열하여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

1) 교문사 교학사 금성 두산동아 미래엔컬쳐 삼양미디어 원교재사 지학사 천재교육(이) 천재(최)

2) httpcmapihmcus

16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Standard establishment

Content analysis

Key concept classification

Preliminary concept map

Add of linking phrases

Add of concept link

Look for crosslink

Review

Final concept map

Figure 2 Development process of concept map

적인 개념을 가장 높은 순위로 하여 특정 문제 또는 상황에서

가장 구체적인 개념을 가장 아래로 설정하였다 둘째 가장 중

요하고 포괄적인 개념을 시작으로 그 개념과 관련된 중요한 개

념을 두 번째 개념으로 선택하여 두 개념 사이의 연결선을 그렸

다 셋째 두 개념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그 내용영역으로부터

다른 개념을 골라 관련성을 고려하여 관련되는 개념 단어들 각

각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였다 넷째 학습내용에 대한 중요한

핵심 개념 모두가 포함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하여 전체적으

로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순환적으로 이루어졌

으며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이 적절하

게 전개되는지 각 개념들이 관련 있는 개념끼리 연결되어 있는

지 개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연결어가 잘 표현되었는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개념도를 반복검토하고 추가로 가정교육학

전공교수와 가정교육학 전공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

였다

Ⅳ 연구결과

1 lsquo의복의 선택과 관리rsquo 단원 내용요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생활 군에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은 각 교과서마다 단원명과 전개상에 있어 구성

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

과정 성취기준과 전공 서적을 참고하였지만 준거 설정에 있어

교과서의 내용체계를 고려하여 연관성을 우선시하였기 때문에

상위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올 수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포괄적인 개념은 의복선택 계획 구입(구매) 보관 세탁

의복구성 옷감특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의복선택은 구입 과정까지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의

복계획과 구입을 포함하였으며 의복계획은 의복마련계획으로

의복마련의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을 포함하였다 의

복선택은 의복구입 구입시 고려사항 품질표시로 의복재료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9

단원 범주 영역 세부개념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계획 의복마련계획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

의복선택

의복구입 구입 시기 장소 방법

고려사항기성복선택방법 품질체크 표시 디자인 맞음새 바느질 마름질

품질표시 치수 섬유조성 혼용율 취급상 주의 공인기호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재료 섬유와 옷감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

의복손질

관리방법 오염물제거 얼룩제거

세탁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취급표시

다림질 온도 방법 순서

의복보관보관방법 옷 종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

수납방법 가족별 용도별 계절별

의복수선과 재활용

옷 만들기 의복구성 원리디자인 및 소재 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

질하기 마무리와 평가하기

의복수선 옷 고쳐입기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기 염색 페인

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

재활용 리폼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

친환경패스트 패션 슬로우 패션 3R 운동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소비

Table 2 Content elements of unit

섬유와 옷감으로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으로 의복손질

은 관리방법 세탁 다림질로 나누었으며 관리방법은 오염물제

거 얼룩제거로 세탁은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

취급표시로 다림질은 온도방법 순서로 추출되었다 의복보관

은 보관방법 수납방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보관방법은 옷 종

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으로 수납방법은 가족별 용도별 계절

별로 추출하였다 의복수선과 재활용은 옷만들기 의복수선 재

활용으로 개념을 나눌 수 있었으며 옷 만들기는 의복 구성원리

디자인 및 소재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질하

기 의복수선은 고쳐입기 친환경은 재활용과 친환경으로 추출

하였다 고쳐입기는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

기 염색 페인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

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은 리폼(reform)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upcycle) 친환경은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슬로우 패션(slow fashion) 3R 운동

(reduce reuse recycle) 생산 가공 사용 폐기 과정의 문제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 소비로 추출할 수 있었다(ltTable 2gt)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라 각 내용간의 중복내용과 연결요소를

고려하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

택과 구입rsquo에서는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등 4개 lsquo의복손질과 관

리rsquo에서는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등 3개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

경적 의생활rsquo 등 3개의 개념도이며 각 개념의 내용요소들을 세

분화하여 연결하였다

2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 개념도

1)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개념도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중심개념은 의복마련 계획의 필요성과 의

복조사하기 계획표 작성하기 마련방법 정하기 등이다 의복 구

입 시 만족스러운 의생활을 위해 예산에 맞는 의복계획을 세워

낭비와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바람직한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에 의복마련계획이 필요하다 의복마련계획의 순서의 첫 번째

17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3 Clothing purchase plan

단계인 조사하기에서 의복구매가 필요한 옷과 수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신의 가진 의복의 계절 형태 디자인 사

용 상태 등에 따라 의복의 마련을 계획할 수 있는 의복목록표

를 작성하도록 한다 의복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코트 자켓

점퍼 셔츠 스웨터 스커트 바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계절

에 따라 봄가을 여름 겨울로 나눌 수 있으며 또 잘 입는 옷과

잘 입지 않는 옷들을 나누어 의복목록표로 나타낸다 의복목록

표를 통해 처리해야할 옷들과 마련방법을 결정하는데 잘 입지

않는 옷의 처리에는 기부하기 바꿔 입기 팔기 고쳐 입기 등이

있으며 마련방법으로는 물려입기 빌려입기 새로 구입하기 등

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 필요성을 포

함하여 우선순위 수량 구매비용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구매 장

소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복마련 계획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3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lsquo의복 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의 개념도

의복을 새로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은 구입 장소와 시

기 가격을 고려해야하는데 의복의 구입 장소는 소매점 도매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의복 구입비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입할 의복을

고를 때는 디자인 착용감 바느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디자인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7: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7

Revision Content area Achievement standard Key concept

2007 revised curriculum

가족의 생활

의복의 선택과 관리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와 고쳐 입기

⑵ 가족의 생활

옷의 기능을 알고 옷의 선택을 위한 계획과 구입 방법 등을

이해하며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한다⑶ 가정생활의 실제

옷 만들기를 통해 옷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옷의 변형과

수선 활동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옷을 활용하여 개성

있는 옷차림을 한다

기능

선택

계획

구입(구매)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

2009 revised curriculum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middot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 입기

(5)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의복 선택 및 구입방법을 이해하고 옷감의 특성에 따른 세탁

과 보관을 통해 청결한 의생활을 유지하며 의복 구성의 원리

를 이해하여 옷 고쳐 입기와 의복의 재활용을 통해 친환경적

인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다

Table 1 Key concept of lsquoclothing life and reformrsquo in 2007 2009 revised curriculum

용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의생활 전공서적(Cho 2006 Kim

Yoo Lee amp Jeon 2005 Rhee 2003)을 참고하였다 2009 개

정 교육과정에서의 의생활영역은 중학교 1~3학년 가정생활 군

에서 대단원 청소년의 생활의 중단원 985172옷차림과 자기표현985173으로

의복의 의미와 기능 나를 표현하는 옷차림 상황에 맞는 옷차

림 올바른 한복옷차림으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

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에서 의복 마

련 계획과 구입 의복의 손질과 관리 옷 고쳐 입기와 재활용으

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대상은 중단원 영역인 lsquo친환경적 의생활

과 옷고쳐입기rsquo 단원으로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

계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에서의 소단원을 중심으로 상위 중심내

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으며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

분화하여 계층적인 내용요소를 파악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을 선택하기 위해 개정에 따라 대단원명

이 달라졌지만 다루고 있는 핵심내용들이 있는 2007 개정 교육

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기준과 성취기준을 살펴보았

다 이는 학습자가 학습해야할 내용을 담고 있고 진술문을 통해

교과서의 내용체계의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ltTable1gt)

개념추출을 위해 교과서의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파악하였으며 학습목표 성취에 따른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고려

하여 중단원 소단원을 중심으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은

위에 두고 구체적인 개념을 아래에 두어 상위 중심내용과 하위

세부내용들로 나누었다 구성상 상위개념은 소단원이나 소항목

에서 추출하는 경우가 많으나 상위개념으로 적합하지 않은 소

단원은 상위개념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의생활의 실천에 중점

을 두고 상위개념을 선택하였으며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빈도가

낮은 하위 개념은 배제하여 중심내용이 드러나도록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2 개발과정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념도 작성은 Novak과

Gowin(1984)의 절차를 참고로 하여 Institute for Human amp

Machine Cognition(IHMC)에서 개발된 Cmap Tools V 6022)

을 사용하였다 Cmap Tools은 아직까지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

으나 조작이 간편하며 개념간의 관계를 그리는 전 과정을 기록

할 수 있으며 사진 동영상 웹문서와 같은 시각적 자료를 첨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념도 개발과정은 내용분석에 따라 분류된 핵심개념을 파악

하고 이에 따라 예비개념도(연결선작성-연결어작성-교차선 찾

기) 검토수정 최종 개념도 작성 순으로 ltFigure 2gt와 같이

진행되었다 진행된 과정은 첫째 준거기준에 따라 개념이나 명

제로 표현될 일반적인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그 내용 영역의 중

요한 개념을 확인한 후 개념을 나열하여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

1) 교문사 교학사 금성 두산동아 미래엔컬쳐 삼양미디어 원교재사 지학사 천재교육(이) 천재(최)

2) httpcmapihmcus

16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Standard establishment

Content analysis

Key concept classification

Preliminary concept map

Add of linking phrases

Add of concept link

Look for crosslink

Review

Final concept map

Figure 2 Development process of concept map

적인 개념을 가장 높은 순위로 하여 특정 문제 또는 상황에서

가장 구체적인 개념을 가장 아래로 설정하였다 둘째 가장 중

요하고 포괄적인 개념을 시작으로 그 개념과 관련된 중요한 개

념을 두 번째 개념으로 선택하여 두 개념 사이의 연결선을 그렸

다 셋째 두 개념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그 내용영역으로부터

다른 개념을 골라 관련성을 고려하여 관련되는 개념 단어들 각

각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였다 넷째 학습내용에 대한 중요한

핵심 개념 모두가 포함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하여 전체적으

로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순환적으로 이루어졌

으며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이 적절하

게 전개되는지 각 개념들이 관련 있는 개념끼리 연결되어 있는

지 개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연결어가 잘 표현되었는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개념도를 반복검토하고 추가로 가정교육학

전공교수와 가정교육학 전공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

였다

Ⅳ 연구결과

1 lsquo의복의 선택과 관리rsquo 단원 내용요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생활 군에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은 각 교과서마다 단원명과 전개상에 있어 구성

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

과정 성취기준과 전공 서적을 참고하였지만 준거 설정에 있어

교과서의 내용체계를 고려하여 연관성을 우선시하였기 때문에

상위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올 수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포괄적인 개념은 의복선택 계획 구입(구매) 보관 세탁

의복구성 옷감특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의복선택은 구입 과정까지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의

복계획과 구입을 포함하였으며 의복계획은 의복마련계획으로

의복마련의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을 포함하였다 의

복선택은 의복구입 구입시 고려사항 품질표시로 의복재료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9

단원 범주 영역 세부개념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계획 의복마련계획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

의복선택

의복구입 구입 시기 장소 방법

고려사항기성복선택방법 품질체크 표시 디자인 맞음새 바느질 마름질

품질표시 치수 섬유조성 혼용율 취급상 주의 공인기호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재료 섬유와 옷감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

의복손질

관리방법 오염물제거 얼룩제거

세탁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취급표시

다림질 온도 방법 순서

의복보관보관방법 옷 종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

수납방법 가족별 용도별 계절별

의복수선과 재활용

옷 만들기 의복구성 원리디자인 및 소재 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

질하기 마무리와 평가하기

의복수선 옷 고쳐입기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기 염색 페인

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

재활용 리폼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

친환경패스트 패션 슬로우 패션 3R 운동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소비

Table 2 Content elements of unit

섬유와 옷감으로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으로 의복손질

은 관리방법 세탁 다림질로 나누었으며 관리방법은 오염물제

거 얼룩제거로 세탁은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

취급표시로 다림질은 온도방법 순서로 추출되었다 의복보관

은 보관방법 수납방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보관방법은 옷 종

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으로 수납방법은 가족별 용도별 계절

별로 추출하였다 의복수선과 재활용은 옷만들기 의복수선 재

활용으로 개념을 나눌 수 있었으며 옷 만들기는 의복 구성원리

디자인 및 소재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질하

기 의복수선은 고쳐입기 친환경은 재활용과 친환경으로 추출

하였다 고쳐입기는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

기 염색 페인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

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은 리폼(reform)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upcycle) 친환경은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슬로우 패션(slow fashion) 3R 운동

(reduce reuse recycle) 생산 가공 사용 폐기 과정의 문제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 소비로 추출할 수 있었다(ltTable 2gt)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라 각 내용간의 중복내용과 연결요소를

고려하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

택과 구입rsquo에서는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등 4개 lsquo의복손질과 관

리rsquo에서는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등 3개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

경적 의생활rsquo 등 3개의 개념도이며 각 개념의 내용요소들을 세

분화하여 연결하였다

2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 개념도

1)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개념도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중심개념은 의복마련 계획의 필요성과 의

복조사하기 계획표 작성하기 마련방법 정하기 등이다 의복 구

입 시 만족스러운 의생활을 위해 예산에 맞는 의복계획을 세워

낭비와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바람직한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에 의복마련계획이 필요하다 의복마련계획의 순서의 첫 번째

17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3 Clothing purchase plan

단계인 조사하기에서 의복구매가 필요한 옷과 수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신의 가진 의복의 계절 형태 디자인 사

용 상태 등에 따라 의복의 마련을 계획할 수 있는 의복목록표

를 작성하도록 한다 의복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코트 자켓

점퍼 셔츠 스웨터 스커트 바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계절

에 따라 봄가을 여름 겨울로 나눌 수 있으며 또 잘 입는 옷과

잘 입지 않는 옷들을 나누어 의복목록표로 나타낸다 의복목록

표를 통해 처리해야할 옷들과 마련방법을 결정하는데 잘 입지

않는 옷의 처리에는 기부하기 바꿔 입기 팔기 고쳐 입기 등이

있으며 마련방법으로는 물려입기 빌려입기 새로 구입하기 등

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 필요성을 포

함하여 우선순위 수량 구매비용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구매 장

소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복마련 계획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3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lsquo의복 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의 개념도

의복을 새로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은 구입 장소와 시

기 가격을 고려해야하는데 의복의 구입 장소는 소매점 도매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의복 구입비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입할 의복을

고를 때는 디자인 착용감 바느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디자인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8: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6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Standard establishment

Content analysis

Key concept classification

Preliminary concept map

Add of linking phrases

Add of concept link

Look for crosslink

Review

Final concept map

Figure 2 Development process of concept map

적인 개념을 가장 높은 순위로 하여 특정 문제 또는 상황에서

가장 구체적인 개념을 가장 아래로 설정하였다 둘째 가장 중

요하고 포괄적인 개념을 시작으로 그 개념과 관련된 중요한 개

념을 두 번째 개념으로 선택하여 두 개념 사이의 연결선을 그렸

다 셋째 두 개념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그 내용영역으로부터

다른 개념을 골라 관련성을 고려하여 관련되는 개념 단어들 각

각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였다 넷째 학습내용에 대한 중요한

핵심 개념 모두가 포함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하여 전체적으

로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는 순환적으로 이루어졌

으며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이 적절하

게 전개되는지 각 개념들이 관련 있는 개념끼리 연결되어 있는

지 개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연결어가 잘 표현되었는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개념도를 반복검토하고 추가로 가정교육학

전공교수와 가정교육학 전공자 2인의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

였다

Ⅳ 연구결과

1 lsquo의복의 선택과 관리rsquo 단원 내용요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가정생활 군에서 대단원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의 중단원 영역 985172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985173단원은 각 교과서마다 단원명과 전개상에 있어 구성

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

과정 성취기준과 전공 서적을 참고하였지만 준거 설정에 있어

교과서의 내용체계를 고려하여 연관성을 우선시하였기 때문에

상위하위 요소가 다르게 나올 수 있었다 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포괄적인 개념은 의복선택 계획 구입(구매) 보관 세탁

의복구성 옷감특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의복선택은 구입 과정까지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의

복계획과 구입을 포함하였으며 의복계획은 의복마련계획으로

의복마련의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을 포함하였다 의

복선택은 의복구입 구입시 고려사항 품질표시로 의복재료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9

단원 범주 영역 세부개념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계획 의복마련계획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

의복선택

의복구입 구입 시기 장소 방법

고려사항기성복선택방법 품질체크 표시 디자인 맞음새 바느질 마름질

품질표시 치수 섬유조성 혼용율 취급상 주의 공인기호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재료 섬유와 옷감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

의복손질

관리방법 오염물제거 얼룩제거

세탁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취급표시

다림질 온도 방법 순서

의복보관보관방법 옷 종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

수납방법 가족별 용도별 계절별

의복수선과 재활용

옷 만들기 의복구성 원리디자인 및 소재 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

질하기 마무리와 평가하기

의복수선 옷 고쳐입기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기 염색 페인

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

재활용 리폼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

친환경패스트 패션 슬로우 패션 3R 운동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소비

Table 2 Content elements of unit

섬유와 옷감으로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으로 의복손질

은 관리방법 세탁 다림질로 나누었으며 관리방법은 오염물제

거 얼룩제거로 세탁은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

취급표시로 다림질은 온도방법 순서로 추출되었다 의복보관

은 보관방법 수납방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보관방법은 옷 종

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으로 수납방법은 가족별 용도별 계절

별로 추출하였다 의복수선과 재활용은 옷만들기 의복수선 재

활용으로 개념을 나눌 수 있었으며 옷 만들기는 의복 구성원리

디자인 및 소재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질하

기 의복수선은 고쳐입기 친환경은 재활용과 친환경으로 추출

하였다 고쳐입기는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

기 염색 페인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

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은 리폼(reform)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upcycle) 친환경은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슬로우 패션(slow fashion) 3R 운동

(reduce reuse recycle) 생산 가공 사용 폐기 과정의 문제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 소비로 추출할 수 있었다(ltTable 2gt)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라 각 내용간의 중복내용과 연결요소를

고려하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

택과 구입rsquo에서는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등 4개 lsquo의복손질과 관

리rsquo에서는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등 3개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

경적 의생활rsquo 등 3개의 개념도이며 각 개념의 내용요소들을 세

분화하여 연결하였다

2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 개념도

1)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개념도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중심개념은 의복마련 계획의 필요성과 의

복조사하기 계획표 작성하기 마련방법 정하기 등이다 의복 구

입 시 만족스러운 의생활을 위해 예산에 맞는 의복계획을 세워

낭비와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바람직한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에 의복마련계획이 필요하다 의복마련계획의 순서의 첫 번째

17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3 Clothing purchase plan

단계인 조사하기에서 의복구매가 필요한 옷과 수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신의 가진 의복의 계절 형태 디자인 사

용 상태 등에 따라 의복의 마련을 계획할 수 있는 의복목록표

를 작성하도록 한다 의복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코트 자켓

점퍼 셔츠 스웨터 스커트 바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계절

에 따라 봄가을 여름 겨울로 나눌 수 있으며 또 잘 입는 옷과

잘 입지 않는 옷들을 나누어 의복목록표로 나타낸다 의복목록

표를 통해 처리해야할 옷들과 마련방법을 결정하는데 잘 입지

않는 옷의 처리에는 기부하기 바꿔 입기 팔기 고쳐 입기 등이

있으며 마련방법으로는 물려입기 빌려입기 새로 구입하기 등

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 필요성을 포

함하여 우선순위 수량 구매비용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구매 장

소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복마련 계획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3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lsquo의복 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의 개념도

의복을 새로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은 구입 장소와 시

기 가격을 고려해야하는데 의복의 구입 장소는 소매점 도매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의복 구입비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입할 의복을

고를 때는 디자인 착용감 바느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디자인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9: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69

단원 범주 영역 세부개념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의복선택과 구입

의복계획 의복마련계획 의의 순서 계획표작성 마련방법

의복선택

의복구입 구입 시기 장소 방법

고려사항기성복선택방법 품질체크 표시 디자인 맞음새 바느질 마름질

품질표시 치수 섬유조성 혼용율 취급상 주의 공인기호

의복손질과 관리

의복재료 섬유와 옷감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

의복손질

관리방법 오염물제거 얼룩제거

세탁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취급표시

다림질 온도 방법 순서

의복보관보관방법 옷 종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

수납방법 가족별 용도별 계절별

의복수선과 재활용

옷 만들기 의복구성 원리디자인 및 소재 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

질하기 마무리와 평가하기

의복수선 옷 고쳐입기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기 염색 페인

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

재활용 리폼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

친환경패스트 패션 슬로우 패션 3R 운동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소비

Table 2 Content elements of unit

섬유와 옷감으로 섬유분류 옷감종류 섬유혼방으로 의복손질

은 관리방법 세탁 다림질로 나누었으며 관리방법은 오염물제

거 얼룩제거로 세탁은 세탁방법 세제 세탁원리 후처리 세탁

취급표시로 다림질은 온도방법 순서로 추출되었다 의복보관

은 보관방법 수납방법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보관방법은 옷 종

류 방충제 방습제 거풍으로 수납방법은 가족별 용도별 계절

별로 추출하였다 의복수선과 재활용은 옷만들기 의복수선 재

활용으로 개념을 나눌 수 있었으며 옷 만들기는 의복 구성원리

디자인 및 소재선택 치수재기 본뜨기 마름질하기 바느질하

기 의복수선은 고쳐입기 친환경은 재활용과 친환경으로 추출

하였다 고쳐입기는 덧단대기 옷길이 조절하기 장식품 이용하

기 염색 페인팅 단 처리하기(공그르기 감침질 새발뜨기 접

어박기) 단추달기 솔기수선 재활용은 리폼(reform) 생활용품

만들기 장식품 붙이기 헌옷활용 업사이클(upcycle) 친환경은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슬로우 패션(slow fashion) 3R 운동

(reduce reuse recycle) 생산 가공 사용 폐기 과정의 문제

재사용 지속가능 착한 소비로 추출할 수 있었다(ltTable 2gt)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라 각 내용간의 중복내용과 연결요소를

고려하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

택과 구입rsquo에서는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등 4개 lsquo의복손질과 관

리rsquo에서는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등 3개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

경적 의생활rsquo 등 3개의 개념도이며 각 개념의 내용요소들을 세

분화하여 연결하였다

2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 개념도

1)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개념도

lsquo의복마련계획rsquo의 중심개념은 의복마련 계획의 필요성과 의

복조사하기 계획표 작성하기 마련방법 정하기 등이다 의복 구

입 시 만족스러운 의생활을 위해 예산에 맞는 의복계획을 세워

낭비와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바람직한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

에 의복마련계획이 필요하다 의복마련계획의 순서의 첫 번째

17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3 Clothing purchase plan

단계인 조사하기에서 의복구매가 필요한 옷과 수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신의 가진 의복의 계절 형태 디자인 사

용 상태 등에 따라 의복의 마련을 계획할 수 있는 의복목록표

를 작성하도록 한다 의복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코트 자켓

점퍼 셔츠 스웨터 스커트 바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계절

에 따라 봄가을 여름 겨울로 나눌 수 있으며 또 잘 입는 옷과

잘 입지 않는 옷들을 나누어 의복목록표로 나타낸다 의복목록

표를 통해 처리해야할 옷들과 마련방법을 결정하는데 잘 입지

않는 옷의 처리에는 기부하기 바꿔 입기 팔기 고쳐 입기 등이

있으며 마련방법으로는 물려입기 빌려입기 새로 구입하기 등

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 필요성을 포

함하여 우선순위 수량 구매비용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구매 장

소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복마련 계획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3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lsquo의복 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의 개념도

의복을 새로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은 구입 장소와 시

기 가격을 고려해야하는데 의복의 구입 장소는 소매점 도매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의복 구입비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입할 의복을

고를 때는 디자인 착용감 바느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디자인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10: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7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3 Clothing purchase plan

단계인 조사하기에서 의복구매가 필요한 옷과 수량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자신의 가진 의복의 계절 형태 디자인 사

용 상태 등에 따라 의복의 마련을 계획할 수 있는 의복목록표

를 작성하도록 한다 의복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코트 자켓

점퍼 셔츠 스웨터 스커트 바지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계절

에 따라 봄가을 여름 겨울로 나눌 수 있으며 또 잘 입는 옷과

잘 입지 않는 옷들을 나누어 의복목록표로 나타낸다 의복목록

표를 통해 처리해야할 옷들과 마련방법을 결정하는데 잘 입지

않는 옷의 처리에는 기부하기 바꿔 입기 팔기 고쳐 입기 등이

있으며 마련방법으로는 물려입기 빌려입기 새로 구입하기 등

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로 구입하기 위해서 필요성을 포

함하여 우선순위 수량 구매비용 조화 등을 고려하여 구매 장

소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의복마련 계획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3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lsquo의복 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의 개념도

의복을 새로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은 구입 장소와 시

기 가격을 고려해야하는데 의복의 구입 장소는 소매점 도매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의복 구입비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지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구입할 의복을

고를 때는 디자인 착용감 바느질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디자인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11: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1

Figure 4 Clothing purchase

은 체형과 피부색 얼굴형에 맞을 분만 아니라 색상도 잘 맞아

야 하며 기존의 옷들과 조화도 고려해야 한다 구입 후 관리에

용이할 수 있도록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겉감 혹은 안감의 재질

을 확인하여야 한다 착용감과 바느질을 고려해 몸과 잘 맞는지

움직이기 편안한지 단추 지퍼 시접 등은 잘 달려있고 여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의복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개념도는 ltFigure 4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lsquo품질표시rsquo 확인의 개념도

의복의 품질 표시에는 재료표시 치수표시 취급상의 주의가

있다 재료표시는 섬유의 종류 혼용률 겉감 안감에 따라 다르

게 표기하고 있으며 치수표시는 남녀에 따라 치수 표기가 다르

게 나타나며 우리나라 의류제품의 치수는 상품별로 표준화하여

공업규격으로 정하고 있다 치수표시 중 상의의 치수는 가슴둘

레 신장 등이 표시되고 하의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을 표

기한다 코트 자켓 원피스류에서 남자는 가슴둘레 허리둘레

신장을 표기하고 여자는 가슴둘레 엉덩이둘레 신장을 표기하

며 와이셔츠류는 목둘레 소매길이가 표시된다 lsquo품질표시rsquo 확

인에서 의복의 사이즈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5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취급상 주의에서는 세탁 방법 짜는 방법 건조방법 다림질

방법 표백 방법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섬유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자세히 표기되어 있어 의복의 취급에 대하여 간편하고 정

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세탁방법으로는 물세탁 방법과 드라이

클리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물세탁은 손세탁과 세탁기를 이용

한 기계세탁으로 나눌 수 있다 품질표시에는 손세탁의 종류보

다는 손세탁의 가능여부와 세탁이 가능한 물의 온도를 알려주

고 있으며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에서는 삶기가 가능하지만 물

세탁이 가능하지 않은 옷도 있다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

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

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석유계와 염소계로 구분하며 초

기에는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을 드라이클리닝 용

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유사 물질인 트

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과 함께 유해물질로 지정되었

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

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다림질 방법은 옷감에 따라 달라지며 면 마는 다리미의 온도

를 180~210로 두는 것이 좋으며 견 모 레이온은 다리미

온도 140~160로 천을 깔고 다림질 할 수 있다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테르는 다리미 온도 80~120로 다림질 할

수 있다 표백 방법은 의복의 옷감에 따라 염소계 표백제를 사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12: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7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5 Size

Figure 6 Handle with care

용할 수 있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옷감을 표기하고 있다 의복품

질표시는 의복을 올바르게 선택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

고 있어 효율적인 의복 관리를 위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품질

표시 확인에서 의복 관리에 있어 유의점들을 다루는 취급상 주

의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6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의 개념도

세탁 시 의복의 종류와 형태 색상 더러워진 오염 종류와 정

도에 따라 세탁물을 나누어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다 이 때 품

질표시에 제시된 취급 시 유의사항을 확인하여 세탁에 주의하

도록 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세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혼

방 제품은 세탁이 약한 섬유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옷의 형태는 직물 니트 가죽 레이스 등 소재로 구분하고 연

한 색 진한 색 등 색상별로 구분하여 세탁방법을 정해 세탁물

을 분류한다 수용성 오염은 물세탁을 지용성 오염은 드라이클

리닝이 효과적이며 오염이 심한 세탁물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별로 세탁방법을 달리 할 수 있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13: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3

Figure 7 Categorizes laundry

는데 손세탁의 경우 섬유에 따라 흔들어 빨기 주물러 빨기 비

벼 빨기 두드리거나 밟아 빨기 솔로 문질러 빨기 삶아 빨기

등 옷감의 성질이나 오염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

로 세탁하여야 한다 면 마의 경우 보통 비벼 빨거나 속옷의 경

우 삶아 빨 수도 있다 견 모는 드라이클리닝이 안전하며 물세

탁의 경우 견 스카프는 흔들어 빨고 견 모 편성물은 주물러

빨거나 눌러 빤다 재생섬유인 레이온은 물세탁할 경우 주물러

빨고 아세테이트는 드라이 클리닝하는 것이 좋다 합성섬유는

세탁방법에 크게 상관하지 않지만 고온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와 같이 세탁할 때 세탁물을 분류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물세탁

방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7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5) lsquo얼룩빼기rsquo의 개념도

의복의 손질에서 얼룩빼기는 의복과 옷감 등에 묻은 얼룩 때

문에 전체를 세탁할 수 없는 경우 보통 세탁으로 없앨 수 없는

경우 등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제거법이 달라지는데 지용성 수용성 단

백질 불용성 얼룩의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식용유 버터와 같은

지용성 얼룩은 탈지면으로 흡수한 다음 벤젠으로 닦아내고 옷

감에 묻은 벤젠성분은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다 먹물은 밥알

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뺄 수

있다 수용성 얼룩인 주스와 커피는 찬물에 쉽게 제거되나 색소

가 남으면 암모니아수로 처리한다

단백질 얼룩인 유성잉크는 벤젠이나 알코올로 제거 후 세제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14: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7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8 Remove stain

로 씻어 제거하는데 물파스를 발라주어 빼기도 하며 혈액은 찬

물로 얼룩을 뺀 후 무즙으로 문질러 제거할 수 있다 물에 지워

지지 않는 불용성 얼룩인 껌은 얼음으로 긁어낸 후 얼룩은 아세

톤으로 녹여서 제거할 수 있으며 쇳물은 표백제에 담갔다가 충

분히 헹구고 암모니아수로 중화한 후 다시 세탁한다 얼룩이 묻

어 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 성분이 변하여 옷을 상하게 할 뿐

아니라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옷감과 얼룩의 종류를 파악하여

즉시 처리하여야 한다 얼룩의 종류에 따라 얼룩을 제거하는 방

법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8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lsquo물세탁하기rsquo의 개념도

물세탁은 세제와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손세탁과 기계세탁이 있다 손세탁은 세제와 물의 사

용량을 줄이고 옷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

적 비용이 커서 주로 기계세탁이 이뤄지고 있다

물세탁은 수용성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세탁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복의 형태가 변하거

나 수축하고 의복색상이 변색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할

때는 적당량을 모아 세탁의 횟수를 줄이고 적당한 양의 세제와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탁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물세탁의 순서는 애벌빨래 본빨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

로 이뤄진다 애벌빨래는 본빨래 전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지근한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주물러 빠는 것으로 오염을

제거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시간과 세제를 절약할 수 있으며

면 마섬유에 적합하다 본빨래는 세제의 종류 세제농도 세탁

시간 세탁온도 등을 잘 지켜서 세탁하는 것이 좋으며 의복의

특성에 맞는 세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필요이상의 세제를 사용

하면 세탁효과가 감소하고 옷감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표준권장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세제의 종

류에는 합성세제 농축세제 고밀도 세제 등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세제의 농도는 보통 02~03가 적당하다 세탁온도는 일

반적으로 30~40가 적당하며 열에 약한 견 모 합성섬유는

조금 낮은 온도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고 열에 강한 면직물은 오

염이 심하면 삶아 빨 수 있다 세탁시간은 세탁물에 양에 따라

다르지만 세탁시간이 길어지면 옷감이 손상되고 재오염될 수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15: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5

있으므로 10~20분 정도가 적당하다

헹굴 때는 물의 온도가 본빨래와 같거나 약간 높은 것이 효과

적이며 많은 물로 한 번에 헹구는 것보다 여러 번으로 나누어

헹구는 것이 좋다 마지막 헹굼 물에 유연제를 넣으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수할 때는 옷

감이 상하지 않도록 약하게 짜거나 단시간에 탈수하여야 좋다

탈수한 뒤 그대로 두면 구김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접

어 두드리거나 털어 말리면 구김이 덜 간다 견 모 나일론 아

세테이트 섬유 등 햇빛에 약한 섬유는 그늘에서 말린다 물세탁

의 순서에 따른 세탁방법 및 유의점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9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의 개념도3)

의복의 손질에서 의복 수선은 솔기가 뜯어지거나 길이가 짧

아진 옷 단추가 떨어진 옷 등 비교적 간단하게 몇 가지 간단한

손바느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고쳐 입을 수 있는데 장점이

있으며 수선하기의 방식은 솔기 꿰매기 밑단 고치기 단추달기

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솔기 꿰매기는 손바느질의 기본이 되는 박음질과 홈

질 공그르기로 수선할 수 있다 천과 천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박음질은 반듯하게 직선으로 나가면서 바느질선이 이어

지는데 온바느질과 반박음질로 나눌 수 있다 온바느질은 시작

점에서 한 땀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뒤에 바늘 뽑은 구멍에 다

시 바늘을 꽂아서 앞으로 한 땀을 겉자락이 줄어들지 않도록 꿰

매는 바느질이며 반바느질은 전에 바늘을 들이민 구멍과 바늘

을 빼낸 구멍의 중간에 바늘을 들이밀어서 앞으로 한 땀을 비켜

서 뜨는 방식이다 홈질은 간단한 기초 바느질로 두 장의 천을

이을 때 많이 사용한다 주로 옷의 타진 곳이나 구멍난 곳을 꿰

맬 때 또는 개더를 잡거나 솔기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시작

할 지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빼는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천을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계속하여 거의 같은 길이의 바

늘땀으로 떠가는 방식이다 바늘땀의 크기는 옷감의 두께와 용

도에 따라 다르지만 바늘땀이 고르고 천이 주름지지 않아야 한

다 공그르기는 재킷이나 치마의 아랫단을 접어 꿰맬 때 가는

끈을 접어 겉에서 꿰맬 때와 같이 단을 꿰매거나 안단을 고정시

킬 때 주로 쓰이며 보통은 감침질보다 힘을 덜 받는 부분에 쓰

인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창구멍 등을 마무리할 때

겉과 안에 모두 바느질 땀이 작게 보이도록 헝겊의 시접을 접어

맞대고 바늘을 양쪽 시접에서 번갈아 넣어 실땀이 겉으로 나오

지 않게 속으로 떠서 꿰매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은 단을 처

리할 때 쓰는 방법으로 접은 솔기 사이로 바늘을 넣어 뽑으면서

바닥의 올을 뜨는 것을 반복한다 바늘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바늘을 시접 속으로 숨겨 떠서 바늘땀이 나타나지 않게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바느질해나간다

두 번째 밑단 고치기는 공그르기뿐만 아니라 감침질과 새발

뜨기를 이용할 수 있다 감침질은 감치기라고도 하며 홈질 다음

으로 많이 쓰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겉면에 바느질이 나타나지

않도록 바늘땀을 조금씩 떠야 하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

에서 위로 진행해 나간다 바느질감이 홑감인 경우에는 맨 가장

자리를 실올이 풀리지 않도록 안으로 두 번 접은 다음 첫 번 접

은 끝과 바닥의 올을 얕게 뜨면서 용수철 모양으로 감아 꿰맨

다 두 직물의 경우도 끝단을 마주대고 같은 방법으로 감아 꿰

매며 표면에 나타나는 바늘땀은 될 수 있는 한 가늘고 작게 한

다 감침질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안쪽에서 감칠 때 바늘

을 곧게 세워 뜨고 실밥이 어슷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과 다른

방법은 겉에서 감칠 때 실밥이 작게 나오도록 바늘을 어슷하게

꽂아 뜨는 것이다 새발뜨기는 천을 안으로 꺾어 넣고 가장자리

를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으로 주로 두꺼운 옷감의 단이나 시접

처리에 사용하며 심을 겉감에 붙일 때에도 사용하는 바느질이

다 두꺼운 옷감의 경우 두께의 약 반만 바늘로 떠서 겉에서는

바늘땀이 보이지 않도록 하며 얇은 옷감을 바느질할 때에는 작

은 바늘을 사용하는데 ㅅ 자 모양으로 바느질하며 겉모양은 공

그르기와 같다

세 번째 단추달기는 구멍단추 달기와 기둥단추 달기 고리단

추나 똑딱단추를 달 때로 구분할 수 있다 구멍단추 달기는 기

둥단추 달기는 바늘에 꿴 실을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

치에서 옷의 뒤에서 앞으로 단춧구멍을 통과하고 다른 단춧구

멍으로 바늘을 통과시킨 뒤 옷감과 단추 사이를 느슨하게 반복

한 뒤 나머지 구멍도 반복하여 단추와 옷 사이로 바늘을 빼서

감아 실기둥을 만들고 옷의 안쪽에서 바늘을 빼서 한 땀 뜬 다

음 바늘 끝에 실을 몇 번 감아 빼고 매듭을 지은 후 마무리하는

3) 두산백과 참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16: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7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9 Water washing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17: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7

Figure 10 Repair Clothing

방법이다 기둥단추 달기는 실을 바늘에 꿰어 시작매듭을 지은

후 단추 달 위치에서 옷감의 뒤에서 앞으로 바늘을 단추 구멍을

통과시키고 다른 단추 구멍도 통과 한 후 매듭을 짓고 마무리하

는 방법이다 단추 외 고리단추나 뚝딱 단추를 달 때는 한쪽 구

멍으로 바늘을 빼서 실로 원을 만들고 그 사이로 다시 바늘을

집어넣어 구멍을 빼내는 버튼홀 스티치를 반복하여 달 수 있다

의복 손질에서 간단한 의복 수선의 방법들과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0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8) lsquo옷 고쳐입기rsquo의 개념도

옷 고쳐입기는 유행이 지난 옷이나 작아지거나 싫증이 난

옷 더 이상 입지 않는 옷 등을 간단한 수선으로 변화시키거나

다양하게 장식하여 새롭게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옷 고쳐입기

의 방법에는 형태변형하기 길이 늘이기 장식하기 염료나 물

감을 이용하기 등이 있다 형태 변형하기에서는 짧아지거나 찢

어진 옷 혹은 안 입는 옷의 길이를 잘라 반바지로 활용하거나

간단한 수선을 통하여 가방 베개 쿠션 손지갑 주머니 등으로

바꿔 재활용할 수 있다 길이 늘이기에서는 바지길이가 짧아진

경우 바지단을 늘이거나 다른 천을 덧대어 길이를 늘이는 방법

이 있으며 품이 작아진 옷들도 시접 여유분을 확인하여 늘일

수 있다 염료나 물감을 이용하기에서는 입던 옷의 색상을 변

경하거나 옷감의 바랜 부분이나 얼룩을 감출 수 있으며 염색을

통해 다른 색으로 염색하거나 스텐실로 무늬를 찍고 문양을 넣

을 수 있다 염료는 숯 황토 치자 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입혀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장식하기는 옷이 떨어

지거나 낡은 부분에 와펜 비즈 스팽글 핫픽스 단추 등을 이

용하여 장식하거나 글씨나 그림을 그리는 얇은 가공지인 전사

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문양을 붙여 변화를 줄 수 있다 형태

를 변형하거나 장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개성 있는 나만의 옷을

만드는 것은 물론 의복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실생활에 활

용이 가능한 옷 고쳐입기와 관련한 개념도는 ltFigure 11gt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의 개념도4)

의복은 원료를 생산하고 제품을 사용하며 폐기하는 모든 환

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을 생각하고 합리적

인 소비문화 의생활 문화 소비와 자원관리 방법까지 연결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의복의 생산 가공 사용 폐기까

4)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 교과서(최유현 외 2013) 참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18: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7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Figure 11 Reform clothing

지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복의 생산과정에서 천연섬유와 인

조섬유를 이용하여 실을 얻고 실이 직물이 되는 방적이나 방직

과정에서 사용하는 표백제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되며 직물이 의복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염색 표백

제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들이 생겨나게 된다 의복을 구입

하여 사용하게 되면 의복을 관리하고 세탁하는 과정에서 합성

세제 드라이클리닝 용제 섬유유연제 방충제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이 일어나고 물과 전기와 같은 에너지 사용도 늘어나게 된

다 입지 않거나 낡아진 의복을 매각하거나 매립하는 폐기과정

에서도 쓰레기의 처리양이 늘어나는데 친환경적 의생활은 섬유

개발과 가공 과정에서 천염식물을 추출하거나 천염염료를 사용

하고 친환경세제를 사용하거나 폐식용유로 비누와 같은 세제로

재활용하는 등 실생활에서 실천가능하다 최근 의생활 변화의

흐름으로 패스트 패션과 슬로우 패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하여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데 유행을 즉각 반영한 디자인 비

교적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승부하는 패션 또는 패

션사업을 뜻하는 말이다 즉시 먹을 수 있는 패스트 푸드(fast

food)와 같이 빠르게 제작되어 빠르게 유통된다는 의미에서 패

스트 패션(fast fashion)이라고 한다 반면 슬로우 패션은 친환

경적인 소재와 염색 방법 등을 이용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션을 말하며 트렌드를 쫓아가지 않

고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이 이에 해당한다 슬로 패션을

지향하는 업체는 유기농 및 재활용 소재로 옷을 만들고 공정 거

래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

고 있다 의복의 소비에 있어서도 나누기 교환하기 기부하기

등을 실천할 수 있는데 섬유제품에 있어 합리적인 소비로 폐기

하는 섬유의 양을 줄이기(reduce) 수선이 가능한 의복은 재사

용하기(reuse) 착용 불가능한 옷은 회수하여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로 재생하기(recycle) 등을 의미하는 3R 운동까지 실천을

장려하고 있다

이처럼 의복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과정까지 많은 자원이 사

용되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 문제까지 생겨나고 있다 실생활에

서 의복을 합리적으로 소비하고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실천들이 필요하다 친환경적 의생활과 관련한 개념도

는 ltFigure 12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19: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79

Figure 12 Eco-friendly clothing life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20: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8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 내용분

석을 통하여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인 수업전략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

록 내용분석을 위하여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을 분

석대상으로 삼았으며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

준을 준거로 하여 의생활 영역 전공서적을 참고하였다 개념도

개발은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

와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성취기준에서 핵

심 내용기준은 의복의 기능 선택 계획 구입 옷감특성 세탁

보관 의복구성 옷 만들기 옷 고쳐입기 재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범주와 상위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내용체계가 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lsquo의복의 기능rsquo은 내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

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였다 교과서마다 내용체계의

구성이 영역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었지만 세 범주를 준거 기준

에 부합하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으로 하여 이에 따

라 소단원 수준을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여 내용요소로 포함될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하위 영역

과 내용요소들과의 관계와 중복성을 고려하여 주제를 선정하였

다 개념도 개발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활용과 연결선 개념간의

상관관계와 위계를 고려하는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

여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개념도의 구성은 lsquo의복

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

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 등

이다 의생활 영역에서 개발된 개념도의 유형은 관련 개념들과

의 구성에 있어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인과적인 관계 범

주적인 관계 위계적인 관계들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생활 영역의 학습을 촉진하고 시각적인 자료

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음

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개념도의 작성 측면에서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전개 순

서를 참고하여 보완하였으나 개념도 구조와 학습 자료를 연결

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인지구조에 따른 주관이 관여되어 있

을 개연성이 있다 이는 내용지식에 중점을 두고 개념간의 연관

성에 따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며 사고를 확장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의 활용 측면에서 개념도는 지식의 체계가 아니

며 그 체계를 구조화하거나 조직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다양한 배경 속에서 설명하는 설명

식 학습에 유리하므로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개념간

의 깊이와 범주를 파악하여 보충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념의 체계와 속성 개념에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 등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형태와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

셋째 개념의 습득을 위해서 단순히 개념을 분류하는 수준이

아니라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한다

학습자는 실제상황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념을 통해 추론 문

제해결과 같은 고차적인 사고의 기능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으

므로 지식형성 과정에서 전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현장

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요

구되며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평가도구로 활용된다면 더욱 효과

적일 것이다

특히 2015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이 핵심개념 중심으로 구

성되고 있어 개념도의 활용은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개념과 아이디어에 새롭게 학습할 내용을 구조화하

여 제시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과서의

체계와 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지만 개념도는 개념간의 연결

을 통한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

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영

역에서 방법습득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에 그치지 않고 내용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21: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1

계를 파악하여 실제 수업 적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진다면 더욱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참고문헌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New York Grune amp Stratton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mp Winston

Cantildeas A J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Hoffman

R R Feltovich J amp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Pensacola FL Institute for

Human and Machine Cognition

Cho G S (2006) The Newest Clothing Materials Seoul

Sigmapress

Cho S K amp Chae J H (2007)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ndashfocused on lsquo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rsquo-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2) 131-152

Harris L H amp Hodges R E (1995) The literacy dictionary The

vocabulary of reading and writ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Heo I S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leanerrsquos cognitive

structure through concept mapndashcentered on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n the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33 375-405

Heo I S (2002) The mean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ange of cognitive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4)

123-146

Heo I S amp Kim U H (2003) The effect of the utilization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3) 117-129

Jeong D A Nam S J amp Kwon J H (2013) Analysis of

system in geographical concepts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ndashfocused on concept map-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1(1)

1-16

Jonassen D H Beissner K amp Yacci M A (1993) Structural

Knowledge Techniques for Conveying Assessing and

Acquiring Structural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Joyce B Weil M amp Calhoun E (2004) Models of Teaching

7e Park I W Kang Y H Lim B R Choi M S

Lee S S Choi J I amp Cho K L (역)(2005) 교수모

형 7판 Seoul Academypress

Kim H W amp Kim M J (2013) The comparative study of

concept map and language based diagnosis as

assessment tools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9(1) 79-102

Kim J B (2008) Effects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and

self-explanation on text comprehension in a concept

mapping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2(2) 461-478

Kim N E amp Lee H J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lothing life domain in

home economics through a them ndashbased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63-188

Kim S J Yoo H S Lee M Y amp Jeon E K (2005)

Understanding of Clothing Seoul Gyomoonsa

Koh O R amp Cho J I (2001) Using concept maps as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biology concepts

Biology Education 29(1) 11-19

Koo S H amp Chae J H (2009) Graphic organizer development

as advance organizer on the lsquomenu planning and food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61-81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22: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18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 29 No 3

Kwon N W amp Kim D Y (2006)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Seoul Moonumsa

Lee G H amp Cho J S (1996) Teaching plans and aids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8(1) 93-104

Lee Y J amp Kang E C (2012)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ncept teaching programs using graphic organiz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71-496

Lim K Y (2009)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on knowledge acquisi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1-25

Lott G W (1983)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and advanced

organizers upon student outcome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5)

437-451

Marzano R J Norford J S Paynter D E Pickering D J amp

Gaddy B B (2005) A Handbook for Classroom

Instruction that Works Upper Saddle Rive NJ Pearson

Merril Prentice Hall

Mayer R E (1979) Can advance organizers influence meaningfu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9 371-383

Mayer R E (1989) Models of understand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1) 43-6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H K amp Lee Y Y (2009) Research trends in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09-125

Novak J D (1993) A 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usubelrsquos

assimilation theory of learning Paper presented at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6) The Theory underlying

concept maps and how to construct them Technical

Report IHMC CmapTools 2006-01

Novak J D amp Cantildeas A J (2007) Theoretical origins of concept

maps how to construct them and uses in education

Reflecting Education Online Journal 3(1) 29-42

Novak J D amp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ovak J D Gowin D B amp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Pak I R amp Lee E H (2002) A Study on the sequence of

contents in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4(1)

39-54

Park S J (2007)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37-60

Rhee E 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Gyomoonsa

Ryu J H amp Kwon S J (2005)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in a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ask with a concept

map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2) 29-60

Son J S amp Shin H W (2006) Preference perception need to

study practice of learned content and learning needs

with respect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3)

149-161

Stone C L (1983) A meta-analysis of advanced organizer studie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1(7) 194-199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

Page 23: 개념도 개발 Concept Map Development of Eco-friendly Clothing …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2060954809.pdf · Bruner의 주장에 대하여 설명식 학습에서 학습될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의 개념도 개발 183

lt국문요약gt

본 연구는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의생활 영역 lsquo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rsquo 단원에서의 지식을 구조화할 수 있는 시각적

인 수업전략으로서 개념도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준거설정 내용분석 개념추출 개념도 개발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대상은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0종이며 개념도 개발은 Cmap Tools V 60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과 결과는 첫째 준거설정 과정에서 분석준거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설정하였

다 둘째 내용분석 및 개념추출 과정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중단원 수준의 학습내용과 목표를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 lsquo의복손질과

관리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의 세 가지 범주로 파악하고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개념을 추출하였다

셋째 개념도 개발과정은 추출된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재검토 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총 10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

다 개념도 구성은 lsquo의복선택과 구입rsquo에서 lsquo의복마련계획rsquo lsquo의복구입시 고려해야할 점rsquo lsquo품질표시rsquo의 사이즈 취급시 주의사항 lsquo의복

손질과 관리rsquo에서 lsquo세탁물 분류하기rsquo lsquo얼룩빼기rsquo lsquo물세탁하기rsquo lsquo의복수선과 재활용rsquo에서 lsquo의복 수선하기rsquo lsquo옷 고쳐입기rsquo lsquo친환경적

의생활rsquo로 구성되었다

논문접수일자 2017년 09월 07일 논문심사일자 2017년 09월 08일 게재확정일자 2017년 09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