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새꽃(복수초; adonis amuruensisregel & radde) · 2017-03-01 · •...

Post on 26-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얼음새꽃 (복수초; Adonis amuruensis Regel & Radde)

식물분류학: 아마튜어가 존재하는 학문 !

복수초(Adonis amurensis Regel & Radde)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과목소개 및 주의사항• 주교재

분류학개론, 김재근저, 라이프사이언스.

※ 주교재는 매우 간략한 책으로 강의는 주로 부교재 “식물계통학”에서 많은 부분이 포함됩니다.

• 부교재

식물계통학, 김영동 신현철 역, 월드사이언스.

Plant Systematics, Michael G. Simpson, Academic Press.

• 김상태교수와 식물분자계통학실 웹사이트.

http://amborella.net ID: ps PASS: ps

• 게시되어있는 ppt 자료들은 항상 수업 이틀 전 화요일 저녁에 이전 파일이 업데

이트 되니 수업을 위해서는 수요일 이후에 다운 받으시오.

• 파일에는 많은 사진이 들어있으니 절대 모두 출력하지 말고 필요한 부분만 출력

하세요.

현재이루어지고있는연구주제들

교수소개: 생명과학화학부김상태

• 생물학 중 가장 기본적 분야인 분류학을 바탕으로 식물의 계통, 진화,

유전자, 유전체 등을 연구함.

• 특히 다아윈이 말한 “abominable mystery (지독한 의문)" 라고 불리는

꽃식물의 폭발적 진화에 대한 분자 유전학적, 유전체학적 해석과 증거

들을 찾아내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함.

• 꿀풀과(Labiatae)와 사초과(Cyperaceae) 식물의 형태 및 계통학적 연구

• 목련(Magnolia kobus)의 전체 유전체 결정사업

• 원시피자식물(basal angiosperm)들의 꽃발생 유전자들에 대한 진화발생학적 연구

• 한국 자생식물들에 대하여 모바일 기반의 대화형 검색시스템 개발

전공: 식물분자계통학

우리연구실에서는…좋은 곳으로…

식물채집도 가고…

예쁜 꽃도 많이 보고…

식물표본도 연구하고…

DNA도 추출하고…

화석도 케고…

핸드폰 어플도 개발하고…

더 자세한 것을 알고 싶으면아래 웹사이트를 방문하세요.

http://amborella.net

성적 평가

중간고사

40%

기말고사

40%

출석

10%

퀴즈, 리포트

10%

1주차 3월 2일: 강의 내용과 교재 소개, 분류학에 대한 개괄.

2주차 3월 9일: 식물분류학의 기초. (기초용어). 교과서 1장.

3주차 3월 16일: 분류학의 방법과 원리. 교과서 1장.

4주차 3월 23일: 명명법, 표본, 표본관. 교과서 3장.

5주차 3월 30일: 현화식물의 분류와 분류체계: 역사적 배경. 교과서 1장.

6주차 4월 6일: 형태학적 증거1. 교과서 2, 7장.

7주차 4월 13일: 형태학적 증거2. 교과서 2, 7장.

8주차 4월 20일: 중간고사

9주차 4월 27일: 기타 증거. 교과서 2장.

10주차 5월 4일: 분자계통학적 증거. 교과서 2장.

11주차 5월 11일: 피자식물의 기원. 교과서 7장.

12주차 5월 18일: 현장학습: 국립수목원 방문

13주차 5월 25일: 진정쌍자엽식물 1. 교과서 7장.

14주차 6월 1일: 진정쌍자엽식물 2. 교과서 7장.

15주차 6월 8일: 기말고사

강의 스케쥴

분류Classification

도서관의 책

신발장의 신발들

컴퓨터 파일들과 폴더

표본장의 표본

김상태씨 “정리” 좀 하고 사세요!

• 분류 : 사물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빠른 접근법.

- 잘된 분류를 보면 대상을 체계적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분류란 무엇인가?

• 수학적, 논리적 의미의 좋은 분류1) 분류의 단위가 명확해야 한다.2) 분류의 대상 및 범위가 명확해야 한다.3) 어떤 기준으로 분류된 각각의 대상은 오직 한 군에만

속해야 한다 (중복금지).4) 분류 후 어떤 군에도 속하지 않는 나머지가 생기면 안된다.

• 일반 사물의 분류와 “생물”분류의 차이점:

“계통”을 반영하는 분류가 전체 생물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체계적인 분류 방법임.

• 분류학

1) 생물의 다양성에 관한 학문

※ 5월 22일은 IUCN (세계자연보존연맹)에서 제정한

생물 다양성의 날!

2) “이름”과 이들의 계통적 유연관계에 대한 학문

왜 생물다양성이 중요할까?

분류학은 생물의 “다양성”에 대한 학문

Nature: species Jenga

예1) 기생성 새삼(Cuscuta japonica Chois.)의 기생 뿌리 발달에 대한 연구

사용 재료가 새삼이 아닌 실새삼(Cuscuta australis R.Br.) 으로 밝혀짐.

이 경우 발표된 논문은 전 세계 사람들과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분류학: “이름”과 이들의 계통적 유연관계에 대한 학문• 이름 명확하지 않을 때는 어떤 문제가 있을까?

• 예2) 사물탕의 약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

사물탕 四物湯

당귀(當歸) Angelica gigas Nakai

숙지황(熟地黃) Rehmannia glutinosa (Gaertner)Liboschitz

천궁(川芎) Cnidium officinale Makino

작약(芍藥) Paeonia lactiflora var. hortensis Makino

사용된 종들이 실험자 마다 서로달라 상이한 결과가 나옴.

Take home message

• 분류학은 생물 다양성에 관한 학문• “이름”은 분류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다음시간:

- 교과서 제 1장과 2장을 읽어오고

- 웹사이트에 게시된 ppt 파일을 미리 확인!

식물분자계통학실 운정켐퍼스 A246

http://amborella.net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