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37
유전자조작 농산물 2000. 6 홍정기

Upload: others

Post on 11-Sep-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2000. 6

홍정기

Page 2: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본 보고서는 산업연구센터 홍정기 부연구위원이

집필한 것입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LG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혀드립니다.

Page 3: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 목 차 >

< 요약 >

I.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개요·1

1.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개념·1

2.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형성·2

II.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동향 및 전망·4

1.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 동향·4

2.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논쟁·7

3.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전망·10

III. 주요 선진기업들의 동향 및 사업전략·17

1. Monsanto·19

2. DuPont·22

3. Novartis·24

Ⅳ. 시사점 및 향후 과제·26

1. 시사점·26

2. 국내 현황 및 향후 과제·28

<참고문헌>·30

Page 4: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 표Ⅰ-1 > 유전자조작 농산물 개발 연혁·3

< 표Ⅱ-1 > 주요 유전자조작 농산물 개발 현황·6

< 표Ⅱ-2 > 유전자조작 농산물 연구개발 현황·16

< 표Ⅲ-1 > Monsanto의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 투자실적·20

< 표Ⅲ-2 > Monsanto의 R&D 파이프라인·21

< 표Ⅲ-3 > DuPont의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 투자실적·23

< 그림Ⅱ-1 > 유전자조작 농산물 재배면적 추이·5

< 그림Ⅱ-2 >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세계 시장규모 전망·12

< 그림Ⅱ-3 >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성장 전망·13

< 그림Ⅲ-1 > 선진 생명과학기업의 농업바이오 사업전략·18

< 표·그림 목차 >

Page 5: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i

< 요 약 >

■ 유전자조작 농산물이란 특정 생물로부터 유용한 유전자를 취해 이를 기존의 작물에 도입함으로써 그와 동일한 유전자 기능을 발휘하도록 조작된 농산물

을 말함.

○ 유전자조작 농산물은 동식물 등 유전자조작 생명체를 통칭하는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의 일부라 볼 수 있으며, 형질전환작물(Transgenic Plants)이라 부르

기도 함.

■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본격적인 사업화는 농화학기업의 참여와 함께 시작되

었음. 1996년 미국의 Monsanto는 자사의 ‘Roundup’이라는 제초제에 내성을 지닌 제초제 내성(상품명 Roundup Ready) 콩을 개발, 시판에 들어갔으며 이것이 유전자조작 농산물 최초의 히트 제품으로 기록됨.

■ 유전자조작 농산물은 현재까지 미국을 중심으로 곡물, 야채, 과일 등을 대상

으로 4,500종 이상이 실험되었으며, 1998년 현재 43종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작물별로는 옥수수가 13종으로 가장 많고, 토마

토가 11종, 콩이 4종 등임.

■ 유전자조작 농산물 재배면적 또한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임. 1998년 현재 전세계 유전자조작 농산물 재배면적은 7천5백만 에이커로 1996년 상업재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불과 2년만에 1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국가별로는 1998년 미국의 재배면적이 6천만 에이커로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

으며, 이밖에 중국,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의 재배면적이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남.

○ 한편 작물별로는 옥수수, 콩, 면화, 유채 등의 4대 작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들에 의하면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세계 시장

규모는 1998년 현재 약 4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그러나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존 작물과 분리되어 유통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확인되지 않은 물량을 포함할 경우 실제 시장규모는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됨.

Page 6: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ii

■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거듭하던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이 위축될 기미를 보이고 있음. 이에 따라 매년 2배 이상의 증가세를 보이던 유전자조작 농산물 재배면적이 금년에는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됨.

■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은 향후 2, 3년간 성장세 둔화가 불가피하겠지만 장기적인 전망은 여전히 밝은 것으로 보임. 향후 시장규모에 대해서는 기관별

로 전망이 엇갈리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가 바이오산

업에 있어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리라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의견이 일치하고 있음.

■ 현재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는 발전단계상 아직까지 도입기에 위치한 것으

로 파악됨. 지금까지 유전자조작 농산물 개발은 수확량 증대에 주로 초점이 모아져 왔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영양 성분 개선, 공업제품 생산, 의약품 생산 등 무궁무진한 파생 사업기회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식물의 유전자 연구작업이 진전될 경우 향후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개발은 더욱 가

속될 전망임. 이에 따라 Monsanto, DuPont 등을 중심으로 한 대형기업들은 식물의

유전자 해독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90년대 중반 이후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거대 농화

학기업을 중심으로 한 주도권 확보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음. 기업간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농산물 전후방 산업간의 제휴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소수 선도기업에 의해 주도될 것으로 보여 장기적

으로 후발기업들에게는 상당한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전망임.

■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 검증 및 이를 통한 소비자들의 신뢰 확보는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무엇보다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임. 이미 UN, OECD 등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안전성 기준 마련을 위한 검토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향후 2, 3년내에는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개발, 생산, 유통 등에 대한 국제적 기준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이와 함께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본격적 성장을 위해서는 생산 및 유통에 있어

서의 인프라 구축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됨. 즉 농산물 수집 및 유통 단계에서

의 유전자조작 농산물과 기존 농산물의 분리가 가능해야 하며, 가공단계에서 유전

자조작 농산물의 사용 여부를 검사, 표시할 수 있는 체제 구축이 필요할 것임.

Page 7: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iii

■ 유전자조작 콩의 수입 여부를 놓고 첨예한 찬반논쟁을 벌인 바 있는 우리나

라에 있어서도 잠재적 위험성만을 부각시킨 무조건적인 유전자조작 농산물 반대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보임. 식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보다 장기적이고 균형적인 시각에서 유전자조작 농산

물의 득과 실을 검토해야 할 것임.

■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상업적 생산 및 재배 문제와는 별도로 장기적 차원에서의 유전자조작 농산물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이와 함께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과 관련된 제도적 환경도 시급히 정비할 시점

임. 내년으로 예정된 표기제도 시행에 따른 관리시스템 구축은 물론 인체 및 환경

에 대한 국내 자체의 안전성 연구가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 유전자조작 농산물은 이제 도입단계로 향후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 이에 따라 바이오산업에 관심이 있는 국내기업들도 유전자조작 농산

물에 대한 관심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는 바이오산업에 있어서 지역적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분야

로 평가됨. 전반적인 기술력에서 열세를 보이고 있는 국내기업의 현실상 유전자조

작 농산물 연구는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방편으로 활용

될 수 있음.

○ 국내기업들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대규모 자금이 소요되고 선진기업간 경쟁이 치열

한 곡물 자체보다는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이나 고유 작물의 연구를 통한 기능성 식

품, 의약품 등의 개발에 주력함으로써 가시적 성과를 거두는 노력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임. 보다 장기적으로는 국내 수요 기반이 넓은 벼 등 전략 작물에 대한 연구를

강화해나가야 할 것임.

Page 8: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1

Ⅰ.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개요

1.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개념

■ 유전자조작 농산물이란 특정 생물로부터 유용한 유전자를 취해 이를 기존의 작물에 도입함으로써 그와 동일한 유전자 기능을 발휘하도록 조작된 농산물

을 말함.

○ 유전자조작 농산물은 동식물 등 유전자조작 생명체를 통칭하는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의 일부라 볼 수 있으며, 형질전환작물(Transgenic Plants)이라 부르

기도 함.

○ 유전자조작 기술과 전통적인 품종개량 기술은 유전자를 조작해 유용한 성질의 품종

을 만든다는 점에서는 일치하나, 유전자조작 기술이 목적 유전자만을 선택해 재조

합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임. 또한 전통적인 품종개량 기술이 교배가 가능한 동일

종(種)내에서만 이루어지는 반면 유전자조작 기술은 동물과 식물, 미생물 등 종과

종 사이의 경계를 뛰어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임.

○ 한편 유전자조작 식품이란 유전자조작 농산물(축·수산물 포함)을 이용해 제조·가공

된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을 의미함.

■ 유전자를 조작하는 방법은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법, 원형질 세포법, 입자총(Particle Gun)법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아그로박테리움법

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됨. 아그로박테리움법에 의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개발 프로세스는 크게 다섯 가지 단계로 나누어 진행됨.

○ 첫째,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해 작물에 도입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 형질의 DNA 절

편을 선택함. 다음으로 플라스미드라 부르는 고리 모양의 DNA를 아그로박테리움이

라는 미생물(식물세포에 자신의 유전자를 삽입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음)로부터 추

출하여 절개, 목적한 DNA를 붙인 다음 재조합된 플라스미드를 다시 아그로박테리

움에 삽입함.

○ 둘째, 아그로박테리움을 유전자조작 대상이 되는 작물의 세포에 접촉하면 변형된

플라스미드에서 DNA가 식물세포로 침투해 들어감.

○ 셋째, 외부로부터 이식된 DNA가 식물세포의 핵으로 전이되며, 이는 세포핵내 염색

체의 일부로 정착함.

Page 9: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2

○ 넷째, 식물세포는 외래 DNA가 새로운 작물의 유전자 체계로 등록되어 성장할 때까

지 배양과정을 거치게 됨.

○ 다섯째, 새로운 형질을 지닌 작물을 토양에 이식, 재배함.

2.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형성

■ 유전자조작 농산물 연구는 1970년대 이후 수확량 향상을 위한 돌파구를 찾으려는 시도로부터 출발함.

○ 비료 및 농약의 등장, 관개기술의 향상, 작물 교배기술의 발달 등에 힘입어 1950년

대 들어 농업 생산성은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왔음. 일례로 미국의 단위 면적당 옥

수수 생산은 1920년에 비해 현재 6배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더 이상 획기적인 신기술의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운데 환경오염, 각종

병충해 확산 등의 영향으로 수확량 증가속도는 갈수록 둔화되는 추세임.

○ 이에 따라 농업 분야에서도 1970년대부터 생명공학 기술을 접목해 21세기를 대비한

제 2의 농업혁명을 이루려는 시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됨.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할

경우 기존 기술로는 7, 8년이 소요되는 신품종 개발기간이 절반으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됨.

■ 유전자조작 농산물 연구는 이미 1980년대부터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음. 유전자조작기술은 1983년 페튜니아와 담배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데 이어 1986년에는 감자와 콩, 1990년에는 옥수수 등으로 적용범위를 넓혀감.

■ 상업적인 목적에서 최초로 개발된 유전자조작 농산물은 1994년 Calgene(1997년 Monsanto에서 인수)이라는 바이오 벤처기업에서 개발한 ‘껍질이 무르지 않는 토마토’ 였음.

○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얻어 시판에 들어간 이 토마토는 과일이 익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의 작용을 막아 출하뒤에도 5일 정도 더 오래 단단함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님. 이에 따라 싱싱한 토마토를 더 멀리 더 쉽게 운송할 수 있는 가

능성을 열어줌으로써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제품으로 받아들여짐.

■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본격적인 사업화는 농화학기업의 참여와 함께 시작되

었다고 볼 수 있음. 1996년 미국의 Monsanto는 자사의 ‘Roundup’이라는 제초

제에 내성을 지닌 제초제 내성(상품명 Roundup Ready) 콩을 개발, 시판에 들

Page 10: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3

어갔으며 이것이 유전자조작 농산물 최초의 히트 제품으로 기록됨.

○ Monsanto의 Roundup은 작물 생장에 필수적인 효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잡초를

죽이는 강력한 제초제이나 살포시 잡초와 함께 다른 작물들의 피해를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었음. Monsanto는 자사 제초제 성분에 저항할 수 있는 유전자를 작물에 도

입, 유용 작물의 피해없이 제초제의 자유로운 살포가 가능하게 함.

○ 이후 Monsanto의 새로운 콩 종자는 기존 종자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에도 불

구하고 농민들로부터 수확량 향상 효과가 탁월하다는 반응을 얻으면서 폭발적인 판

매 신장을 불러옴.

○ Monsanto의 성공은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본격적인 형성을 의미하는 동시에,

이후 거대 농화학기업들의 경쟁적인 참여의 계기로 작용함.

<표Ⅰ-1> 유전자조작 농산물 개발 연혁

1983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바이러스병에 강한 페튜니아와 담배 개발

미국에서 제초제 내성 콩, 감자 개발

미국에서 제초제 내성 옥수수 개발

미국의 바이오 벤처기업인 Calgene에서 무르지 않는 토마토 개발, 상품화

미국에서 高라우린산 유채 인가

미국 Monsanto에서 제초제 내성 콩 시판 개시

북미에서 제초제 내성 유채, 해충 저항성 옥수수, 면화 등 상업화

미국에서 高올레인산 콩 인가

■ 한편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형성은 화학산업에도 지대한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옴. 성장의 한계에 직면해 있던 선진 화학기업들은 이전부터 생명과학

(Life Science)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왔음.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형성과 함께 이들 기업들은 대거 생명과학 전문기업으로의 전향을 선언하고 있음.

○ 생명과학이란 원래 생명이나 생체의 유지·보호에 관한 현상을 해명하기 위한 종합

적인 과학 기술 체계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에서의 생물학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

는 것이 일반적임. 따라서 화학기업들의 생명과학기업으로의 변신은 기존 화학산업

패러다임 자체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함.

○ 현재 생명과학 사업이라 하면 의약, 농업(농화학 포함), 식품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

로 사용됨. 농화학 분야에 강점을 지니고 있는 선진 화학기업들은 종자로 대표되는

Page 11: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4

유전자조작 농산물 사업 강화를 통해 의약, 식품 분야와의 시너지 효과 창출과 함

께 궁극적으로는 이들 분야의 통합까지도 고려하고 있음.

○ 1993년 영국 ICI에서 분리된 Zeneca가 최초로 생명과학기업을 표방하고 나선 데 이

어 1996년에는 스위스의 Novartis(Ciba와 Sandoz 합병), 1997년에는 미국의 Monsanto

가 합병 및 기업 분리를 통해 전문 생명과학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함. 이후

Rhone-Poulenc, Hoechst, DuPont 등이 이러한 대열에 참여하면서 선진 화학기업들의

생명과학 지향성은 갈수록 뚜렷해지는 추세임.

Ⅱ.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동향 및 전망

1.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 동향

■ 현재까지 미국을 중심으로 곡물, 야채, 과일 등을 대상으로 4,500종 이상의 유전자조작 농산물이 실험되었으며, 1998년 현재 43종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작물별로는 옥수수가 13종으로 가장 많고, 토마토가 11종, 콩이 4종 등임.

■ 현재 유전자조작 종자의 경우 세계최대 곡물 수출국인 미국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음. 이는 개발기업이 미국에 집중되어 있는 데다 미국 정부 및 국민이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해 비교적 관용적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임.

○ 1999년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유전자조작 농산물은 37종임. 기업별로는

Monsanto가 12종, DuPont, AstraZeneca(Astra와 Zeneca 합병), Mycogen(Dow

AgroSciences의 종자부문)이 각각 4종, AgrEvo(Hoechst와 Schering 합작)가 3종,

Novartis가 2종 등으로 이들 6개 기업이 전체 품목의 약 80%를 점유하고 있음.

○ 이밖에 캐나다(유채 등 36종), 호주, 아르헨티나 등 주요 농산물 수출국도 유전자조

작 농산물에 대해 비교적 호의적인 입장으로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

남.

■ 이에 따라 Monsanto, Novartis 등 주요 종자기업의 유전자조작 종자 매출은

Page 12: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5

1995년 7천5백만 달러에서 1998년에는 15억 달러로 약 2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유전자조작 농산물 재배면적 또한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임. 1998년 현재 전세계 유전자조작 농산물 재배면적은 7천5백만 에이커로 1996년 상업재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불과 2년만에 1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국가별로는 1998년 미국의 재배면적이 6천만 에이커로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

으며, 이밖에 중국,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의 재배면적이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남.

○ 작물별로는 옥수수, 콩, 면화 , 유채 등의 4대 작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미국의 경우 유전자조작 종자의 사용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재배면적 기준 이들

작물의 유전자조작 비중은 1998년 현재 20∼40%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한편

생산량 기준으로는 콩, 면화, 유채 등이 1999년 현재 50%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됨.

<그림Ⅱ-1> 유전자조작 농산물 재배면적 추이

80

70

60

50

40

30

20

10

01995 1996 1997 1998

: 세계 전체

: 미국

(백만 에이커)

자료 : SRI Consulting

■ 한편 EU와 일본 등 대규모 곡물 수입국들은 원칙적으로 유전자조작 농산물

(종자)이 승인되었음에도(EU 18종, 일본 22종), 실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이중 일부인 것으로 알려짐.

○ EU의 경우 회원국들의 상이한 정책과 국민들의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반감으

로 인해 자국내 재배를 금지하는 동시에 수입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Page 13: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6

일본의 경우 역시 소비자들의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불신이 확대되고 있어 자

국내 종자 수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현재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정확한 시장 집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AstraZeneca 등 생명과학기업들과 연구기관에 의하면 유전자조작 종자를 포함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세계 시장규모는 1998년 현재 약 4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그러나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존 작물과 분리되어 유통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확인되지 않은 물량을 포함할 경우 실제 시장규모는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됨.

<표Ⅱ-1> 주요 유전자조작 농산물 개발 현황(1999년 4월 현재)

작 물 특 성 개발기업(국가) 판 매 국 가

껍질이 무르지 않음. Calgene(미국) 미국, 캐나다, 영국,일본 토마토

高펙틴 함유 Zeneca(미국) 미국, 영국

제초제 내성 Monsanto(미국) 미국, EU, 일본

제초제 내성 AgrEvo(미국) 미국 콩

高올레인산 함유 DuPont(미국) 미국

제초제 내성 DeKalb(미국) 미국

제초제 내성 AgrEvo(미국) 미국, 일본

해충 내성 Novartis(미국) 미국, 캐나다, EU, 일본

해충 내성 Monsanto(미국) 미국, 일본

옥수수

해충 및 제초제 내성 Monsanto(미국) 미국

해충 내성(2종) Monsanto(미국) 미국, 일본 감자

해충 및 바이러스 내성(2종) Monsanto(미국) 미국

제초제 내성 AgrEvo(미국) 미국

제초제 내성 Novartis(미국) 미국 사탕무우

제초제 내성 Monsanto(미국) 미국

제초제 내성 Monsanto(미국) 캐나다, 미국, 일본

제초제 내성(4종) AgrEvo(캐나다) 캐나다, 미국, 일본

제초제 내성(5종) PGS(캐나다) 캐나다, 미국, 일본 유채

高라우린산 함유 Calgene(미국) 미국, 캐나다

제초제 내성 Calgene(미국) 미국, 호주, 일본

제초제 내성 Monsanto(미국) 미국, 호주, 일본 면화

해충 내성 Monsanto(미국) 미국, 호주, 일본

호박 바이러스 내성(2종) Seminis(미국) 미국

카네이션 색상 변환 가능 Florigene(호주) 호주, 일본, EU

치커리 바이러스 내성 PGS(벨기에) EU, 미국

파파야 바이러스 내성 하와이대, 코넬대(미국) 미국 자료 : 제트로센서, 1999. 9

Page 14: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7

2.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논쟁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각국의 반응

■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상업화가 진전되면서 이의 확산을 우려하는 소리가 높아지고 있음. 유럽을 중심으로 소비자들 사이에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거부감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유통업체 및 제조업체들의 유전자조작 농산물 취급 및 이용 중단 사례가 속출하고 있음.

○ 이미 광우병 파동, 다이옥신 닭고기 파동 등을 경험한 유럽 국민들은 식품의 안전

성에 대해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음. 일부에서는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

품을 ‘프랑켄슈타인 식품’이라 부를 정도로 강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으며, 환경 및

소비자 단체들을 중심으로 정부 및 유전자조작 농산물을 사용하는 기업에 대한 반

대시위가 확산되는 추세임.

○ 영국의 경우 1998년경부터 이미 대형 수퍼마켓이나 식품업체들을 중심으로 자발적

인 표기제도를 시행해 왔음. 그러나 최근 들어 소비자들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업계

1위인 테스코를 중심으로 한 대형 수퍼마켓들이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취급

중단을 선언하고 있음. 이와 함께 패스트푸드업체인 버거킹, 맥도날드, 유아식업체

인 거버(Novartis 계열) 등 대형 식품업체들의 사용중단 움직임도 확산되는 추세임.

■ 사태가 심화되면서 유럽 각국 정부들은 독자적으로 안전성이 입증될 때까지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재배 및 판매를 유보하는 모라토리엄 조치를 내리고 있음.

○ 현재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독일 등은 이미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재배를 금지하

고 있으며, 최근 영국은 2002년까지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상업적 재배를 금지하는

조치를 내린 바 있음.

○ 한편 이러한 유럽의 조치에 대해 미국은 소비자들의 반발을 핑계로 미국산 농산물

수입을 억제하려는 수단에 불과하다며 치즈 등 유제품, 프랑스산 와인 등 유럽산

식품에 대해 안전성 기준 강화 및 관세의 대폭 인상을 즉각적으로 검토하고 나섬.

따라서 유전자조작 농산물을 둘러싼 사태는 자칫하면 대륙간 무역분쟁으로까지 치

달을 조짐을 보이고 있음.

Page 15: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8

■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도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불안은 점차 확산되는 추세임.

○ 일본에서는 기린맥주가 유전자조작 옥수수(주정의 원료로 사용)의 사용을 점차적으

로 줄여나가 완전히 중단하겠다고 발표했으며, 두부업체들도 유전자조작 콩의 사용

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함. 이와 함께 쟈스코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자체적인 표기제

도를 시행 또는 준비중임.

○ 우리나라에서도 유전자조작 농산물이 이미 수입·유통되고 있다는 보도와 함께 지난

해 11월 발생한 때아닌 두부파동으로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이

높아가는 추세임. 실제로 국내에서 시판되는 대부분의 두부에서 유전자조작 콩 성

분이 검출되었다는 한국 소비자보호원의 발표와 함께 두부 소비가 일시적으로 격감

하는 반면 국산 콩의 가격은 급등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함.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논쟁

■ 현재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상업화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 있는 상황임. Monsanto, DuPont 등을 비롯한 생명과학기업들과 미국, 캐나다 등의 농산물 수출국들이 도입을 찬성하는 반면, 유럽을 중심으로 한 각국의 환경 및 소비자단체, 소규모 농민단체들은 강력한 반대 입장 천명과 함께 시위, 불매운동 등 구체적인 행동에 나서고 있음.

■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도입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도입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주장을 전개함.

○ 현재 세계 인구는 이미 60억 명을 돌파했으며 2010년경에는 70억 명에 육박할 것으

로 전망되고 있음. 이에 반해 세계 전체 경지면적은 산업화와 인구 증가로 인해 갈

수록 줄어들어 2010년에는 현재보다 6%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찬성론자들이 말하는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장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 첫째, 유전자조작 농산물을 도입할 경우 병충해에 강한 품종을 통해 수확 감소를

극소화할 수 있고, 더위, 추위, 염분 등 열악한 기상 여건이나 주위 환경에 강한 품

종 개발이 가능해져 재배면적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음.

Page 16: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9

○ 둘째, 고수확 품종 개발에 의한 수확증대 효과는 물론이고 영양성분 개량에 따라

고단백, 고비타민 성분 등의 품종 생산을 통한 식생활 개선이 가능함.

○ 셋째, 비료 및 농약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환경보전에 기여하는 한편 농

업 분야의 인력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

■ 한편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도입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이 아직까지 검증되지 않았다고 주장함. 이는 미국측이 내세우는 실질적 동등성(Substantial Equivalence) 개념과 배치되는 것으로 양자간의 의견 대립이 좁혀지지 않고 있음.

○ 실질적 동등성이란 유전자의 특성이 잘 알려져 있어 원래 식품과 실질적으로 동등

할 정도로 해가 없다면 그 재조합체의 안전성을 기존 식품과 동일하게 간주한다는

개념임. 이 개념은 1993년 OECD가 제안하고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식량농업

기구(FAO)가 승인한 것으로 지금까지 대부분의 국가들이 이를 받아들여 왔음.

○ 미국측은 유전자조작 농산물이 승인되기 위해서는 기존 식품의 안전성 개념을 적용

한 뒤 수 년간에 걸쳐 새로운 유전자의 독소생성 가능성, 발암 가능성, 알러지 유발

성, 숙주가 가지고 있던 기존 성분의 변화 등이 추가로 엄격히 검증되는 과정을 거

치기 때문에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은 기본적으로 기존 식품과 동일하다는 입

장임. 또한 실제로 유통되고 있는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유해성이 과학적으로 입증

된 사례는 아직까지 없다고 주장함.

■ 그러나 반대론자들은 실질적 동등성 개념이 제한된 범위에서는 나름대로 유용성을 갖지만 이를 안전성 평가의 원칙으로 삼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주장

함. 즉 현재의 기준에 의해 유전자조작 농산물이 유해하지 않을지는 몰라도 그것이 안전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임.

○ 실제로 지난 1995년 Pioneer Hi-Bred(1999년 DuPont에서 완전 인수)라는 종자회사가

콩의 아미노산 함량 증대를 위해 브라질넛(땅콩의 일종)의 유전자를 콩에 도입한

적이 있었음. 그러나 실험과정에서 브라질넛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이 이

콩을 먹었을 경우 마찬가지 알러지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한 후 개발을 중단한 사

실이 있음.

■ 일부 과학자들은 유전자조작 농산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철저한 사전 실험을 통해 어느 정도 검증이 가능하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오랜 시간을 두고 관찰해야 하기 때문에 훨씬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함.

Page 17: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10

○ 예를 들어 유전자조작 작물이 환경에 방출되어 급속히 확산될 경우 생물다양성을

해치고 생태계 사슬을 파괴할 수 있다는 것임. 또한 특정 병해충에 강한 농산물이

개발되더라도 구제 대상이 되는 동식물이 장기적으로는 이에 내성을 갖게 되어 소

위 ‘수퍼 잡초’, ‘수퍼 해충’이 등장할 수도 있음.

○ 지난해에는 Bt(Bacillus thuringiensis) 유전자가 도입된 옥수수에서 서식하는 모나크나

비(화려한 외모와 희소성으로 유명함) 유충의 대부분이 죽거나 발육이 부진하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음. Bt는 토양 박테리아의 일종으로 해충에

대한 자체 독성 물질을 갖고 있어 현재 옥수수, 콩, 면화 등 해충 내성 유전자 작물

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

■ 이에 따라 반대론자들은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이 입증될 때까지는 이들의 상업적 재배 및 유통을 금지시키는 모라토리엄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함. 또한 소비자들의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에 대한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최소한 유전자조작 성분의 포함 여부에 대한 표기제도가 의무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3.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전망

시장 전망

■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그동

안 급팽창을 거듭하던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이 위축될 기미를 보이고 있음.

○ 주 수요처인 미국에서도 대규모 곡물기업인 ADM(Archer Daniels Midland)이 농산물

수입국 및 기업들의 요구에 따라 유전자조작 작물의 분리 수매를 요구하면서 농민

들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음. 농민들은 분리 수매가 사실상의 이중 곡가제 시행으로

유전자조작 작물의 수익성 저하가 예상되는 데다, 이러한 움직임이 확산될 경우 판

로 개척 자체가 어려워질 것을 우려하고 있음.

○ 이와 함께 미국 환경청(EPA)이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환경 피해를 우려, 최근 농민

들에게 유전자조작 옥수수의 재배면적 비중을 줄이도록 요청한 것도 시장 침체 유

발의 한 요인이 되고 있음.

Page 18: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11

■ 이에 따라 매년 2배 이상의 증가세를 보이던 유전자조작 농산물 재배면적이 금년에는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됨. 유럽, 일본 등 주요 농산물 수입

국들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데다 비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가격이 상대적으

로 높게 형성되면서 농민들의 유전자조작 농산물 기피현상이 확산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임.

○ 미국 옥수수 재배자협회는 자체 조사를 통해 금년도 유전자조작 옥수수 재배면적이

16%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함. 이와 함께 환경단체인 월드워치도 금년도 유전자

조작 농산물 파종 규모가 20∼25% 줄어들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은 향후 2, 3년간 성장세 둔화가 불가피하겠지만 장기적인 전망은 여전히 밝은 것으로 보임.

○ 유전자조작 농산물을 둘러싸고 최근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 시장의 존립 자체에 영

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임. 이에 따라 향후 2, 3년간의 상황은 유전자조작 농

산물이 소비자의 신뢰 확보를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환경정비기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조정기를 거친 이후에는 다시 고도 성장기에 진입할 것으로 예

상됨.

○ 단기적으로 볼 때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성장세 회복 시기는 유럽 시장에서의

성공 여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음. 생명과학기업들이 유럽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

략할 경우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세계 시장 확대는 급류를 탈 가능성이 높음.

■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향후 시장규모에 대해서는 기관별로 전망이 크게 엇갈

리고 있음. 그러나 장기적으로 유전자조작 농산물분야가 바이오산업에 있어

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리라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의견이 일치하고 있음.

○ AstraZeneca 등 생명과학기업들은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시장이 향후 5년내

200억 달러를 돌파하여, 2020년에는 약 750억 달러의 거대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

상함.

○ 한편 일본의 미쓰비시연구소는 세계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규모가 2010년 1,360억

달러, 2020년에는 1,59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이와 함께 유전자조작 가공식

품도 2010년 1,180억 달러, 2020년에는 1,375억 달러의 거대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

망,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이 바이오의약품을 누르고 21세기 최대의 바이오사

업분야로 부상할 것으로 예측함.

Page 19: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12

<그림Ⅱ-2>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세계 시장규모 전망

: 유전자조작 농산물

자료 : 일본경제신문사 ·미쓰비시종합연구소(1999)

(단위: 억 달러)

2000년 2010년 2020년

437

767

1,180

1,360 1,375

1,590: 유전자조작 가공식품

■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쟁은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 보장 장치를 마련하고 표기를 의무화하는 선에서 마무리될 전망임.

○ 지난 1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교역 규정에 관한 ‘생물안전

의정서’가 140국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채택됨. 최소한 50개국이 비준해야 발효되

는 이 의정서는 각국이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미흡하다고 판단할 경

우,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수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함. 또한 수출입업자들에 대해서

는 선적되는 화물에 유전자조작 농산물 포함 가능성을 표기하도록 함.

○ 또한 의정서 발효후 2년내에 관련국들은 구체적인 제품표시 방법을 마련하기 위해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규정함.

○ 이번 의정서는 지금까지의 다른 국제 협정들이 사후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

어진 반면 사전에 예방적 조처를 취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됨. 일부

에서는 이번 의정서가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 문제를 국제적 차원의 문제로

부각시킴에 따라 소비자들의 경각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함. 그러나 중장기

적으로는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가능해져 소비자들의 막연

한 불신감이 해소되고, 이에 따라 유전자조작 농산물 거래가 활성화되는 긍정적 효

과가 더 클 것으로 기대됨.

Page 20: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13

■ 이번 의정서 채택을 계기로 각국의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표기 의무

화 움직임은 더욱 확산될 전망임.

○ 유럽은 국가별로 이미 표기 의무화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일본도 2001년 4월부

터 콩, 옥수수 등 24개 품목을 대상으로 제도 시행에 들어갈 예정임.

○ 우리나라도 2001년 3월부터 콩, 콩나물, 옥수수 등 3개 품목을 대상으로 유전자조작

여부 표기를 의무화하고(감자는 2002년 3월부터 시행), 동년 7월부터는 식품의약품

안전청 주관하에 된장, 고추장, 두부 등 일부 다소비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표기제도

를 시행할 예정임.

○ 향후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에 대한 표기제도를 채택하는 국가들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며, 국가별 표기대상 품목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국가별로 자

체 안전기준을 마련하는 등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도 강화될 전망임.

분야별 기술개발 전망

■ 유전자조작 농산물은 발전단계상 아직까지 도입기에 위치한 것으로 파악됨. 현재 유전자조작 농산물 개발은 수확량 증대에 주로 초점이 모아져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영양성분 개선, 공업제품 생산, 의약품 생산 등 무궁무진한 파생 사업기회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Ⅱ-3>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성장 전망

신제품개발

- 고수확 품종 개발- 병충해 내성 종자개발

- 식물의 영양성분 강화

- 식품의 가공특성 개량

- 식물로부터의약품 생산

- 화학제품 및폴리머 생산

- 바이오 연료 개발

1995 2000 2005 2010

자료 : SRI Consulting, 일본 Monsanto 자료 참조

Page 21: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14

■ 식품의 영양성분 개선 및 식품의 가공성 향상을 위한 연구는 이미 상당히 진척되어 있는 상황임.

○ Monsanto와 DuPont은 올레인산을 다량 함유한 콩을 개발, 시판에 들어감. 올레인산

은 올리브유 등에 다량 함유된 물질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심

근경색 등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 Monsanto는 이밖에 수년 이내에 유분과 탄수화물, 미량의 영양소 등을 강화·개량한

콩과, 유채, 감자 등을 상품화할 계획임. 이렇게 되면 질병의 예방효과가 기대되는

식품을 값싸게 만드는 것이 가능해질 전망임. 예컨대 베타카로틴이나 리코핀 등의

항암성분과 기억 및 순환기 등의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진

DHA 등의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한 농산물 및 식품의 등장이 현실화될 것임.

○ 이밖에 Novartis는 향후 10년간 6억 달러를 투입, 알러지를 줄일 수 있는 농산물을

개발할 예정임. 또한 세계최대의 야채 및 과일 종자기업인 멕시코의 ELM(Empresas

La Moderna)은 자사의 연구부문인 DNAP Holding에서 유전자조작 기술을 활용해 바

나나의 검게 무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중임.

○ 식품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식품의 가공 특성을 높이려는 연구도 진전되고 있음. 기

름을 흡수하기 어려운 감자로 만든 저칼로리 감자칩, 항산화성분을 포함해 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기름, 전분 추출효과가 높은 옥수수, 저장손실이 적은 감자, 식물

성 단백질을 활용한 치즈, 햄, 아이스크림 등의 개발은 식품산업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유전자조작 기술을 활용한 동물 사료의 개발도 한창임. 콩, 옥수수 등 사료용 곡물

의 소화효율을 높임으로써 가축 배설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조

만간 상품화될 예정임. 이밖에 아미노산 등의 영양성분을 포함한 사료용 곡물 개발

을 통해 양질의 육류 생산은 물론 축산농가의 별도의 노력 및 비용을 줄이려는 시

도도 이루어지고 있음.

■ 유전자조작 농산물을 활용한 공업제품 생산 연구도 활기를 띠고 있음. 현재 농산물로부터 식용·공업용 유지, 생분해성 플라스틱, 섬유 등 다양한 제품을 직접 추출해내는 연구가 진행중임.

○ 최근 미국의 곡물가공기업인 Cargill과 화학기업인 Dow Chemicals는 생분해성 플라

스틱 개발에 성공, 양사의 합작기업인 Cargill Dow Polymers를 통해 내년말부터 본격

적인 양산체제에 들어갈 것이라고 발표함. 양사는 1997년 이후 옥수수로부터 폴리

락타이드(PLA)라는 물질을 추출, 토양에서 완전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

연구를 진행해 왔음.

Page 22: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15

○ 한편 DuPont은 유전자조작을 통해 만들어진 박테리아로 옥수수 녹말을 발효시켜 트

리메틸렌글리콜(3G)을 추출해내는 데 성공함. 3G는 기존 석유계 폴리에스테르섬유

에 비해 탄성이 뛰어나고 생분해도 가능한 3중 메틸렌중합체(3GT) 섬유의 핵심원료

임. 이 제품이 실용화될 경우 농작물이 기존의 공장 제조설비를 대체함으로써 환경

보전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Monsanto는 유전자조작을 통해 염색이 필요없는 면화를 개발중임. 현재 파랑색과

카키색의 천연 색상을 지닌 면화를 개발중이며, 이것이 성공할 경우 염색 과정에서

의 환경오염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유전자조작 농산물로부터의 공업제품 생산은 일반 식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비자

들의 거부감이 적어 경제성이 보장될 경우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보다 장기적으로는 유전자조작 농산물을 통한 의약품 생산이 가능해질 전망

임. 이미 많은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의약품 생산 작물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

○ 현재 가장 연구가 활발한 분야는 백신 분야로 상업화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평가됨.

토마토, 바나나, 감자, 담배 등 다양한 작물을 숙주로 하여 간염, 말라리아, AIDS 등

의 백신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기를 띠고 있음. 백신 역할을 하는 농산물이 개발

될 경우 주사제의 사용없이 먹는 것만으로도 투여가 가능해 위생 및 보건 상황이

열악한 저개발국의 의료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한편 ELM은 토마토의 라이코펜 함량을 높이려는 연구를 진행중임. 라이코펜은 천

연 화학물질로 암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아직까지 기초 연구단계이기는 하나 치료를 목적으로 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개발도

가능할 전망임. 현재 진통제, 항암제 등의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지

고 있음.

■ 식물의 유전자 연구작업이 진전될 경우 향후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개발은 더욱 가속될 전망임. 이에 따라 Monsanto, DuPont 등을 중심으로 한 대형기

업들은 식물의 유전자 해독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Monsanto와 ELM이 공동으로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Mendel Biotechnology는 전체 유

전자의 15%가 나머지 유전자를 통제하며, 이것이 식물의 특성을 결정한다는 사실

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중임. 이들은 향후 10년내에 식물 전체 유전자의 기

능을 해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Page 23: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16

○ 한편 DuPont 계열의 Pioneer Hi-Bred는 옥수수 유전자 8만개중의 3/4을 이미 해독했

으며 향후 5년내에 이를 완료할 예정임.

○ 유전자 해독 작업과 함께 이를 이용 목적에 따라 조작할 수 있는 소위 ‘master key’

연구도 진행중임. 미국의 벤처기업인 Sangamo BioSciences는 유전자의 개폐를 통제

할 수 있는 단백질 개발을 추진중임. 이것이 성공할 경우 작물의 개화나 결실시기

의 조절 등 다양한 용도의 유전자조작이 가능해져 유전자조작 농산물 개발에 새로

운 전기가 열릴 전망임.

<표Ⅱ-2> 유전자조작 농산물 연구개발 현황

숙주 작물 목적 생산물 개발국가

유채* 라우린산(비누, 세제의 원료) 미국

콩* 올레인산(식용유, 화장품의 원료) 미국

스테아린산(식물성 크림의 원료) 미국 유채

엔케파린(진통제 성분) 벨기에

인간혈청 알부민(의약품 원료) 네덜란드

B형 간염 백신, 콜레라균 백신 미국 감자

당뇨병 백신 캐나다

인플루엔자 백신, AIDS 백신 일본

말라리아 백신, B형 간염 백신 미국

단백질 탄성 폴리머(고무 대체용) 미국 담배

충치균용 항체 영국

동부 구제역 백신 미국, 영국

면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미국

면화, 유채, 콩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렌(생분해성 플라스틱) 미국

옥수수, 콩 항종양성 단세포군 항체 미국

쌀 정미후에도 비타민A가 함유된 쌀 독일, 스위스

포플라 등 환경정화용 식물(수은, 중금속 등 흡수) 미국 등

해바라기 공업용 폴리머, 가소제 원료용 지방산 스웨덴 등

사탕무우 저칼로리 감미료 네덜란드 자료 : 제트로센서, 1999. 9

주 : *는 이미 상품화된 작물임.

■ 한편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분류 및 검사 장치 개발에도 기업들의 참여가 크게 늘고 있음. 각국이 유전자조작 농산물 표기제도를 시행함에 따라 검사 장치 및 서비스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의 곡물기업인 ADM은 유전자조작 농산물과 기존 작물을 분리, 처리할 수 있

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장비업체인 Deere & Co.와 Case는 농산물 및 식품의 다양한

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기를 개발중임.

○ 진단장치 전문업체인 Strategic Diagnostics는 농산물 및 식품내의 유전자조작 성분을

Page 24: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17

빠른 시간내에 검사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 최근 Monsanto와 공동 개발 및 라이

센싱 계약을 체결하는 한편 Novartis, AgrEvo 등 다른 업체들과도 공동 개발을 추진

중임.

○ 일본에서도 콩 제품의 유전자조작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사업화

가 활발함. 현재 寶酒造와 미쓰비시상사, 닛쇼이와이와 BML이 각각 공동으로 출자,

검사회사 설립을 추진중임.

Ⅲ. 주요 선진기업들의 동향 및 사업전략

■ 90년대 중반 이후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거대 농화

학기업을 중심으로 한 주도권 확보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음. 현재 세계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으로는 미국의 Monsanto, DuPont, Dow AgroSciences, 유럽의 Novartis, Aventis (Hoechst와 Rhone-Poulenc의 생명과학 부문 합병), AstraZeneca 등을 들 수 있음.

○ 현재 전세계에서 판매되고 있는 37종의 유전자조작 농산물중 80% 이상을 이들 6개

기업이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또한 농화학기업들의 시장 확보를 위한 종자기업 인수 경쟁에 따라 세계 종자시장

의 30% 이상을 10대 농화학기업들이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 한편 거대 농화학기업간의 인수·합병 사례가 이어지면서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에서의 소수 거대기업으로의 재편이 가속될 전망임.

○ Monsanto, DuPont 등 미국기업들이 자국의 거대시장 및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공

세적 입장을 취하는 가운데 전통적 농화학분야(비료, 농약 등)에서 강세를 보이던

유럽업체들이 이를 추격하는 양상이 전개되고 있음. 현재 Monsanto와 DuPont은 세

계 유전자조작 종자시장에서 각각 1, 2위를 차지하고 있음.

○ 유럽에서는 Aventis(1999년)와 AstraZeneca(1999년)의 탄생에 이어, 지난해 12월에는

Novartis와 AstraZeneca가 양사 농화학 사업부문(농업부문 포함)의 합병계획을 발표

함. 양사는 각각의 농화학부문을 분리하여 Syngenta라는 기업을 설립할 예정임.

○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농업분야의 독과점 문제를 우려하는 소리도 높아지고 있음.

실제로 지난해에는 전세계 농민단체들이 연대해 Monsanto, DuPont, Novartis 등을 대

Page 25: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18

상으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한 바 있음.

■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 문제가 확산되면서 이들 기업의 주가가 하락하는 등 경영실적이 악화되는 추세임. 이에 따라 대형 기업들을 중심으

로 반대론자들과의 대화에 나서는 한편 적극적인 홍보전략을 구사하고 있음.

○ Monsanto는 그동안 농민들 및 제 3세계 국가들의 반발을 사왔던 ‘터미네이터 종자’

기술의 상업화 계획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함. 이 기술은 종자의 불임을 유도함으로

써 농민들이 다음 해 경작을 위해서는 매번 종자를 새로이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음. 이밖에 Monsanto는 잡종교배 등 전통적 방식의 품종개량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자사의 식물 유전자 정보를 공개하는 등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반발을 무

마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음.

○ 이밖에 Novartis, Dow AgroSciences, DuPont 등도 종자 가격을 동결 또는 기술료를 면

제하고 금융 지원책을 마련하는 등 수요 진작을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음.

<그림Ⅲ-1> 선진 생명과학기업의 농업바이오 사업전략

종자 개발

및 생산

농산물

생산 및 유통

식물 유전자 연구

식품

사료

의약품

기타공업제품

- 농업 생산 부문의 강점을 무기로수직통합적 사업체제 구축 추진

·안정적인 판로 확보를 통한

조기 사업 안정화

·생산제품의 고부가가치화

- 전략적 제휴의 적극 활용

·특히 농산물 가공 ·응용 부문

<기초연구>

생명과학 기업

(농약·의약)

<농업생산> <농산물 가공·응용>

Monsanto, DuPont, Novartis, Dow AgroSciences, AgrEvo 등

Page 26: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19

1. Monsanto

■ Monsanto는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붐을 일으킨 생명과학기업으로 현재 유전

자조작 종자분야에서 세계 1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1998년 현재 동사의 농업분야 매출은 약 40억 달러로 전체 매출의 47%를 차지하고

있음. 1996년 제초제 내성 콩(상품명 Roundup Ready) 출시 이후 제초제(상품명

Roundup) 및 종자 매출이 동반 호조를 보이며 20%대의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

음.

○ 유전자조작 종자부문에 있어서는 제초제 내성 작물(콩, 유채, 면화), 해충 저항성 작

물(옥수수, 감자, 면화) 등이 시판되고 있음.

■ Monsanto는 1980년대 후반부터 이미 바이오 테크놀러지 분야에 투자를 집중

해 왔으며 1997년 화학부문(Solutia)의 분리를 통해 전문 생명과학기업으로의 변신을 선언함.

■ 생명과학기업으로서의 Monsanto의 전략은 의약 및 농화학 부문의 균형 성장

을 추구한 여타 생명과학기업들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임. 동사는 당시만 해도 시장 전망이 불투명했던 농업부문에 투자를 집중함으로써 농업을 축으로 한 종합 생명과학기업으로서의 비전을 명확히 함.

○ 1995년부터 1998년 사이 4년 동안 동사는 농업부문에 약 100억 달러에 달하는 천문

학적 규모의 자금을 투입함. 이중 대부분은 Dekalb Genetics 등을 비롯한 종자관련기

업, Calgene 등 농업바이오기업 인수에 사용됨.

○ 이는 농산물의 유전자 연구에서부터 종자 개발, 생산, 판매에 이르는 수직통합체제

구축을 통해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의 일환으로 판단됨.

■ Monsanto는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 강화를 통해 2000년부터 2002년 사이 3개년간 10개 품목 이상의 신제품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음. 이밖에도 20개 품목 이상의 제품이 중장기 과제로 연구개발이 진행중임.

Page 27: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20

<표Ⅲ-1> Monsanto의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 투자실적

(단위 : 백만 달러)

연도 대상기업 내용 투자금액 투자목적

Kelco(Merck) 사업 인수 1,100 식품원료사업 강화

Calgene 49.9% 지분 취득 150 식물바이오 기술 강화 1995년

Ecogen 연구개발 계약 25 식물바이오 기술 강화

Dekalb Genetics 40% 지분 취득 158 종자사업 및 연구

개발력 강화

Agracetus(Grace) 사업 인수 150 식물바이오 기술 강화

Biopol(Zeneca) 사업 인수 비공개 생분해성 플라스틱사업

진출

Calgene 54.6%로 지분 확대 50 경영권 강화

1996년

Asgrow(ELM) 사업 인수 240 종자사업 강화

Holden’s

Foundation Seeds계

열 2개사

사업 인수 1,020 종자사업 강화 및 전세계

판매망 구축

1997년

Calgene 잔여 지분 인수 217 완전 자회사화를 통한

시너지 극대화

Dekalb Genetics 잔여 지분 인수 2,500 완전 자회사화를 통한

시너지 극대화

Delta & Pine Land 사업 인수 2,000 식물바이오 기술 강화

(터미네이터 종자 기술)

Cargill의 종자부문 사업 인수 1,400 종자사업 강화

1998년

Unilever의 종자부문 사업 인수 536 종자사업 강화 자료 : Chemical Week

주 : ( )안은 해당 사업의 소속 기업 이름임.

■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에 있어서 동사의 연구개발 패턴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는 여타 생명과학기업들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음.

○ 첫째는 기개발된 제초제 내성 및 해충 저항성 특성을 다양한 작물에 적용시키는 것

으로 장단기 연구과제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 동사의 경우 단기적으로 제초제 내

성 사탕무우/평지/감자, 특정 해충 및 질병 저항성 옥수수/토마토/면화 등을 상품화

할 예정임. 이와 함께 장기적으로 밀, 벼 등의 곡물, 과일, 야채, 임산물 등으로까지

적용범위를 확대한다는 전략임.

○ 둘째는 식품 및 동물용 사료의 원료로서 작물의 기능성을 높이려는 시도임. 영양성

분을 강화 할 수 있는 사료용 효소, 사료용 고유분 옥수수, 기능성 지방산 함유 식

물유 등이 조만간 상품화될 예정임. 이밖에 장기적으로는 건강에 좋고 질병을 예방

할 수 있는 작물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마지막으로 작물을 통한 공업용 제품 생산도 장기 과제로 추진중임. 염색이 필요없

는 유색 면화의 개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 등이 이에 해당됨.

Page 28: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21

<표Ⅲ-2> Monsanto의 R&D 파이프라인

연도 품목 특성 및 기대효과

사료용 효소 동물용 사료의 영양성분 개선

高스테아린산 함유

대두유/유채유

유전자조작 콩 및 유채를 통해 기능성 식용 유지 생산

(마가린 및 쇼트닝 원료)

땅을 갈 필요가 없는 콩 열악한 경작환경하에서의 콩 생산 증대 2000년

식물성 스테롤 적정 콜레스테롤 수준 유지에 효과가 있는 영양소로

식품 첨가물이나 건강보조식품의 원료로 이용

해충 저항성 옥수수 특정 해충에 대한 저항성 부여를 통해 수확량 감소

극소화

해충 저항성 토마토 특정 해충에 대한 저항성 부여를 통해 수확량 감소

극소화

인산염 저장 물질이

적은 옥수수

동물용 사료에 대한 무기인 성분의 첨가제 사용

필요성 감소

기능성 지방산 함유

식물유

환자용 유동식의 원재료로 이용 기대

제초제 내성 평지 동사 제초제(Roundup)에 대한 내성 부여를 통해

수확량 감소 극소화

2001년

2세대 해충 저항성 면화 기존 제품(Bollgardcotton)의 해충 저항성 강화

유분 함량이 높은 옥수수 동물용 사료의 에너지 전환 효율 제고

제초제 및 해충 저항성 콩 기존 제초제 내성 콩에 해충 저항성 부가 2002년

제초제 내성 감자 동사 제초제(Roundup)에 대한 내성 부여를 통해

수확량 감소 극소화

유색 면화 천연 색상을 지닌 면화 생산으로 염색 불필요

질병 저항성 옥수수/

감자/밀

곰팡이병, 바이러스병에 저항성을 지닌 종자 개발을

통해 수확량 감소 극소화

高카로틴 유채 비타민A 결핍증에 효능 기대

고수확 옥수수/면화/밀 고수확 품종 개발을 통한 수확량 증대

高섬유질 면화 강도가 높은 양질의 면직물 생산 가능

高단백질 콩 기존 콩의 맛과 조직을 개량함으로써 고기와 유제품

대체 기대

高강도 감자 기존 품종의 수분 함량을 낮춤으로써 조리시 기름

흡수율 저하

제초제 내성 벼/밀 동사 제초제(Roundup)에 대한 내성 부여를 통해

수확량 감소 극소화

바이러스병 저항성 토마토 바이러스병 저항성 강화를 통해 수확량 감소 극소화

2002년

이후

제초제/해충 저항성 작물 기타 곡물, 야채, 과일, 임산물 등의 제초제/해충

저항성 강화. 제휴를 통해 2003년부터 2006년

사이 출시 예정 자료 : Monsanto Home Page(www.monsanto.com)

주 : 표시 연도는 동사의 상업화 목표시점 기준임.

■ Monsanto의 종자기업 인수를 포함한 대형 투자는 거의 마무리된 것으로 판단됨. 이에 따라 동사는 향후 인수기업들간의 시너지효과 창출 및 관련기업

과의 제휴를 통해 다양한 제품의 상업화 및 세계 시장 진출을 가속하는 전

Page 29: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22

략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됨.

○ 최근 동사는 세계최대의 곡물업체인 Cargill과 Renessen이라는 합작기업을 설립, 동

물용 사료 개발 및 판매 사업에 진출함. 이러한 제휴는 장기적으로 식품 등 유관 사

업분야로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2. DuPont

■ DuPont은 미국 1위의 종합화학기업으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의약, 농업 등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투자를 대폭 강화하고 있음.

○ 동사는 1998년 Merck와의 의약품 합작기업인 DuPont Merck Pharmaceutical의 Merck

측 지분 50%를 26억 달러에 인수함으로써 그동안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의약품 분

야의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시작함.

○ 또한 적극적인 농업분야 기업들의 인수를 통해 1998년에는 영양·건강 사업부를 신

설함. 기존의 농화학사업(농약)과 영양·건강 사업으로 구성된 농업·영양 부문은 1998

년 현재 32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음.

○ 한편 동사는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투자자금 조달을 위해 지난해에는 자사의 석유

사업부문인 Conoco의 분리를 완료한 바 있음.

■ DuPont은 농업부문의 강화를 위해 1997년 이후 지금까지 10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파악됨. 동사 농업부문 강화방향의 특징은 종자 개발 및 생산 기업의 인수뿐 아니라 식품 관련기업의 인수를 병행함으로써 수직

계열체제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임.

○ 동사는 1997년 Ralston Purina Company의 자회사인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PTI)를 16억 달러에 인수함. PTI는 과자, 빵, 음료, 유제품 등 다양한 가

공식품의 원료로 이용되는 콩단백질 및 콩섬유질, 제지산업용 콩단백 폴리머를 생

산하는 기업으로 콩단백질의 기능성 연구에 강점을 지닌 것으로 알려짐. 이와 함께

유전자조작 콩의 기능성(유분, 단백질, 아미노산 함량 증대)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도 추진, 조만간 상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동사는 같은 해 세계최대의 종자기업인 Pioneer Hi-Bred International의 지분 20%를

17억 달러에 인수함. Pioneer는 막대한 식물 유전자 자원 보유와 함께 옥수수와 콩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및 생산에 있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짐. 이

와 함께 양사는 50대 50 합작으로 Optimum Quality Grains(OQG)라는 기업을 설립해

Page 30: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23

식품 및 사료용 곡물의 기능성 강화를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함. 1998년부터 OQG는

고유분 콩 및 고올레인산 콩 종자를 시판하기 시작함.

○ 1999년 동사는 Pioneer의 나머지 지분 80%를 77억 달러에 인수함으로써 완전 자회

사화에 성공함. Pioneer의 인수에 따라 DuPont의 유전자조작 종자 사업은 Monsanto에

이어 일약 세계 2위로 부상함. 향후 동사의 종자를 포함한 농업사업은 Pioneer를 중

심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됨.

■ DuPont은 자사가 지향하는 사업의 성격을 화학기업이나 생명과학기업이 아닌 ‘과학기업(Science Company)’으로 규정하고 있음. 즉 화학이나 생물학 어느 한쪽에 치중함이 없이 이의 통합을 통해 자사의 사업을 고도화시키겠다

는 전략임.

○ 현재 동사가 Genecor International이라는 바이오벤처 기업과 공동으로 개발을 추진중

인 3GT는 이러한 전략의 일환임. 양사는 1998년 옥수수 전분으로부터 3G를 합성해

내는 미생물을 유전자조작 기술에 의해 만들어내는 데 성공한 데 이어 금년에는 파

일럿 플랜트를 가동할 예정임.

<표Ⅲ-3> DuPont의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 투자실적

(단위 : 백만 달러)

연도 대상기업 내용 투자금액 투자목적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20% 지분 취득 1,700 종자사업 진출 및 연구개발력

강화

1997년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 (Ralston

Purina Company)

기업 인수 1,578 식품원료 사업 및 유전자조작

농산물 연구개발력 강화

Cereal 관련사업(영국

Dalgety)

사업 인수 비공개 밀 중심의 식품원료 사업

강화 및 유럽시장 공략

프랑스 Hybrinova 기업 인수 비공개 유럽 밀 종자사업 강화 1998년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잔여 지분 인수 7,700 완전 자회사화를 통한 시너지

극대화 자료 : DuPont Home Page(www.dupont.com)

주 : ( )안은 해당 사업의 소속 기업 이름임.

Page 31: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24

3. Novartis

■ Novartis는 1996년 스위스의 Ciba와 Sandoz가 합병하여 탄생된 세계최대의 생명과학기업임. 1998년 현재 매출은 218억 달러로, 이중 농업부문(농약, 종자, 동물약) 매출은 전체의 22%인 58억 달러에 달하고 있음.

○ 전통적으로 강세를 유지해 온 동사의 농약 및 종자 사업은 규모나 기술면에서 세계

최고의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음. 1998년 농약사업 매출은 약 42억 달러로 세계 1위

이며, 종자사업 매출은 10억 달러로 세계 2위 수준임(유전자조작 종자에 있어서는

Monsanto, DuPont에 이어 세계 3위).

○ Monsanto, DuPont 등 경쟁기업들이 1990년대 중반 종자사업에 신규 진출한 것과는

달리 동사는 종자사업 분야에서 이미 탄탄한 기반을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농약

과 종자 사업간의 시너지효과 창출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음.

동사는 현재 전세계 140개국에 농업관련 자회사 또는 지사를 보유하고 있음.

■ 최근 공격적인 확장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미국기업들과는 달리 Novartis는 농업분야, 특히 유전자조작 농산물 사업 확대에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평가

됨. 유럽에 시장기반을 두고 있는 동사에 있어서 유럽 소비자들의 유전자조

작 농산물에 대해 거부감은 적극적인 시장 확대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동사의 최근 농업부문 투자는 1998년 이탈리아 및 프랑스의 2개 종자기업 인수에

그치고 있음.

○ 동사는 이미 시장기반이 확보된 유럽이나 북미 지역보다는 중남미나 아시아 지역을

집중 공략한다는 전략임. 동사는 1997년 국내 2위의 종자기업인 서울종묘를 인수한

바 있음.

■ 그러나 Novartis는 장기적 안목에서의 연구개발투자는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음.

○ 현재 동사의 핵심 연구개발거점은 NADI(Novartis Agricultural Discovery Institute)와

NABRI(Novartis Agribusiness Biotech Research Institute) 등 두개의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음. NADI는 식물유전자 연구를 주로 수행하며, 여기서의 연구성과는 NABRI를 통

해 상품화되는 구조임. 동사는 이미 NADI에 대한 2억5천만 달러의 연구개발투자

계획을 확정한 바 있음.

Page 32: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25

■ Novartis는 최근 농업관련 벤처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식물 유전자 연구를 활발하게 추진중임. 동사는 향후 농업분야에 있어서의 핵심 경쟁원천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유전자 연구에서의 주도적 지위 확보를 통해 장기적으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지닌 농업전문기업으로 부상한다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음.

○ 지난해 9월 동사는 NADI를 통해 Myriad Genetics와 곡물 유전자 연구(Genomics) 분

야에서의 연구개발 제휴를 체결함. 양사는 벼, 밀, 보리, 귀리, 옥수수 등의 곡물 유

전자 구조를 해석하고 이의 성과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 상업화할 계획임. Myriad

는 고도의 DNA 해석기술을 바탕으로 한 동물, 미생물, 식물 등 광범위한 유전자 연

구분야에 있어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벤처기업으로 알려져 있음.

○ 이와 함께 동사는 지난해 12월 Diversa와 동물용 사료 및 농산물 가공 분야에서 합

작기업을 설립하기로 합의함. 양사는 상호간의 보유 자원 및 기술을 활용해 사료용

첨가제를 개발, 상품화할 예정임. Diversa는 각종 산업용 효소 및 생리활성물질의 연

구개발분야에 있어 세계 최고 수준을 지닌 벤처기업으로 유전자조작 기술에 상당한

강점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음.

■ Novartis는 최근 시장환경 악화에 따라 농약, 종자 등 농업분야 매출 및 이익

이 감소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음. 그러나 전문가들은 동사가 지닌 잠재력을 고려할 때 Novartis가 향후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에 있어서 Monsanto, DuPont 등 미국기업에 대한 가장 강력한 경쟁 기업이 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음. 특히 의약, 식품(영양식) 등에 있어서의 압도적인 우위는 향후 농업분야 확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이와 관련하여 Novartis는 1999년 12월 AstraZeneca와 양사 농업부문 합병계

획을 발표한 바 있음. 양사는 각사의 농업부문을 분리하여 금년 하반기중 Syngenta라는 기업을 출범시킬 예정임. 한편 Novartis와 AstraZeneca 양사는 각각 의약품 사업에 주력할 것으로 알려짐.

○ Syngenta는 1998년 기준 79억 달러의 매출로 세계 최대의 농업기업으로 부상할 전

망임. 이와 함께 다른 생명과학기업들과는 달리 농업분야에 특화한 최초의 농업전

문기업이라는 기록도 남기게 됨.

○ 이번 양사 농업부문 합병의 배경에는 사업 부진에 따른 각사 주주들의 압력이 작용

했음을 배제할 수 없음. 그러나 결과적으로 Syngenta의 탄생은 양사 기존 브랜드하

에서의 사업확대 제약요인을 떨쳐냄으로써 향후 공격적인 경영으로의 전환이 가능

Page 33: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26

하게 되었다는 의미를 지님. Syngenta는 단기적으로 R&D 플랫폼 공유 및 합리화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약 5억 달러의 비용절감 계획을 추진할 예정

임.

Ⅳ. 시사점 및 향후 과제

1. 시사점

■ 바이오기술은 디지털기술과 함께 21세기 기술혁명을 주도할 양대 핵심기술

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음. 특히 바이오기술은 현재 인류가 직면한 환경, 보건, 식량, 자원 등의 문제를 해결해 줄 유일한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어 장기

적으로 급속한 기술확산 및 이에 따른 막대한 산업 파급효과가 예상됨.

■ 농산물 분야는 의약품, 식품 등과 더불어 바이오기술의 응용 및 상업화가 가장 활발한 분야로 평가되며, 궁극적으로는 농산물을 축으로 한 의약품, 식품 등과의 융합화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유전자조작 농산물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사업화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

나,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면서 지난해 이후 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상황임. 이에 따라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 검증 및 이를 통한 소비자들의 신뢰 확보가 유전자조작 농산

물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절대적인 과제로 대두되고 있음.

■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 문제는 안전성 기준에 대한 강화 및 대소비자 홍보를 통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이미 UN, OECD 등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안전성 기준 마련을 위한 검토작업이 진행되

고 있어, 향후 2, 3년내에는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개발, 생산, 유통 등에 대한 국제적 기준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100% 안전한 식품이란 존재할 수 없음. 따라서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안전

성 기준은 기존 농산물 및 식품의 기준을 보완·강화시키는 선에서 타협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Page 34: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27

○ 향후 안전성 문제에 있어서의 논란은 인체에 대한 유해성 여부보다는 오히려 환경

문제에 초점이 모아질 가능성이 높음. 유전자조작 농산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그 파급범위에 대해서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임.

■ 이와 함께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본격적 성장을 위해서는 생산 및 유통

에 있어서의 인프라 구축도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지적됨. 즉 농산물 수집 및 유통 단계에서의 유전자조작 농산물과 기존 농산물의 분리가 가능해야 하며, 가공단계에서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사용 여부를 검사, 표시할 수 있는 체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현재 선진국의 농산물 가공 및 식품 기업을 중심으로 인프라 구축작업이 이미 활발

히 추진중이며, 유전자조작 검사 장치·서비스 등 관련 신규사업의 등장도 이루어지

고 있음.

○ 이러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농산물 유통·가공기업 및 식품기업을 중심으로 막

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 그러나 이것이 유전자조작 농산물 유통을 위한

필수적인 투자이며 또한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장기적인 성장잠재력을 고려할 때 인

프라 구축작업은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장기적으로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의 전망은 매우 밝은 것으로 판단됨. 곡물, 야채, 과일 등 농산물 자체 시장은 물론 식품, 사료, 의약품, 공업제품에 이르기까지 파급범위가 확대됨으로써 막대한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할 전망

임.

○ 단기적으로는 곡물, 야채, 과일 등 1차 상품의 유전자조작 농산물로의 대체가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이나 장기적으로 볼 때 식품, 사료, 의약품 등 농산물 가공분야의

파생시장이 성장속도도 빠르고 시장규모도 1차 상품 분야를 압도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식물유전자 연구는 농산물의 기능성 강화 및 이를 통한

가공제품의 상업화 시기를 앞당기는 데 있어서 중대한 기여를 할 전망임.

■ 한편 유전자조작 농산물 시장에 있어서의 기업간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농산물 전후방 산업간의 제휴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음. 이러한 움직임은 과점화된 소수 선도기업에 의해 주도될 것으로 보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후발 기업들에게는 상당한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전망임.

○ Monsanto, DuPont, Novartis 등 선도기업들은 기구축된 농약 및 종자 사업에서의 확고

한 사업기반을 바탕으로 관련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Page 35: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28

판로 확보 및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이른바 '식품체인', '사료체인' 구축을 추진중임.

2. 국내 현황 및 향후 과제

■ 유전자조작 콩의 수입 여부를 놓고 첨예한 찬반논쟁을 벌인 바 있는 우리나

라에 있어서도 잠재적 위험성만을 부각시킨 무조건적인 유전자조작 농산물 반대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보임. 식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보다 장기적이고 균형적인 시각에서 유전자조작 농산

물의 득과 실을 검토해야 할 것임.

○ 식량 및 환경 문제 해결에 있어서의 역할 및 관련 산업에의 파급효과 등 유전자조

작 농산물의 순기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대는 관련 연구 및 사업화 움직임을 위축

시켜 궁극적으로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생산 및 재배가 허용되었을 때 기술 종속을

유발하고 이에 따른 막대한 비용 손실을 초래할 것임.

○ 현재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생산 및 재배를 금지하는 일부 선진국들도 식물유전자

연구, 전략 작물의 유전자조작 연구는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음.

■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유전자조작 농산물의 상업적 생산 및 재배 문제와는 별도로 장기적 차원에서의 유전자조작 농산물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농촌진흥청 및 생명과학연구소, 일부 대학을 중심으로 유전자

조작 농산물 연구가 진행중임. 농촌진흥청의 경우 현재 제초제내성 벼, 혈압강하 토

마토 등 8개 작물 19종의 시험재배를 추진중임.

○ 그러나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연구 인프라 및 정부의 종합적인 지원책이 크게 미흡

한 상황임. 유전자조작 농산물 연구가 기존의 육종 중심의 연구와 달리 유전공학,

단백질공학 등의 기초 기술 및 첨단 장비가 필요한 자본집약적 복합산업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육성책 마련이 필요함.

○ 이와 함께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과 관련된 제도적 환경도 시급히 정비할 시점

임. 내년으로 예정된 표기제도 시행에 따른 관리시스템 구축은 물론 인체 및 환경

에 대한 국내 자체의 안전성 연구가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 보다 근본적으로는 식물 유전자자원의 확보 및 연구가 중요함. 유전자자원

Page 36: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유전자조작 농산물 29

은 지적 재산권 확보라는 측면에서 그 자체가 자원인 동시에 부가가치 창출

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는 추세임.

○ 최근 정부가 인간유전체 연구와 함께 국내 자생 식·약용 식물의 다양성 연구에 대

규모 자금을 투입하기로 결정한 것은 다소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바람직한 조치로

판단됨.

■ 유전자조작 농산물은 이제 도입단계로 향후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 이에 따라 바이오산업에 관심이 있는 국내기업들도 유전자조작 농산

물에 대한 관심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선진기업에 비해 자금 및 기술력이 열세인 국내기업들은 지역적 특성을 살린 소수 품목에 연구력을 집중함과 동시에 산학연 협조체제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일본의 경우 이미 1980년대부터 벼, 토마토, 화훼류 등을 중심으로 기린맥주, 일본

타바코산업, 산토리 등 기업들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벼 등 전략 작물에 대

해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도 활발함. 이중 벼의 연구는 이미 세계적인 수준으로 알

려져 선진기업들의 경계의 대상이 되고 있음.

○ 국내기업들의 참여는 극히 부진한 실정이나 최근 한화가 바이오기술 육성 차원에서

벼, 약초 등 국내 고유 식물에 대한 유전자조작 연구계획을 발표한 바 있음.

○ 유전자조작 농산물 분야는 바이오산업에 있어서 지역적 특성을 살릴 수 있는 분야

로 평가됨. 전반적인 바이오기술 수준에 있어서 열세를 보이고 있는 국내기업의 현

실상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방편으로 활용될 수 있음.

○ 국내기업들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대규모 자금이 소요되고 선진기업간 경쟁이 치열

한 곡물 자체보다는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이나 고유 작물의 연구를 통한 기능성 식

품, 의약품 등의 개발에 주력함으로써 가시적 성과를 거두는 노력이 바람직할 것으

로 보임. 보다 장기적으로는 국내 수요 기반이 넓은 벼 등 전략 작물에 대한 연구를

강화해나가야 할 것임.

Page 37: 2000. 6 홍정기œ 전자조작... · 2004. 2. 24. · ii 그러나 최근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 서 그동안 급팽창을

30

< 참고문헌 >

Borgeson, Nancy S.,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in the U.S. Food Industry,

SRI Consulting, 1999

Broderick, Andrew, Transforming Markets and Industries with Plant Biotechnology,

SRI Consulting, 1999

Burrill, G. Steven, Biotech 99 : Life Sciences into the Millennium, Burrill & Company,

1999

Barber, Liondel, "Food Scare", Europe, September, 1999

Franz, Neil, "Labeling Gets Stuck in the U.S.", Chemical Week, December 15, 1999

Golden, Frederic, "Who's Afraid of Frankenfood?", Time, November 29, 1999

Hess, Glenn, "Consumer Groups Attack Biotech Crops", Chemical Market Reporter,

December 6, 1999

Kluger, Jeffrey, "Food Fight", Time, September 13, 1999

Lemonick, Michael D. and Thompson, Dick, "Racing to Map Our DNA", Time, March

22, 1999

Magnusson, Paul, et al, "Furor over Frankenfood", Business Week, October 18, 1999

Melcher, Richard A., et al, "Fields of Genes", Business Week, April 12, 1999

Moore, Samuel K., "Plant Biotech Stunted", Chemical Week, January 5, 2000

Moore, Samuel K. and Scott, Alex, "Biotech Battle : Waging a Way for Public

Approval", Chemical Week, December 15, 1999

Schwartz, Nelson D., "Monsantophobia", Fortune, March 29, 1999

Scott, Alex, "AstraZeneca, Novartis to Combine Agchem Units", Chemical Week,

December 8, 1999

Taylor Ⅲ, Alex, "Why DuPont is Trading Oil for Corn”, Fortune, April 26, 1999

DuPont, http://www.dupont.com

Mosanto, http://www.monsanto.com

Novartis, http://www.novartis.com

日經バイオ年鑑 99, 日經バイオテク, 1998

高橋琢磨, "バイオテクノロジ-の本格的産業化へ向けて", 知的資産創造, 1999. 10

田中邦人 外, "遺傳子組換え食品 各國は今", ジェトロセン-, 1999. 9

村岡眞一郞, "遺傳子組み換えによる農産物", Nikkei Business, 1999.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