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25
* **

Upload: others

Post on 19-Ju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생태유아교육연구

2012. 제11권 제3호 , 95 - 119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

장 희 정**

요 약

유럽에서 새로운 생태대안교육으로 자리매김한 숲유치원은 유아교육이 시작된 이래 특히

방법적인 부분에서 혁신적인 변화로 평가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숲유치원 교

육체계를 분석하고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실현 가능한 유형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

외사례로 유럽 숲유치원의 발생 및 발전과정을 분석 조사했으며 국내 사례로는 산림청과 타

기관의 체험형과 매일형 숲유치원 운영사례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제안했던 숲

유치원 국내 도입시점과 비교해 볼 때 교육전문가와 학부모의 인식확장은 물론이고, 산림교

육법이 만들어질 만큼 제도적 변화도 가시화 되고 있다. 또한 숲유치원이 국내 교육상황에

적응하며 다양한 형태로 다변화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체험형과 매일 교육과

정을 진행하는 매일형 등 여러 전개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기존 유아교육기

관에서 매일형 숲유치원 형태인 숲학급을 별도로 구성하는 유형은 현 제도권 교육 틀 안에서

운영할 수 있는 사례모델이 되고 있다.

주제어 생태대안교육(ecological alternative education)

숲유치원(forest kindergarten)

산림청(forest service)

체험형 숲유치원(experiential forest kindergarten)

매일형 숲유치원(daily forest kindergarten)

※ 논문 접수 : 2012. 04. 30 / 수정본 접수 : 2012. 07. 31 / 게재 승인 : 2012. 08. 14

* 이 연구는 2010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 단국대학교 강사([email protected])

Page 2: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류 문명이 시작된 이후, 유형과 방법이 다른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이 이어지고 있다. 각

시대상황에 필요한 다양한 교육 목표와 필요성에 따라 교육유형과 방법들이 변하지만 “아이

들 = 우리의 미래”라고 하는 불변의 공식은 변하지 않는다.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은 결국,

우리의 현 신념과 이상 그리고 희망을 이어나가 줄 주체인 우리 아이들에게 모든 경험의 지

혜를 전해 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교육 목표와 목적을 내포하고 있는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

방향은 우리가 함께 선정해야 하는 시대적 책임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교육에 대한 우려 섞인 의견들은 이러한 시대적 책임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공유

의 장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반증이기도 하다. 교육에 대한 평가는 각자의 사회적 경험에서

습득된 지혜에 따라 다를 수도 있고 해당 시대의 보편적 가치 추구에 따라 집단화될 수도

있다. 그러나 미래세대 교육방향은 전적으로 미래세대가 영위해 나 갈 변화된 가치와 생활

환경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작금(昨今)의 교육에 대한 일반적 우려는, 미래세대에게

제공되는 교육방향과 방법이 온건히 어른들의 현재 희망에 의해 결정되는 것에서 출발한다.

아이들이 서 있는 위치에 대한 정확한 확인 없이 어른들이 희망하는 미래만을 추구하는 까

닭에 미래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아이들 = 우리 미래”라는 간단명료한 공식이 뒤틀리고 있

다. 이러한 현상은 정신적 만족보다 물질적 욕구충족에 무게 중심이 쏠린 산업사회의 급진

적인 가치추구에서 기인한다. 그 결과 한참 뛰어놀아야 할 유아기 아이들마저 어른들이 일

방적으로 만든 틀 지워진 교육과정에 짜 맞춰져 생활하고 있다. 임재택(2010)은 이런 아이들

을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잃어버린 아픈 아이”라고 함축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새로운 유아교육의 필요성은 산업혁명에 의한 물질적 추구와 함께 유럽에서 제시 되었는

데, 인지학(Anthroposophie)의 창시자인 루돌프 슈타이너의 발도르프교육이나 몬테소리교육

등 새로운 교육시스템 변화가 시도되었다(송순재, 2000). 숲유치원 교육시스템 역시 그러한

목적의 생태대안교육으로 받아 드려지고 있다. 숲유치원이 생태대안교육이라고 정의될 수

있는 까닭은 태동 및 필요성 그리고 추구하는 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에서 비롯된다(장희정,

2010). 무엇보다 숲이라고 하는 환경요소의 생태적 관계를 교육에 필요한 텍스트로 선택한

부분과 철저히 주체적인 이해를 근간으로 아이들의 자발성과 공동체성을 중요시하는 부분이

다. 이것은 공교육의 폐해로 지적되고 있는 주입식 교육방법을 대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Page 3: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97

단적인 예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을 더 부연해 보면 교육전문가는 물론 사회학, 미래학, 인류

학 등 전문가들은 다음 세대들 앞날이 불투명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문가들의 불안은 다

음세대의 미래를 예측하지 못하는데서 기인한다. 삶의 속도 변화에 따른 산업 전반의 발달

방향이 예측할 수 없도록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현재 알려진 세부

적인 기술 습득보다 어떠한 상황변화에도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창의성, 사회성, 영성, 공동체

성 등을 기반으로 하는 인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니까 다음세대에게는 정치, 경제,

사회 등 각 분야에서 일어날 수 있는 어떠한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게 필수

불가피한 교육목표이자 필요요소 이다. 이러한 지적은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상황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고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세기 초 북유럽에서 시작된 숲유치원 유아교

육시스템은 당시 시대적 교육이 내포하고 있는 교육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안적 역할을 수행

하게 되었다. 그리고 수 십 년이 지나면서 검증된 교육효과는 숲유치원이 유럽을 기반으로

전 세계로 전파되는 충분한 기틀이 되었다. 숲유치원의 교육방법과 내용에 대해 비판적 수

용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해 보면, 우리(전 세계인)의 옛 유아시절 놀이 모습과 흡사하다. 숲

유치원의 자연적인 태동이 가능했던 까닭이 여기에 있다고 본다.

본 연구자는 숲유치원 국내 수용시점1)에서 유럽의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을 연구하

기 위해 관련 문헌을 수집하고 유럽의 다수 숲유치원을 직접 탐방하여 현장 조사를 수행하

였다. 또한 현지 관계자들과의 지속적인 정보교류를 통해 숲유치원의 제반사항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국내 도입 현황 파악을 위해서는 산림청 또는 지자체 등이 제공하는 숲유치원 프

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였다. 좀 더 세부적인 연구로는 각 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숲유치원

프램그램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고, 국내 숲유치원의 구체적 교육형태 및 운영 형태 그리

고 교육 공간 조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생태교육으로서의 교육 이론적 의미

와 대안 교육으로서의 현장적용 가능성 등 교사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의 국내 전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숲유치원이 생태대안교육의 모델로서 교육적 파급

효과를 담보해 내는 기반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1) 본 글에서는 숲유치원의 국내 수용시점을 북부지방산림청 현장에서 숲유치원을 공식적으로 시작한 2008년 무렵

이라고 제의하고 있다.

Page 4: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9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선정

본 연구는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 방안

에 대한 것으로 관련 자료는 탐방과 관련저서 및 연구물, 인터넷 등 각종 보도 자료와 1-4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2) 자료집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도입 및 유형 분석을 위해 2008년

산림청이 숲유치원을 도입하는 시기에서부터 현재까지를 시간적 범위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

를 위해 이루어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국내외에 소개된 숲유치원 관련 문헌조사를 통해 숲유치원 교육의 핵심적인 사

항들을 검토하였다. 숲유치원을 이루고 있는 핵심적인 사항으로 숲유치원 교육철학, 숲에서의

교육과정, 숲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대상지인 숲의 자연환경요소 등을 선택하

였다.

둘째, 연구 대상인 숲유치원 교육의 핵심적인 사항 중 숲유치원 교육철학은 문헌분석을 통

해 유추할 수 있었고, 숲에서의 교육과정과 숲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과정, 숲유치원의 자연환

경요소들은 각기 숲유치원 교육이 전개되고 있는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하여 현장 사례조사

를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

셋째, 현장사례 연구대상은 숲유치원 교육의 각기 다른 과정과 진행 형태 그리고 국내 적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현장 조사 사례지 선택을 위하여 북미, 일본, 유럽을 대상

으로 웹사이트 및 발표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북미지역의 숲유치원 현장조사는 넓게 퍼져있

는 지역 이동의 한계로 한정된 시간에 조사연구의 효율성이 고려되었다. 일본은 약 100여개

숲유치원 교육이 전국에 걸쳐 수행되고 있으며 협회 포럼이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될 정도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본 숲유치원 협회에서 개최하는 포럼에 참가하고 숲유치원 현장을

방문한 결과 일본 숲유치원은 주로 유럽 숲유치원 형태를 수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숲유치원

이 국가의 공교육으로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독일과 숲유치원의 발상지로서 숲유치원교

육의 근본적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는 덴마크 그리고 민간 차원의 대안교육으로서 십 수 년

에 걸쳐 초등학교 과정까지 확장되고 있는 스위스 숲유치원 등을 조사할 수 있는 유럽을 사

례모델로 선정하였다.

2) 2009년 산림청후원으로 사단법인 나를 만나는 숲 등이 주관한 제1회 숲유치원 국제세미나가 강원도 횡성에서 개

최된 이후, 2회부터 4회까지는 국회에서 열리고 있다. 특히, 제4회는 서울과 광주에서 개최되었다.

Page 5: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99

넷째, 선정한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다양한 연구문헌과 발표자

료 등을 분석하였고 현장 교육책임자와의 청문을 실시하였다. 국내 소개된 숲유치원 문헌에

포함되어 있는 학술적인 내용 이외에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교육수행에 대한 현장 교육책임자

의 학문적 견해를 직접 듣기 위해서 현장 청문이 요구되었다. 그래서 선정한 사례들의 각 유

치원 원장 및 교사 그리고 설립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연구 결과를 수집하였다.

2. 연구결과 종합 및 분석 방법

조사된 문헌과 발표 자료들은 숲유치원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국내 전개를 위한 기본 자룔

로 활용될 수 있도록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유럽 숲유치원들의 태동시기부터 전개 확장

되고 있는 현재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숲유치원 교육에 대한 평가 관점을 집대성하였다. 무엇

보다도 기존에 여러 가지 분야에서 수행되고 있던 교육적 관점들 중에서 주로 발도르프교육,

레지오교육 등 대안교육적 비교 분석을 다루고 있는 문헌과 자료 등을 종합하여 숲유치원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조사된 문헌과 자료들로부터 숲유치원의 역사적 탄생 당

위성과 기본적인 교육과정 구성, 교사의 역할 등 숲유치원의 일반적이며 공통적인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특히 국내에서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문헌에서 확인된 결과들은 현장 사례

지 방문 시 확인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문헌으로부터 이론적 유추한 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하

였다.

현장 사례 조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점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숲유치원의 교육과정

둘째, 숲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과정

셋째, 숲유치원의 자연환경

이상의 세 가지 관점은 숲유치원의 국내 전개를 위해 근본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기본 사항

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독일, 스위스, 덴마크 3국의 특징적 숲유치원들을 사례 모델로 선정하

여 조사한 결과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국내 숲유치원 전개 방안의 기초로 활용하였다.

선정한 각국의 숲유치원과 선정한 특이점 등은 다음과 같다.

Page 6: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10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표 1> 연구 사례지 현황

국가 사례 숲유치원 명 선정 관점 선정 특이점

독일

하이델베르크 숲유치원 숲유치원 교육과정 여러 그룹으로 구성

헤데른하임 숲유치원 숲유치원의 자연환경 접근성: 전철로 이동

밀텐베르크 숲유치원 숲유치원 교육과정숲유치원 교육과정 최초 체

계적 평가3)

스위스

상갈렌 숲유치원 숲유치원 교사교육과정 현장실습 위주 교사교육

베른 숲유치원 숲유치원 교육과정 초등교육까지 연계

타타툭 숲유치원 숲유치원의 자연환경 심한 접근로 경사

덴마크링스테드 숲유치원 숲유치원 교육과정 정부지원 운영체계

스텐로제 숲유치원 숲유치원 교육과정 숲유치원 탄생 역사

표 1에 표시된 각 사례 숲유치원에 대한 연구 조사는 선정 시 고려된 관점을 중점으로 진행

되었으며, 그 밖에 일반적인 상황(설립년도, 학부모 참여도, 숲유치원 교육과정, 교사 교육과

정 유무 등)도 함께 조사하였다.

이상의 이론적 검토와 현장 조사로 종합된 연구 결과들은 학문적 고찰과 실제 사례연구 소

개를 통해 분석되어 최종적으로 국내 전개방안 도출에 활용되었다.

Ⅲ.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1. 학문적 이론 연구

1) 숲유치원 교육철학

숲유치원을 공식적인 유아교육기관으로 인정하고 있는 독일과 덴마크 경우, 모든 숲유치

원은 설립을 위한 분명한 학문적 당위성과 추구하는 교육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사시사철 숲에서 활동을 원칙으로 하는 숲유치원은 통합연령 20명 한 그룹이 운영된다. 교

3) 전 세계적으로 숲유치원의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자료들이 다수 존재하나 밀텐베르크 숲유치원을 근거로 연구

조사된 헤프너박사의 박사학위 논문은 조사기간과 조사대상 규모 그리고 초등학교에 진학한 숲유치원과 일반유

치원 출신의 비교 등 조사 연구의 체계성 등이 특별하게 평가되고 있다.

Page 7: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101

사 대 학생 비율이 1:5 정도이며 학부모가 조합원이 되어 운영에 직접 참여한다. 설립에 따

른 교육목표는 기존교육과는 달리 혁신을 원칙으로 하며 체험 위주의 통합학습과 환경교육,

자연교육, 실제적인 관찰과 행동이 수반된 배움을 지향하고 있다(Miklitz, 2005).

• 자연적이고 섬세한 그리고 흥미로운 움직임의 동기부여와 가능성 촉진

• 계절의 리듬과 자연현상 체험

• 순수한 경험을 통한 감각인식 촉진

• 신체 감각 느낌으로 배우는 통합 학습

• 동 식물의 독자적인 삶에 공간 체험

• 자신의 가능성과 신체적 한계 체험

• 고요함을 경험하고 이미 언급한 말에 대한 지각 향상

• 생태학적 관계성에 대한 습득

• 생활 공동체인 숲과 삶의 가치 인식

이와 같은 요소들을 준거로 볼 때 숲유치원은 생명교육과 환경교육 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중시하는 생태학적 관점과 현장체험의 대안교육을 집대성한 생태대안교육철학이 바탕을 이

루고 있다(장희정, 2010). 숲유치원을 생태대안교육으로 규정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림 1] 생태대안교육철학4)

4) 장희정(2010). 숲유치원 -설립에서 프로그램까지-에서 발췌

Page 8: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10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아이들이 자연 환경을 이루는 숲의 구성요소들과 만나는 그 자체가 “자연환경은 관찰대상

이고 인간은 관찰자”라고 하는 이분법적으로 분리된 사고형성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숲에

서 함께 생활하는 뭇 생명의 존재인식에서부터 타생명과의 공존을 경험하게 되고, 자신들의

활동공간인 숲을 뭇 생명과 함께 나누며 활용하는 것에 대해 인식하는 기저에 이미 타 생명

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 자리하게 된다. 즉, 숲유치원 교육은 자연에서의 배움이 일상생활에

서 실천으로 나타나는 “살아있는 교육”을 지향한다. 예를 들면 숲에의 다양한 체험은 몸과

마음과 정신에 고르게 영향을 미치고, 아이들이 자신의 한계를 알고, 두려움을 극복하는 힘

을 기르게 한다. 이러한 사실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숲유치원에 다니는 아이들이 기꺼이 높

은 나무에 오르는 모습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높은 나무에 올라가는 그 자체가 두려움

을 극복한 것이지만 일정 정도 이상 넘어서지 못하는 그 시점에서 자신의 한계를 발견하게

되고,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매순간은 또 하나의 도전으로 각인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

스러운 ‘어려움을 이겨내는 배움’이 있는 숲유치원 교육은 불확실한 우리 미래를 살아가는

아이들이 갖춰야할 정신적, 물질적인 기본 사항으로 실천적 학문이 필요로 하는 현재의 교

육 사회적 상황에 필수요건이다. 더 나아가서는 오랜 기간 우리 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지성,

감정, 의지를 겸비한, 즉 전인적 인간형성과 상통한다.

2) 숲유치원 교육현황

(1) 숲유치원 교육과정

매일 숲에서 활동하는 전형적인5) 숲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기본활동은 아침모임, 간식,

자유 놀이, 마무리모임 4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숲에서 아이들은 일종의 관습처럼 이러한

기본활동을 하루일과로 반복하면서 자율적으로 약속을 지킨다. 기본활동은 시간적 공간적

사고 발달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안전을 담보하는 중요한 요소이다(장희정, 2010). 이 외에

도 주간 연간 계획 또한 자연이 순환하는 흐름을 충실히 담아내는데 치중한다. 주간계획은

커다란 범주에서 요일별로 정해진 대주제가 반복되고, 연간계획에는 절기 행사와 축제, 종교

행사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리듬과 규칙을 핵심으로 하는 교육과정은 “아이들의 주체적

인 자발적 참여와 의지적인 교사의 한정된 개입”이라는 두 가지 명제가 성립될 때 최대효과

를 얻을 수 있다. 기존 자연체험교육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 부분이 바로 여기에 있다.

5) 유럽에서 시작된 ‘전형적인’ 숲유치원은 매일 아침 숲으로 등원하여 일정 시간 숲유치원 활동을 하고 집으로 돌아

가는 형태이다. 즉, 유치원이라는 건물이나 교육과정 등이 존재하지 않는, 숲이 곧 유치원 교실을 대신하는 형태

이다. 최근에는 일반 유아교육기관 중 숲유치원 교육을 수행하는 ‘숲반’이 구성되어 주 당 3,4일 아침에 숲으로 가

서 활동을 하고 돌아오는 형태도 숲유치원 범주에 포함되고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 표현하는 ‘전형적인 숲유치

원’은 다른 형태와 구분하기 위해 매일 아침 숲으로 가서 활동하는 숲유치원과 동일한 형태를 일컫는다.

Page 9: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103

아이들에게는 암술과 수술이 몇 개인지, 나무 이름이 무엇인지에 대한 지식 보다 자연을 있

는 그대로 보고 느끼며 감성으로 받아드리는 과정이 중요하다.

지난 오랜 시간동안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실들이 글자화되어 책으로 만들어지고, 연령

및 학년별로 파편화되어 명문화된 죽은 지식으로 책속에 갇혀있다. 숲유치원 교육과정은 이

러한 틀을 벗어나 아이들이 자연에서 마음껏 뛰어 놀며 실생활을 근거로 하는 교육을 하도

록 환경마련이 우선한다. 2011년 숲유치원 국제세미나를 통해 국내에 소개된 후퍼르츠 교수

는 숲유치원 교육과정을 1990년대 초 자신에 의해 정립된 “생활중심교육학(Lebensbezogene

Pädagogik)”과 일맥상통하다는 것을 설문조사로 밝히고 있다.6) 생활 중심적 요소, 즉 생활

중심교육학은 “가치있는 삶”, “생활체험”, “공동생활”, “삶의 한 부분으로서 학교”, “장애우와

함께 하는 삶”, “사회적 생활”, “전통적인 생활”, “생존하는 삶”, “지속적인 삶”, “사실적 삶에

근접함” 등을 단서로 한다. 그리고 모든 아이는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고유한 욕구를 지닌

온전한 사람임을 강조하고 있다(Robert Huppertz, 2006).

(2) 교사 교육과정

숲이 교과서가 되고, 놀이 그 자체가 배움이고, 삶이며, 교육인 숲유치원은 ‘교사 없는 교

육, 프로그램 없는 교육’을 지향한다. 교사가 없다고 하는 것은 아이들이 스스로 하도록 동기

부여를 하는 것이고, 프로그램이 없다고 하는 것은 아이들이 스스로 자연환경 요소의 변화

와 생태순환의 고리를 깨닫게 하는 것이다(장희정, 2010). 민간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스위스, 독일 교사 교육과정의 사례를 분석해 보면 1년 동안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로

나누어 단발적인 다양한 프로그램이 워크샵 형태로 진행되는 유형과 학과목과 실습을 포함

한 커리큘럼에 따라 운영되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두 번째 유형의 한 예로 1998년부터 시

작된 독일 프라이부르크 자연학교의 교사교육과정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 참가자들이 9개월 동안 6번 주말 시간을 이용해서 이수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교육

과정의 교과목이 전국 4개 도시에서 순차적으로 개설된다. 교육기간 동안 적어도 1주일이상

숲유치원에서 실습할 것을 의무화 하고 있다. 수강생들은 모든 세미나 참가를 의무화 하되

부득이한 경우 콜로키움에서 발표하는 것으로 대신 하거나 과제물발표, 세미나에 대한 프로

토콜을 작성 등으로 대신할 수 있는 길도 열어 놓고 있다(Monika Huppertz, 2010). 이러한

교육과정에 대해 100여명의 교사들은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다루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Robert Huppertz, 2004).

6) 100여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상황적 요소(95.5%), 생활 중심적 요소(87.7%), 몬테소리교육학

(54.7%), 발도르프 교육학(44.8%), 기능적 요소(18.8%) 등의 순서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Page 10: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10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회수

주제

분야

비고이해 및실습

기획 및개발

숲생태교육학생명학

0 오리엔테이션

1 유아 숲생태교육의 이해 및 필요성 이론3

2

숲과 아이들의 만남-이제는 숲유치원이다-

이론2

국내외 숲유치원의 실제 이론3

3 한국형 유아 숲생태 교사의 철학 이론3

4

장애우 포함 유아 숲생태교육 프로그램 어떻게시작할까?

이론3

숲에서 자라나는 창의성 특강2

5 아이들을 위한 숲생태와 생명의 이해 이론2

6숲활동에 필요한 안전 교육 이론3

숲활동 프로그램 구성 이론3

7 숲에서 깨닫는 “생명”이야기 이론3

8한국형 숲유치원 활동 실제-송파 숲유치원-

실내실습3

• 자연 및 환경교육학 : 숲에서의 실습영역, 환경 교육학적인 주제, 숲교육 개론

• 생물학 지식 : 숲에서 서식하는 동식물에 대한 내용, 자연에 대한 지식 확장, 동식물에

대한 이해

• 홍보 활동 : 홍보와 후원자 관리를 위한 아이디어, 후원금 조달방법

• 학부모 역할 : 학부모와의 소통 및 충돌 극복, 학부모 역할의 새로운 형태

• 교사들 간의 정보공유 : 놀이 및 프로젝트 아이디어, 경험교류

• 심신 상관(정신 및 신체) 의학 : 숲에서의 심신 상관의학

• 행동 문제 : 아동 행동문제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겸한 교육

• 법적인 토대 : 노동법, 아동 관련 법적인 질문

• 기타 : 컨셉 구성 및 실제, 교육의 질적 보상, 학부모 협회 운영

국내에서도 숲유치원 국내 설립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 숲유치원 교사 교육과정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 학기별로 운영되는 까닭에 참가자 스스로가 사계절을 경험할 수 없다. 다음

은 연구자가 구성한 숲유치원 교사 교육과정의 커리큘럼으로 2011년 3월부터 6월까지 (사)

미래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행된 사례이다.

<표 2> 교사교육과정 커리큘럼사례

Page 11: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105

숲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교육 이론2

9 그림책과 함께 숲에서 놀아요!실내실습3

10

영상으로 만나는 여러 나라 숲생태교육 이론4

숲과 식물이 들려준 이야기-교사가 들려주는 페어리(fairy)텔링-

실내실습3

11 국내외 숲유치원 프로그램 분석 및 응용 이론3

12

숲유치원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실습실외실습3 산림과

학원자연물을 이용한 숲생태프로그램

실외실습3

13 생태 감성학으로 본 숲생태프로그램 이론3

14

곤충 관찰을 통한 숲생태계 이해실외실습4 북한산

국립공원안전한 자연물 놀이 구분하기

실외실습3

15숲에서 만드는 식물세상I 이론1.5

숲에서 만드는 식물세상II 이론1.5

16 유아 숲생태교육 현장프로그램실외실습8

서울시

17

숲과 인간의 삶특강3

미래는 숲교육이 필요하다

수료식

합 계 40 15 10 5 70+5

숲유치원 역사가 짧은 국내 여건으로는 오랜 시간 먼저 경험을 한 유럽 교사들의 요구를

참작해서 숲유치원 교사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할 과목과 교과목을 지도할 수 있는 교수요

원 양성에 대한 깊은 논의가 요구된다.

(3) 숲유치원 대상지7)

인간은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문화를 전개해 왔다. 다른 문화는 인간들이 처한 환경에

적응하고, 변화하면서, 형성한 차별화된 결집체이다. 이러한 논리에서 출발해 보면 지금까지

와는 달리 교육의 산실을 숲으로 하는 숲유치원 대상지는 새로운 교육문화의 결집체이다.

숲의 자연환경은 교육공간으로서 활동의 안전과 교육 방법에서의 진정성과 효율성을 결정하

는 중요한 요소이자 교육 효과를 결정하는 근본 요소이다. 2002년 UN이 선포한 지속가능발

7) 국내에서 숲유치원 대상지에 대한 내용은 “숲속 유치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율적 운영방안(산림청 2008)”에 처음

제시됨.

Page 12: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10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전교육의 실현 장소로 숲이 지목되고 있는 이유이기도하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대상지는 무엇보다 아이들의 안전을 담보하는 게 우선한다. 교육

공간으로서 생태적으로 우수한 원시성을 띤 자연숲은 교육환경요소의 최적지일 것이다. 하

지만 경사지와 평지 그리고 계곡(물), 바위 등의 자연요소가 고르게 분포된 장소 선정의 현

실화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요일을 정해 활동장소를 바꾸는 방법도 고려

해볼 수 있다.

정규 유아교육기관인 독일과 덴마크 숲유치원은 설립조건을 갖추면 국유림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대피소 설립 장소가 주 활동 공간이 되고 이 외에 3-4군데 활동 장소를 추

가로 마련한다. 반면에 민간 차원에서 운영되는 스위스 숲유치원은 사유림 사용이 두드러진

다. 무엇보다도 숲유치원 대상지에서는 아이들이 활동 장소로 이동하는 길 자체가 교육공간

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2008년 국내에서는 산림청에서 숲유치원 관련 용역으로 처음 진행된

연구용역인 “숲속 유치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율적 운영방안”에 숲유치원 대상지 선정기준

이 안전성에 따른 기준과 교육목적에 따른 기준으로 분리해 제시되었다. 특히 걷을 수 있는

자연 흙길 1-2km 이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012년 7월부터 시행되는 “산림교육활성

화에 대한 법률” 제13조에는 유아숲체험원 조성과 운영에 관한 사항을 제정하고 있다. 유아

숲 체험원의 조성 및 운영에 참여하려는 지자체와 기관들에게 시설기준 제시가 필요한 시점

이다.

2. 숲유치원의 국내외 사례연구

1) 교육 제도적 상황

(1) 덴마크: 자유학교(대안학교)도 정부에서 공립학교와 동일하게 지원하는 교육정책이 이

미 오래 전부터 이루지고 있다. 따라서 공교육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을 인식한 사회단

체나 부모들이 자유학교를 쉽게 설립할 수 있다. 다만 자유학교의 경우는 학교운영자

금을 직접 지원하는 게 아니라 학비의 75%를 지원해주는 형식이기 때문에 학부모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있다. 이러한 교육정책은 숲유치원이 온건히 학부모위주로 운영

되는 틀을 갖추는 기반이 되었기 때문에 정부가 인가하는 자유학교와 같은 틀에서 운

영비의 50% 정도를 보조 받는다. 운영자는 시 교육청에 매년 한 해 동안 활동한 내용

을 제출하고 평가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지적된 부분이 있을 경우 그에 대한 내용을

수정 보완해서 다시 제출해야 한다. 사례 대상지인 링스테드 숲유치원인 경우도 마찬

가지로 정부지원을 바탕으로 운영체계가 구성되어 있었다. 정부로부터 숲유치원에 필

Page 13: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107

요한 운영비의 50%를 지원받는 체계이다. 코펜하겐에서 40분 정도 떨어진 스텐로제 숲

유치원은 1950년대 초 훌라타우부인이 자신의 아이들과 이웃 아이들을 숲에서 활동하

게 함으로서 오늘날의 숲유치원이 탄생할 수 있었다. 아이들을 위한, 아이들과 같이 완

성해 가는 새로운 유형의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의 근원지이다.

(2) 독일: 1991년부터 아동 및 청소년법에 연방차원에서 숲유치원 아이들을 보살피기 위한

법적조건이 규정되어 있다. 연방법에 “모든 설립자는 아이들을 돌볼 수 있는 시설과 운영

허가를 필요로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고, 이에 대한 모든 제반사항은 해당지역의 주 청

소년국에 신청하도록 되어 있다(Koeller,S.& Leinert,C. 1997). 시설부분에 있어서는 반일

제의 경우 대피소로 공사용 컨테이너를 이용하거나 숲에 설치된 기존의 건물을 빌려 사

용할 수 있다. 그러나 4-5년 전부터 맞벌이 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종일제 숲유치원 설립

조건으로 아이들이 취침할 수 있는 공간, 화장실, 실내학습공간을 갖추어야 한다. 운영에

있어서는 주 5일제를 기본으로 하고 최소 운영시간은 여름 4시간 그리고 겨울 3시간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교육비 각 주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정부로부터 60-80%에 지

원을 받는다(Kinder-und Jugendamt in Hessen, 2003). 사례 조사를 통해 독일의 숲유치

원 교육과정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숲유치원 형태는 국내 도입과정에서 취사선택하여 비

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하이델베르크 숲유치원

에서 진행하고 있는 여러 그룹으로 구성된 숲유치원 형태와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

해 인근 숲까지 전철로 이동하는 헤데른하임 숲유치원은 도시에서 인접한 숲공간이 한정

된 우리나라의 경우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밀텐베르크 숲유치원은 숲유치원 교육 효과

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를 이루어낸 헤프너 박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3) 스위스: 제도적으로 다양한 사립교육기관 설립이 가능한 국가이다. 따라서 숲유치원

또한 비인가로 운영된다고 하는 관점보다는 공공성을 띤 사립 숲유치원 개념으로 받

아드리고 있다. 학부모들이 조합을 이루어 운영에 참가하는 씨스템은 덴마크, 독일과

동일하다. 스위스 숲유치원들에서는 5-6년 전부터 초등학교 저학년과정으로 연계되는

숲학교를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스위스 숲유치원이 독일에서 형향을 받았다면 숲학교

는 스위스에서 영향을 받아 독일에도 숲학교가 설립되었다. 사례 조사에따르면 상갈렌

숲유치원의 교사 교육과정은 실제적인 활동위주의 단기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고, 베

른 숲유치원도 상갈 숲유원을 모델로 초등학교까지 연계과정을 하고 있다. 타타툭 숲

유치원은 계곡과 바위 등 급격한 경사 등의 자연환경에서 숲유치원교육을 하고 있다.

Page 14: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10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4) 한국: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숲유치원은 크게 체험형과 매일형으로 구분된다.

체험형 숲유치원은 숲해설가, 생태해설사 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일반 유아교육

기관에서 참가신청을 할 수 있다. 2008년 북부지방산림청에서 처음 시작된 후 국유림

관리 사무소, 서울시, 기초단체, 국립공원관리공원 등 전국적으로 많은 기관에서 체험

형 숲유치원이 운영되고 있다. 근래에는 일반 유치원에서도 자발적으로 체험형 숲유치

원을 진행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매일형 숲유치원으로는 기존 유아교육기관에

서 숲학급을 운영하는 유형과 개인이나 연구소 등에서 인가를 받지 않고 운영하는 비

인가 숲유치원 등이 있다.

2) 사회적 인식 상황

(1) 덴마크: 한 어머니에 의해 자연 발생적으로 숲유치원이 시작되고 유아교육기관으로 인

정될 수 있었던 까닭은 사회적으로 이미 공교육과 함께 대안교육이 커다란 한 축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미 숲유치원 역사가 50년을 넘어선 덴마크에서는

특히 대도시에서 버스를 이용해 매일 야외 숲으로 이동하는 숲유치원이 많다. 그런 까

닭에서인지 7-8년 전부터는 버스를 원사로 하는 비인가 사립 숲유치원이 설립 운영되

기 시작하였다.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지 않고 운영되는 버스 숲유치원은 들로, 산으로,

강으로, 바다로 자유롭게 활동장소를 정해 이동한다.

(2) 독일: 인접국가인 덴마크에서 영향을 받아 1993년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국민성이 절대적

으로 반영된 숲유치원이 플렌스부르크(Flensburg)에 설립되었다(장희정, 2010). 이후 조

그만 잡지회사에 이 숲유치원을 소개하면서 전국적으로 홍보가 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또한 2002년 발표된 헤프너박사의 학위 연구 논문에 발표된 일반 유치원과 숲유치원 출

신 아이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비교 연구 결과는 학부모와 일반인들에게 숲유치원의 효과

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되었다. 이 논문이외에도 학문적인 기반을 갖춘 연구결과들이

지속적으로 도출되어 숲유치원 효과를 입증되었다(Sarah Kiener, 2003). 2006년 프라이부

르크 교육대학교 후퍼르츠 교수는 바덴부르텐 부르크 주의 정부의 연구용역을 수행해 숲

유치원 매뉴얼을 완성했고, 숲유치원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동시에 이루

어 졌다. 지난 4-5년 사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숲유치원은 1000개 이상이라는

대략적 집계가 언급되고 있다. 공식적인 출발을 알린 후 20여년 지나고 있는 독일 숲유치

원은 점차 교육 평가와 수준 높은 운영을 요구받으며 높은 교육수준을 요구받고 있다

(Huppertz, 2011). 숲유치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더욱 높아지면서 “숲과 동물유치원”,

Page 15: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109

“숲과 호수 유치원”, “숲과 바다유치원”, “농장유치원” 등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다.

(3) 스위스: 숲유치원 이외에 아이들과 청소년이 참가할 수 있는 체험 위주의 숲놀이 그룹

이 (방과 후, 주말, 야간 숲체험, 부모와 함께 하는 숲놀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

고 있다. 공교육 기관이나 시단위에서도 산림 감독관이 직접 숲교육을 제공하는 프로

그램과 전국에서 숲교육 활동을 하는 개인이나 단체가 회원인 총현합회가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 90년대 후반에 독일로부터 도입된 숲유치원은 현재 전국적으로 13개 정

도 운영되고 있다.

(4) 한국: 숲유치원에 대한 급격한 관심과 인식확장의 도화선은 2010년 KBS TV 환경 스

페셜에 방영된 “학교가 숲으로 갔다”라고 할 수 있다. 이후 2011년에는 EBS TV 교육

방송에서 5부작으로 스위스와 독일 숲유치원이 소개되었고, 체험형과 매일형 숲유치원

사례모델들이 여러 방송매체를 통해 방영되면서 홍보효과가 더욱 커졌다. 그리고 2009

년부터 해마다 개최되고 있는 숲유치원 국제세미나는 실제적인 현장적용의 동기를 부

여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전국적인 확대 운영은 2010년 설립된 숲유치원 협회가 원장

및 교사연수, 하계와 동계 세미나 등이 개최되면서 탄력을 받고 있다.

Ⅳ. 국내 숲유치원 전개 방안

1. 숲유치원 도입현황 및 유형

산림청 연구용역 “숲속 유치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율적 운영 방안”을 수행한 (사)나를 만

나는 숲은 2008년 연구결과로 국내에서는 처음 “숲속유치원 포럼”을 개최하였다. 이후 북부

지방 산림청에서는 협약을 맺은 일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이 참여할 수 있는 체험형 숲유치

원을 제공하기 시작했고, 2009년 인천 청량산을 한국형 숲유치원 시범운영을 위한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숲유치원 시범모델 구축이라는 당위성을 띠고 국유림을 공식적으로 사

용된 사례는 2012년 7월26일부터 시행되는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제

정’11.7.25)에 제시된 “유아숲 체험장” 설립의 토대가 되었다.

장미연 외(2011)는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숲유치원 유형을 주관기관과 각 운영주체별로

구분했고, 한유미(2010)는 해외 숲유치원의 다양한 활동유형을 연구했는데 유형의 다양성에

Page 16: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11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서 차이가 있다. 숲유치원 유형과 관련해서 본 연구에서는 매일 숲에서 활동을 하는 전형적

인 숲유치원을 제외한 모든 숲활동은 체험형 숲유치원으로 규정하도록 하겠다.

2010년 송파구에서는 구립어린이집의 한 학급이 매일 숲에서 활동하는 전형적인 숲유치원

시범운영을 시작했는데, 현재 국내 유아교육기관에서 확대 실행되고 있는 숲유치원의 모델

이 되고 있다. 부산대 부설어린이집에서운영하고 있는 숲반, 즉 3-6세의 통합연령아이들로

구성된 한 개 학급이 매일 숲에서 활동하는 전형적인 숲유치원 활동은 좋은 사례이며, 주 1

회 혹은 주 2-3회 숲활동을 하는 체험형 숲유치원을 하는 유아교육기관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2011년 여수 베타니아 특수 어린이집에서는 세계 최초 장애우 숲유치원을 시작했는

데 독일과 일본 등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소외계층 아이들을 위한 숲유치원 메카로 자리

매김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밖에 매일 숲에서 활동하는 전형적인 숲유치원이 비인가운영되

고 있으며, 관심 있는 학부모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설립한 숲유치원 유형으로는 남한산성

숲유치원을 꼽을 수 있다. 그리고 활동 횟수에 따라 일정 액수를 지불하는 과외형 “숲유치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인천 남동구청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숲유치원”

을 제공해 높은 호응을 얻고 있고, 부산광역시에서는 숲유치원 활동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

을 하고 있다. 앞에서 언급된 산림청의 체험형 숲유치원은 현재 광역시, 지방자치단체, 기초

단체로 확대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숲유치원 유형을 정리해 보

면 다음과 같다.

<표 3> 국내 숲유치원 유형분류

유 형 비 고

체험형

숲유치원

산림청, 국림공원 관리공단, 기초단체 등 정

부 기관에서 제공(숲해설가, 생태해설가 들이

교사로 활동)

숲속유치원 프로그램, 찾아가는 숲유치원, 과

외형 숲유치원 등이 있다.

일반유아교육기관에서 접수 신청 함.

(주 1회, 2회/ 10-15회 연속 참가 등

다양한 선택 가능, 무료)

기업이나 단체, 혹은 민간이 제공(유료)일반 유아교육기관이 신청

부모님들이 개별적 신청

매일형

숲유치원

기존 유아교육기관의 숲학급

(전형적인 숲유치원을 하는 기관)

장애 및 복지 시설

국 공립 유아교육기관

사립 유아교육기관

비인가 숲유치원

학부모들이 주도적으로 운영 (유아

전문교사가 함께 함)

연구소에서 설립 운영

기존 유아교육기관에서 정원외 숲학

급 모집

민간인이 숲유치원 설립

Page 17: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111

2. 국내 숲유치원 활성화에 대한 제언

1) 제도적 방안

국외사례 연구조사 결과 숲유치원 교육과정이 국가적 제도로 인정되기에는 몇 가지 충족

요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교육을 규정함에 있어 필요한 교육요소들

로 교육장소, 교사역할 등이다. 국내에서도 숲유치원이 제도적으로 정착되기 위해 우리 실정

에 맞는 기본적인 숲유치원 요소들을 중심으로 방안을 모색해 본다.

‘공간이 정신을 지배한다.’는 문구가 원칙과도 같이 적용되는 곳이 숲유치원이다. 타고난

인지력으로 사물과 사건 현상을 관찰하는 숲유치원 아이들에게 숲 공간은 일반 교육에서의

교과서, 교재와 비교할 수 있다. 교과서에 어떤 지식을 담을 것인지 결정이 어렵듯, 숲 공간

이 제공하는 교육적 요소를 제도로 규정하기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마음껏 뛰어 놀 수 있

는 교육 장소의 넓이, 아이들의 강인함을 키울 수 있는 상대적 난이도를 고려한 경사도, 자

연성을 대표할 수 있는 숲을 이루는 수목의 종류와 밀도, 숲속을 흐르는 시냇물이 있는지,

걸어 들어가며 근육과 탐구성을 키울 수 있는 접근 길이는 충분한지, 여러 가지 곤충과 수목

의 종류, 계곡, 바위 등 자연요소의 다양성은 구비되어 있는지 등 숲유치원 교육장소로서 공

간 요소에 대한 여러 가지 선정 기준이 가능하다. 선정을 위해서는 현장 조사가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 기본적인 최소한의 교육시설과 접근로 등을 위한 조성이 필요할 수도 있다. 조

사 시 사용할 야장조사 기준이 될 선정기준은 전적으로 숲유치원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등 교육프로그램과 맥을 같이 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여러 가지 현장 상황에 따라 보편적으

로 적용 가능한 숲유치원 교육장소 조사원칙과 조성지침의 기본적인 기준을 정리하였다.

교육장소 선정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자연 환경적 기준, 거주생활과 관계 그리고 교육과

정과 연계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자연 환경적 기준에 포함되어야 사항 등은 다음과 같다.

• 식생 분포도 (예를 들어, 최근 조성된 인공 조림지 등은 가급적 제외)

• 자연 요소의 다양성(예, 곤충, 동물, 돌, 수목, 물, 경사지, 계곡 등)

아이들이 거주하고 있는 생활공간과의 관계는 단순한 접근거리 측면만을 고려할 사항이

아닌 듯하다. 물론, 자연 환경적 요소들은 깊은 산속으로 들어 갈수록 유리할 수 있어서 숲

공간이 제공하는 자연적 원시성과 함께 숲으로 연결되는 농산림 경영지역은 아이들에게 우

리의 의식주 활동과 직결된 생활 지식을 배우는데 산지식을 얻을 수 있는 유리한 공간이다.

곡물이나 채소가 심겨진 논밭이 인근에 있다든가, 집을 짓기 위한 임업이 행해지고 있는 산

Page 18: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11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구분 교육과목시수

(단위)교육 내용

총 계 81

교육

철학숲유치원 교육의 이해 6

- 산림교육의 위상 기존 교육의 대체 당위성 및 보완

효과

- 산림교육(슢유치원 교육 포함)의 교육학적 철학 근

거 환경교육, 체험교육, 자연교육과의 비교 분석

- 대안교육으로서의 위상 숲유치원 교육의 효과 및

피교육자 발달 상황

(육체적, 정서적효과)

- 생태대안교육의 철학적 의미 숲유치원 교육의 사회

림지역이 가까이 놓여 있다면 생활에 근거한 숲유치원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숲유치원의

공간적 요소가 교육과정과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숲유치원 교육장소 선정 조사 시 거주생

활공간과의 관계성은 숲유치원 교육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거주생활 공간과 적당한

통학거리가 고려되어야 한다. 대도시의 경우 통학거리와 소음, 녹시율, 아이들만의 배타적

교육 공간 확보 등 현실적인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조사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교육과정

과 연계 가능성을 조사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무엇보다도 숲유치원 세부 프로그램 적용 가능

성을 손꼽을 수 있다. 다음은 2008년에 수행한 "숲속 유치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에 삽입했던 내용을 인용하였다.

• 종단 및 횡단경사가 아이들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적용 가능할

수 있고 개발 가능한 곳인가?

• 능선, 계곡, 구릉지 등이 고루 분포되서 다양한 놀이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가?

• 계곡부에 물이 있어서 물놀이 프로그램 등을 자연스럽게 조성할 수 있는가?

• 구릉지는 완만한 경사가 있고, 자연구배를 이용한 놀이공간이 가능한가?

이러한 교육장소가 교과서로 활용되려면 아이들이 숲교과서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사 역

할이 필요하다. 숲유치원 교사는 숲교과서의 내용을 아이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교

육방법을 터득하고 있어야 한다. 숲교과서에 들어 있는 자연물과 그 자연물에 내재된 교육

적 내용을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숲유치원 교사는 별도의

추가적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숲유치원 교

사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표 4> 숲유치원 교사교육과정

Page 19: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113

적, 교육학적 등 영향

소 계 35

교육

과정

숲유치원 교육과정 I 3 계절별 교육과정, 프로그램별 교육과정(자연물 프로그

램, 단체놀이 프로그램, 엄마, 아빠와 함께 하는 프로

그램 등), 프로젝트 교육과정 등

숲유치원 교육과정 II 3

숲유치원 교육과정 III 3

숲유치원 사례연구 3선진사례를 통한 연령별, 장소별, 난이도별 등 다양한

교육과정을 소개하고 응용가능성제시

숲유치원과 장애아동 3 숲에서의 재활, 치유, 치료 등 효과 사례 포함

프로젝트 교육과정I 6취학 전 아동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과 예시 및 응용

“막대기1, 오리2”

프로젝트 교육과정II 6취학 전 아동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과 예시 및 응용

“ㄱ고드름과 ㄴ나무”

숲아이 몸다루기/

마음다루기

5

(실습포함)

정서적 안정을 위한 교육과정(명상, 걷기, 기천문 등);

“숲유치원과 동네놀이터”

프로그램 개발법 3생태 숲의 교육학적 전환 교육결과 모니터링 및 연구

방법 제시

소 계 40

교육

방법

숲교육 방법의 원리 3 생태 숲에서 아이들과 활동 및 생활하기

숲속의 규율 3 숲생활 주의사항 복장, 음식, 행동 등

숲교실 만들기 3 숲공간의 교육학적 해석,제도(법)적 규제

숲교육과 유아행동 3 유아 행동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

유아숲지도사의 역할 3 숲교실에서 아이들과 생활하기

숲유치원 공감하기 3 학부모,타교육자,타전공자 등 사회와 소통

현장 실습 15 전일제/체험반, 국공립/사립, 장애아동, 숲해설 등

과정 마무리 7 각 자/모듬별 발표 및 시연, 평가 분석

2) 학문적 방안

숲유치원 교육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문제의식과 시각으로 바라보아야한다. 외형적으로는

교육 공간, 교육 과정, 전개 방법 등에서 차이가 나지만 교육적 효과 부분에서는 기존 교육

을 넘어선다는 연구결과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 교육법에서 제시한 교육목적 가운

데 하나인 ‘일상 생활습관과 신체 모든 기능의 조화적 발달’은 숲유치원 교육에서 오히려 그

효과가 크다는 결과가 오래전에 도출된 자료를 통해 입증되었다. 최근 국가에서는 ‘놀이 중

심 통합과정’을 기본 방향으로 하는 만 5세를 위한 누리과정 5개 영역(신체운동·건강, 의사

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을 발표하였다. 결국, 국가가 발표한 누리과정을 요약하

면 ‘마음껏 뛰어 다니며 다양한 사물을 탐구하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보고 느낀 것

Page 20: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11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을 친구들과 함께 나눌 수 있는 아이로 키우자는 것’이다. 그렇다면 상기 5개 영역의 누리과

정이 과연 숲속에서 가능한 교육과정인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 숲에서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마음껏 뛰어 노는 아이들!

• 숲에서의 다양한 체험과 경험을 언어로 구사하는 아이들!

• 통합 연령이 어우러져 함께 숲에서 생활하는 아이들!

• 사시사철 자연의 변화를 오감으로 느끼는 아이들!

• 숲을 이루고 있는 모든 생명체와 그 조화를 직접 탐구하는 아이들!

이러한 아이들의 모습은 숲에서 노는 아이들에게 흔히 관찰되는 현상들이다. 굳이 ‘하라’

는 주입식 교육이 필요 없다. 위에 열거한 5개 현상은 아이들이 숲에서 자유롭게 뛰어 놀면

저절로 나타나는 자연적인 일련의 결과일 뿐이다. 이외에도 아이 성장에 필요한 인성과 다

양한 재능이 그물코처럼 연결되어 습득되기에 숲유치원 교육은 진정한 통합적 배움이다. 따

라서, 숲유치원 교육은 국가가 규정하는 누리과정 5개영역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

는 교육적 방법이다(장희정, 2012). 그렇다고 해서 교육공간을 숲으로 바꾸어 5개 영역에 따

른 학습으로 아이들을 구속하는, 외형만 숲유치원인 교육은 지양해야한다. 장미연, 임소영,

변지혜, 김은주, 임재택(2011)에 의하면 한국형 숲유치원 지침서 및 프로그램 모형 속에서

모호하게 정의되고 있는 숲유치원에 대한 개념과 이념, 방향 등을 제시하여 숲유치원과 다

른 형태의 숲 체험활동이 구분되어 운영 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더불어 운영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방법 및 방향도 제시하는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는 게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숲유치원 교육 효과는 몇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질 수도 없고 나누어 교육할 수도 없는

전체적이며 통합적인 교육이기 때문에 교육과정이나 효과를 글이나 말로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그나마 숲유치원 교육과정과 효과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내용은 2002년 유엔 총회

에서 의결한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일 것이다.

Page 21: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115

Ⅴ. 요약 및 결과

본 연구는 학문적 지식과 수년간 현장에서 접한 숲유치원 설립 및 운영의 경험적 사실을

기초로 하고 있다. 먼저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 교육철학의 이론적인 부분을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학문적 이론 연구를 통해 살펴본 숲유치원은 생명교육, 환경교육, 생태교육, 대안교육을

집대성한 생태대안교육철학이 바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숲유치원 교육시스템의

교육철학을 생태대안교육으로 규정하는 근간이기도 하다. 기존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진행하

는 교육과 달리 숲유치원은 아이들이 다양한 체험과 경험을 통해 타생명을 이해하고 존중하

는 마음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Eberhard Bolay, 2007). 무엇보다도 숲은 자유로운 영혼의

아이들 내면에 잠재된 거대한 자아를 드러낼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실내 위주 유아교육과 현격히 차이가 난다. 허우정(2011)은 생태소양척도 연구를 통해 도출

한 결과가 현대사회에서 도덕적인 가치와 생명에 대한 가치를 중요시 하지 않는 교육이 문

제임을 뒷받침한다고 밝히고 있다. 비록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지만, 이러한 연구결과는

숲유치원이 새로운 유아교육시스템으로 기존교육의 대안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라고 하겠다.

다음으로는 숲유치원 교육내용을 숲유치원 교육과정, 교사교육과정, 숲유치원 대상지로 분류

하여 조사해 보았다. 매일 숲에서 활동하는 전형적인 숲유치원 교육내용 현황을 살펴본 결

과 교육과정은 “아침모임, 자유놀이, 간식, 마무리 모임”의 4가지 기본활동과 자연 순환 원리

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주간, 월간, 연간 계획으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아이들의 주체적인

자발적 참여와 의지적인 교사의 한정된 개입”을 원칙으로 하는데, 이러한 관점은 교사는 언

제나 무엇인가를 가르쳐주어야 하고, 이끌어 주어야 한다는 기존 교육의 통상적인 개념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숲유치원의 국내 실제적 적용되는 과정에서 주지되어야할 중요한 부분

이다. 그리고 교사 교육과정은 “교사 없는 교육, 프로그램 없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데, 교

사 없는 교육은 극소화된 교사개입을 요구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없는 교육은 기다림을 의미

한다. 따라서 “교사 없는 교육”이란 구절은 숲유치원 교사의 중대한 역할 분야를 함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유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교육과정은 이런 새로운 역할 규정에 따라

교육과정의 교과목들이 선정되었음을 볼 수 있다. 교과목들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표

4에 제시하였다. 향후 국내에서 진행될 교사교육과정에 지침이 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교

육활동공간인 숲유치원 대상지는 교육방법에 있어 진정성과 효율성을 결정하는 중요요소이

며 동시에 교육과정과 함께 교육효과를 결정짓는 근본 사항이다. 따라서 생태적으로 우수한

Page 22: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11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자연산림자원이 교육활동공간의 선택 기준이 되고 있다. 더불어, 숲 입구에서 교육활동공간

으로 이동하는 도보거리가 교육활동공간을 선택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노면이 자연 흙이며 좌우 식생이 다양한 약 1-2km의 접근로는 숲속 활동을 위한 신체

적 준비과정일 뿐 아니라 자연숲 활동의 마음가짐을 위한 시간이 된다.

숲유치원 교육의 제도적 상황과 사회적 인식 상황에 대한 국내외 사례연구를 위해서는 덴

마크, 독일, 스위스를 조사하였다. 제도적인 공통점은 학부모들이 조합을 이루어 운영에 참

여하는 형태이다. 교육준비 주체인 학부모 조합은 국가가 제시하고 있는 숲유치원 설립 및

운영 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또한 기존의 교육기관이 숲활동을 위한 자체적인 숲유치원

학급을 설립하기도 한다. 이러한 교육 제도의 형성은 학부모들의 현실 교육 참여라고 하는

사회적 인식에 기인하고 있다. 교육 제도가 사회적 인식에 의해 완성될 수 있는 이러한 모습

은 현실 교육 상황을 제도적으로 반영하는 순리적 과정임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 숲유치원의 현황 및 유형을 살펴보면 공식적 국내 첫 도입은 산림청에 의해 이루어

졌다. 2008년 “숲속 유치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율적 운영 방안”을 위한 연구를 필두로 체험

형 숲유치원을 시작으로 자치단체에 속한 기존 유아교육기관과 사립 유아교육기관들이 숲반

을 만들어 숲유치원 활동을 매일형, 체험형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전개 과정을 외국 사

례에 비교하여 분석해 보면, ‘체험형’ 숲유치원은 단발적 참여와 주 1~2회 정기적 참여로 구

분할 수 있다. 반면, 매일 숲에서 교육을 하는 전형적인 숲유치원활동은 ‘매일형’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표 3에 체험형과 매일형 숲유치원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사

항 등을 종합한 숲유치원 국내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위해 숲유치원 교육의 이론적·학문적

고찰과 외국 숲유치원의 전개 사례들을 국내 교육사회적 현황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숲유치원 국내 도입의 필요성 및 당위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국내 숲유치원 전개과정

에서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학부모 및 교육기관의 숲유치원에 대한 반응은 국내 활성화를

위한 촉매제 역할로 충분하였다. 제언 사항들을 정리해 보면, 국내 교육실정에 적합한 숲유

치원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전달을 위한 숲유치원 교사 양성, 자연산림자원 활용 방안, 정

부와 지자체의 제도적 지원, 학부모의 교육 인식 변화, 숲유치원 교육효과 및 교육 내용에

대한 홍보 등이다.

Page 23: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117

참고문헌

산림청(2008). 숲속 유치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율적 운영 방안. 정책연구용역 결과보고서

송순재(2000). 유럽의 아름다운 학교와 교육개혁운동, 서울: 내일을 여는 책.

임재택(2010). 이제는 숲유치원이다.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자료집, 2(1). 5-15.

장미연, 임소영, 변지혜, 김은주, 임재택(2011). 국내 숲유치원 운영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

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7-46.

장희정(2010). 숲유치원-설립에서 프로그램까지-. 서울: 호미

장희정, (사)나를 만나는 숲(2011). 흙에서 자라는 아이들. 서울: 호미

장희정(2012). 한국형 숲유치원 활성화방안, (사)숲유치원협회 동계세미나 자료집, 1(7),

99-105.

한유미(2010). 숲유치원의 해외 동향 및 국내 도입 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 60. 1-18.

허우정(2012). 부모용 생태소양척도 개발연구 -학령전기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생태유아

교육, 10(4). 91-117.

Eberhard Bolay & Berthold Reichle(2007). Waldpädagogik. Verlag Schneide.

Ingrid Miklitz(2001). Der Waldkindergarten. Verlag Cornelsen.

Kinder- und Jugendamt in Hessen(2003). Waldkindergarten.

Koeller, S. & Leinert, C.(1997). Waldkindergaerten. Verlag Augusburg.

Kölsch Wagner(2004). Erlebnispädagogik in der Natur. Verlag Reinhart.

Nobert Huppertz(2011). Lebensbezogene Pädagogik als theoretische Basis des Waldkindergartens

International Forstkindergartenseminar 3(2). 25-42.

Monika Huppertz(2011). Wie qualifzieren wir Erzieherinnen fuer die Arbeit im Waldkindergarten?

International Forskindergartentseminar 3(5). 95-111.

Nüchael(1998). Den Wald erleben mit Kindern. Verlag Suedwest.

Peter Häner(2002). Natur und Waldkindergärten in Deutschland, Inauguraldissertation,

Universität Heidelberg.

Robert Huppertz(2004). Handbuch Waldkindergarten.

Sarah Kiener(2003). Kindergärten in der Natur. - Fördert das Spielen in der Natur die

Entwicklung der Motorik und kreativität von Kindergartenkinder? -, Dipl. Schweiz

Universität.

Page 24: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11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Sonja Oswald(2004). Der Waldkindergarten-eine neue Alternatine und Perspektive in der

Vorschulpädagogik, Dipl. Johann-Wolfgang-Göthe Universität.

Zimmer, R.(1995). Leben braucht Bewegung-Förderung der ganzheitlichen Entwicklung

durch Bewegung. Zeitschrift Haltung und Bewegung.

Page 25:  · 12_ _ p 1ÊE óH 32 ûpNo©H¦ 6+* 1Ê X v -#Õ X , -:H %!" % ;-D E : /u ±²É :Hy 3~ #j$7V N3¢~EY: t- 'p3 É¢Õ# Ey N±²©zRÉ&:HË

유럽 생태대안교육인 숲유치원에 대한 학문적 고찰 및 국내 숲유치원 전개방안․119

Abstract

A Study of Forest Kindergarten as European Ecological

alternative Education and Plan to Develop Domestic

Forest Kindergarten

Hee-Jung Chang

A forest kindergarten which has been become as a new Ecological alternative education in

Europe has been evaluated as a progressive change especially in methodical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educational system of the forest kindergarten and to

look for a new model which can possibly be set domestically based on a case study.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the forest kindergartens in Europe as a foreign case and an

operating case of two types of forest kindergartens, an experiential forest kindergarten and a

daily forest kindergarten of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other organizations as a

domestic case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this study. Interest of education specialists

and parents has been increased and institutional changes like enactment of forest education

law has been visualized since introduction of the domestic forest kindergarten. Moreover the

domestic forest kindergarten has been changed in various forms to domestic educational

circumstances. The variety of plans, for example, the experientialforest kindergarten which

has been nationally carried out and the dailyforest kindergarten proceeding a curriculum daily

have been studied. In particular, separate set-up of a forest class like the daily forest

kindergarten in an exis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is a sound model which can

possibly be carried out in a current educational system.